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복잡한 미국의 대선 방식, 어떻게 진행되고 왜 그럴까?

by 19기김진현기자 posted Nov 04, 2020 Views 1395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미국 대선이 오랜 준비 끝에 시작되었다. 민주당, 공화당 두 당의 바이든, 트럼프 후보가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미국의 대선 방식은 대한민국의 방식과 많은 차이가 있다. 한국보다 복잡하고 어려운 미국의 대선 방식. 어떤 형태이고 왜 그렇게 됐을까?

 

먼저 우리나라의 대선 방식은 직접 선거를 채택하고 있다. 당선된 후보자는 5년 임기 단임제로 연임이 불가하다. 반면에, 미국은 주()별로 선거인단을 통한 간접 선거와 승자독식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임기는 4년이고 연임제로 당선이 된다면 연임이 가능하다.

 

대선과정.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김진현기자]


복잡한 미국의 대선 방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일까?

먼저 각 당의 대통령 후보자들은 각 주를 돌며 유권자들에게 유세를 하고, 유권자는 자신의 마음대로 두 후보 중 한 명을 골라서 투표하게 된다. 유권자들의 투표가 끝난 뒤, 두 후보는 어느 주에게 더 많은 득표수를 얻었는지 보고 각 주별로 자신이 이긴 주의 선거인단을 모두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당의 당원으로 구성한다. 이를 승자독식제도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선거인단은 어떻게 구성되는 것일까?

현재 미국의 선거인단은 총 538명이다. 연방 하원 의원 435, 연방 상원 의원 100, 수도 워싱턴 D.C. 3. 이렇게 538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원 의원은 각 주마다 인구비례로 인해서 정해지고, 상원 의원은 각 주마다 2명씩 있다. 선거인단이 가장 많은 주는 캘리포니아 주로 55명이고, 텍사스주, 뉴욕주가 38, 29명으로 뒤를 잇는다. 가장 적은 주는 알래스카주, 몬태나주, 델라웨어주 등으로 3명이다.


유권자들의 선거가 모두 끝나고 두 후보에게 어느 선거인단이 있는지는 이미 정해져 있는 상태에서 선거인단이 다시 투표를 진행한다. 이때 다른 당의 후보를 찍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유권자들의 투표로 결정이 나는 것이나 크게 다름없다.


예를 들어보자면, A, B라는 후보가 있다고 가정하자. 각 후보는 여러 주에서 유세 운동을 했고, 각 주마다 두 후보에 대한 선거를 마친 상황이다. 개표해 보니 'ㄱ' 주에서는 100명의 주민이 있고 40;60으로 후보가 스무 표를 더 득표했다. 이럴 경우 10명의 선거인단이 있다고 가정하면 10명의 선거인단을 A4, B6명을 가져가는 것이 아닌, B10명 모두 자신이 속해있는 당의 당원으로 구성한다. 이를 승자독식제도라고 하며 이러한 특이한 제도 때문에 미국 국민 전체 득표율은 상대 후보에 비해서 밀리지만 선거인단을 더 가져갔다는 이유로 당선되는 경우가 있다.


과거에 이러한 경우가 (전체 득표율은 낮지만, 더 많은 선거인단 확보로 당선된 경우) 있었을까?

과거에 총득표수는 더 많지만 당선에 실패한 사례는 총 네 번이 있다. 가장 최근의 사례는 2000년에 알 고어 후보와 존 W. 부시 후보가 맞붙은 대선이다. 유권자의 총득표수는 알 고어 후보가 54만 표를 더 얻었지만, 선거인단을 한 명 더 확보한 존 W. 부시 후보가 당선되었다.

 

최고의 민주주의 국가로 불리는 미국에서 어떻게 이렇게 비민주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간접선거제도를 채택하고 있을까?

미국이 이러한 선거제도를 채택한 데는 전통적인 이유가 있다. 18세기 미국은 아메리카 대륙의 국가들이 아메리카합중국 연방을 이루던 때였고, 당시의 연방국 크기와 규모에 비해서 통신, 교통 등이 턱없이 수준 부족이었고, 국민들의 정치적 인식들조차 미약하던 때였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견해가 있는 사람들로 각 주마다 대표를 차출해서 내보내도록 하게 된 것이 발전하여 지금의 선거인단 제도가 생겼다.


