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에브리타임' 익명성 개선 인식은 어떠한가?

by 석종희대학생기자 posted Nov 09, 2020 Views 2367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8일 서울 소재 여대생 씨가 '에브리타임(이하 에타)'에 악플(악성 댓글)을 받고 자살한 사건이 있었다. 평소 우울증을 앓던 씨는 에타에 위로를 받고자 하는 글을 올렸으나 댓글에는 조롱 및 비난하는 글이 올라와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졌다. 이에 에타 커뮤니티 문제점과 익명성이 적절한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에타는 대학생 시간표 만들기 겸 커뮤니티 기능을 가진 앱이다. 400개 대학에서 약 454만 이용하는 국내 최대 대학생 커뮤니티다. 직장인에겐 블라인드가 있다면 대학생에겐 에타가 있다. 일반적인 인터넷 커뮤니티와 다르게 에타는 해당 학교 재학생이 학생증 또는 학교 이메일 인증을 통해서만 가입할 수 있다. 스마트폰으로 편리하게 시간표를 짤 수 있으며 이를 친구들과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같은 학교 재학생끼리 커뮤니티에서 소통 할 수 있는 점이 장점이다. 그래서 학교생활과 관련된 정보를 얻거나 궁금한 것을 재학생으로부터 답변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교내 동아리 또는 교내 근로 및 학교 상권 내 아르바이트 공고를 홍보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에타 커뮤니티의 장점은 익명성이다. 그래서 실명을 드러내고 어려운 고민이나 생각을 밝히고 또래 대학생들로부터 조언이나 공감을 얻기도 한다. 그리고 학교 내 문제점이나 교내 부조리 사건을 비판하기도 한다. 실제로 많은 대학에서 익명성에 힘입어 교내 부조리나 부당한 사건을 밝힌 사례도 자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에타는 익명성이기 때문에 때론 조롱 또는 욕설과 같은 악플 문제가 있으며 특정 대상으로 한 혐오도 나타나기도 한다. 심지어 허위 사실 유포가 되고 이에 대해 사실 검증도 되지 않은 채 비난을 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같은 학교 학우들로부터 악플을 받았다는 점에서 당사자는 그 상처가 더 크다. 이러한 점이 에타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익명성 개선에 대한 목소리도 나왔다.

 


슬라이드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석종희 대학생기자]


대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에타 익명성 개선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우선 설문조사 참여 인원 112(100%) 모두 에타를 현재 이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에타 익명성 문제를 개선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엔 절반 이상이 개선하자는 의견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응답자 112명 중 개선해야 한다답변이 62(55.4%)이 차지했다. 반면 '안 해도 된다답변에는 26(23.2%)이 나타났다. 그리고 잘 모르겠다답변에는 24(21.4%)이 나타났다.

 

슬라이드2.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석종희 대학생기자]


에타 익명성을 개선해야 한다라고 답한 62명 대상으로 익명성 문제를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가?’ 질문했다. 그 결과 응답자 중 약 3분의 1이 익명성 자체를 개선하기 보다는 익명성을 유지하되 신고 기능을 개선하자는 의견이 보였다. 구체적으로 응답자 22(35.4%)이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학번이 나오게 하는 의견이 15(24.2%)이 나타났다. 글쓴이는 익명으로 하고 댓글은 실명하자는 의견엔 8(12.9%)이 나타났으며 이와 유사한 비율로 전원 실명제 하자는 의견이 7(11.3%)이 나타났다. 글쓴이만 익명 보장하고 댓글을 학번까지 나오자는 의견엔 5(8.1%)이 답했으며 기타 의견 역시 5(8.1%)이 나타났다. 위 통계를 통해 익명성을 유지하되 신고 기능 개선의 필요성이 보였으나 과반수 의견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실명제에 대해서는 약 10명 중 1명 정도로 아직까진 소수 의견으로 보인다. 이 외에 부분적인 실명제나 학번까지 공개되는 의견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 사태 이후 대학교가 비대면 사회로 바뀌었다. 그래서 대학생들 간의 정보 교류나 또래 학생들로부터 얻는 조언, 학사 정보를 얻는 부분에 있어서 에타 내 커뮤니티 기능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시에 에타의 익명성 문제점 역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에타에 익명성 개선이나 신고제도 개선은 필요하다. 물론 실명제를 하지 않는 이상 익명성의 본질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을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용자들이 에타를 올바르게 이용하는 인식과 태도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기 대학생기자 석종희]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381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225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7257
온가족과 함께하는 2022 게임문화제, 에버랜드서 개막 file 2022.11.11 이지원 8767
‘제2회 충청남도 미래세대 SDGs 발표대회’ 개최 file 2022.10.30 이지원 8760
LX한국국토정보공사, ‘LX국토 브릭아트 공모전’ 개최 file 2022.06.04 이지원 8757
문화예술네트워크 위드, 파리공원 살롱드파리서 ‘선물 받은 하루’ 크리스마스 행사 file 2022.12.19 이지원 8756
날컴퍼니, 생명존중 뮤지컬 '나는나비' 공연 개최 file 2023.05.29 박주영 8743
하자센터, ‘지구의 회복탄력성을 연구하는 실험실, 탱탱랩’ 환경프로젝트 진행 file 2022.06.07 이지원 8738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2022 콘텐츠(음원) 제작 지원 참여자 모집 file 2022.07.27 이지원 8732
"우정은 가장 섬세한 사랑이다"...영화 '소울 메이트' file 2023.06.13 22기배현주기자 8728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2022년 지역맞춤형 안녕캠페인 공모사업 성료 file 2022.12.23 이지원 8724
영화 '거울 속 외딴성' 오는 12일 개봉...한국 박스오피스 상륙 file 2023.04.11 최나린 8716
글로벌사이버대학교, “국내외 명화를 만나는 미술관 여행” 온라인 무료 특강 개최 file 2022.10.18 이지원 8692
시립문래청소년센터, 2023년 청소년환경축제로 청소년의 생태문화 만든다 file 2022.11.22 이지원 8682
충청남도청소년진흥원, ‘제2회 충청남도 미래세대 SDGs 발표대회' 성료 file 2022.11.09 이지원 8681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WE' file 2023.03.27 고민서 8663
니트 청년의 진로 방향 위한 ‘니트인베스트먼트’ 최종 공유회 ‘일 좀 내볼까’ 개최 file 2022.07.21 이지원 8652
뮤지컬 ‘나는나비’, 세상의 모든 나비들에게 전하는 메시지 file 2023.06.13 최승현 8649
아름다운가게, 창립 20주년 기념 엠블럼 발표 file 2022.09.02 이지원 8648
한국교육개발원, 건강장애학생 교육 기회 확대 및 소통을 위한 메타버스 온라인 미술캠프 개최 file 2022.11.01 이지원 8627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디지털 기술 활용 제안하는 온라인 민주주의 캠프 진행 file 2022.09.05 이지원 8618
한국청소년연맹, 코로나19 이후 첫 축제형 청소년 국제행사 ‘ESG 희망포럼’ 개최 file 2022.07.12 이지원 8600
서울문화재단, 삼일로창고극장 11일부터 '창고 개방' 기획 사업 개최 file 2022.10.07 이지원 8580
아이러브북, 제1회 이달의 책 공모전 개최 file 2022.12.28 이지원 8565
팬데믹 속 숨통이 되어주는 문화생활 1 file 2022.02.03 임민영 8561
외로운 이들에게 바치는 영화, '거울 속 외딴 성' file 2023.04.19 유영진 8558
우체국예금·보험과 함께하는 2022 우체국 문화전 file 2022.06.07 이지원 8548
신나고 흥미로운 연수구 도서관 여행 file 2022.06.02 최인영 8536
2년 만에 개최된 서울모빌리티쇼...관람객 '북적북적' file 2023.04.18 박서율 8534
강남구립 역삼청소년수련관, ‘강남구 아동정책참여단’ 정책 제안 활동 진행 file 2022.11.22 이지원 8528
한국장애예술인협회, ‘2022 장애예술인수첩’ 발간 file 2022.12.09 이지원 8521
우리나라 대표 벚꽃 축제 '진해 군항제'를 소개합니다 file 2023.04.07 이설현 8519
시립강동청소년센터, 가족환경 봉사활동 프로그램 ‘우리마을 환경 家꿈단’ 운영 file 2022.11.25 이지원 8510
서울시, 15개 지자체와 청소년 문화 교류 추진 file 2023.03.03 디지털이슈팀 8505
삼성전자, 갤럭시 익스피리언스 스페이스 24개 도시서 운영 file 2023.02.08 디지털이슈팀 8505
학생 선수와 일반 학생이 함께하는 2022 청소년스포츠한마당 스쿼시대회 개최 file 2022.08.08 이지원 8493
아름다운가게, 명품 의류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캠페인’ 선봬 file 2022.12.19 이지원 8490
서울시립미술관, '에드워드 호퍼: 길 위에서' 전시 개최 file 2023.06.29 이민주 8478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개관 40주년 기념 ‘장애인복지관 디지털 전환’ 온라인 세미나 개최 file 2022.11.29 이지원 8463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도전.한국: 국민주도형 작은연구 공모전’ 개최 file 2022.07.29 이지원 8461
게임문화 가족캠프, 가족 화합의 도구로! file 2022.12.16 이지원 8427
국산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거신: 바람의 아이' file 2023.05.24 최영서 8426
'거신 바람의 아이', 국내 애니메이션 흥행에 도전하다 file 2023.06.29 김휘진 8413
서울문화재단, 예술 사각지대 지원하는 ‘서울예술인희망캠페인’ 시작 file 2022.06.28 이지원 8411
세븐, 이다해 결혼식...YG 패밀리 한 자리에 file 2023.06.01 박태양 8409
경쟁보다 성장이 우선된 ‘제22회 대한민국청소년미디어대전’ 성료 file 2022.12.06 이지원 8382
마포구 청소년을 위한 학습멘토링 ‘아름다움’ 운영 file 2022.06.20 이지원 8367
[포토] 일상을 감성 여행으로...부산 요시고 사진전 file 2023.07.26 진혜원 8357
다이소, 소중한 마음을 전하는 ‘발렌타인데이 기획전’ file 2023.01.27 디지털이슈팀 8356
아름다운가게, 아름다운 나눔보따리 스무 번째 새해 나눔 file 2023.01.16 디지털이슈팀 83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