간접선거까지는 큰 불만의 목소리는 없다. 하지만 미국 국민들의 불만 목소리가 높은 것은 승자독식제도이다. 승자독식제도의 기원도 18세기이다. 18세기 아메리카합중국 연방을 이룬 아메리카 대륙의 국가들은 각기 다른 법, 화폐 등을 사용할 정도로 따로 움직였다. 이렇게 따로 움직이던 각 주들은 연방 대통령 선출에 대해 꽤 격렬한 논쟁이 이어졌고, 각 주마다 인구에 맞는 선거인단을 꾸려서 투표하자는 결정이 났다. 이러한 결정이 나자 여러 주들은 어떠한 사람들로 선거인단을 꾸려서 선거에 내보내야 할지가 큰 고민거리였다. 왜냐하면 대선 결과가 각 주의 어떠한 이익을 줄지 여러 방면으로 계산해보고, 생각해본 뒤 완벽히 이익주의로 선거에 임해야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신의 주에 어떤 대통령이 더 큰 이익을 줄지 생각을 끝마친 뒤 선거인단의 대통령 선거가 시작되었기에 각 주의 선거인단은 자신들끼리 모두 한 후보자를 선택하게 된 것이 지금의 승자독식제도의 유래이다.


현재 미국 대선 후보인 트럼프와 바이든. 어떠한 후보가 당선되어야 우리나라에 더 큰 이익을 줄지 생각하며 앞으로 시작될 대선을 지켜보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17기 김진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682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473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8891
청소년들의 순수한 팬심을 이용하는 엔터테인먼트의 장사술, 이대로? 2 file 2016.09.25 이세빈 16728
청소년들의 비속어 사용,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file 2017.10.30 주진희 67859
청소년들의 금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4.07.31 이종현 21046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오남용 실태 8 2016.03.21 이현진 23669
청소년들을 좌지우지 할 대선 후보들의 교육정책 3 file 2017.05.07 김서영 11583
청소년들은 정치에 관심이 있을까? 5 file 2017.08.20 박지은 24265
청소년들에게 선거권을 부여해야 하나 9 2016.04.13 이현진 18918
청소년들에게 물어보다, 청소년 범죄 처벌 강화 찬반 1 file 2017.09.12 고다영 27861
청소년들, 사드(THAAD)를 어떻게 생각할까? 1 file 2017.03.20 4기이예인기자 11725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③죄수의 딜레마 2019.04.01 하예원 15098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② 자이가르닉 효과 2 file 2019.02.18 하예원 15302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① 리플리 증후군 file 2019.01.04 하예원 14396
청소년과 정치 1 file 2018.11.26 장보경 13620
청소년, 권리를 외쳐라! - 'Be 정상회담' 성료 2 file 2017.10.23 김현서 11193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2402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21879
청소년 흡연, 치명적인 독 file 2014.07.31 이가영 34434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2432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3401
청소년 투표권, 당신의 생각은 어떠한가요? 12 file 2017.01.17 신호진 37782
청소년 타깃 담배 광고가 흔하다고? 5 file 2020.08.03 위성현 17092
청소년 지능범, 보호해야 하나? 2 file 2018.10.11 남승연 11219
청소년 인권 개선 위해 팔 걷고 나선 학생들 4 file 2018.02.21 변정윤 13043
청소년 운동 부족 이대로 괜찮을까? 3 file 2019.05.17 김이현 22594
청소년 언어문화,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7 장은영 30813
청소년 언어문제 , 욕설문제 해결이 우선 file 2014.07.27 이동우 54085
청소년 아르바이트, 보호 vs 인정 2 file 2019.01.22 박서현 16664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폐해 2020.05.25 이수미 9593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884
청소년 봉사활동, 그 논란의 중점에 서다 3 file 2016.08.21 조혜온 18776
청소년 보호법 폐지, 그리고 청소년 3 file 2017.09.25 이다은 13964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6733
청년실업률 40%시대, 청년들의 디딤돌 '서울시 뉴딜일자리사업' 1 file 2017.01.23 김지수 19905
청년세대 10명 중 6명 "원하는 직장 찾을 때까지 취업 N수할 것" file 2023.04.19 디지털이슈팀 6213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8139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6705
청년 실업정부의 대책, 청년구직활동지원금 file 2019.03.26 권나연 12587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757
첫 코로나 백신, 앞으로의 문제는? 2020.08.24 이채영 8974
첫 mRNA 백신 등장,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은 PEG일까? file 2021.05.03 차은혜 9706
철원 자주포 사고, 2년 전과 똑같은 비극이 반복되다. 2 file 2017.09.05 권민주 12955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12575
천안시, 선거구 획정안에 ‘게리맨더링’ 의혹 2 file 2016.03.17 이우철 18789
챌린저들의 챌린지 1 file 2016.04.18 김은아 17672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8266
창립 50주년 기념 제18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14 이지원 5859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5609
참여의 결과. 기쁘지만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 file 2017.03.19 김유진 110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