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by 17기조은우기자 posted Nov 02, 2020 Views 89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20년 10월 25일,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이 별세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이어 많은 정당인들과 언론매체가 앞다투어 긴급뉴스를 전했다. 이건희 회장은 2014년 5월 10일 급성 심근경색으로 인한 심장마비를 겪으며 건강이 악화되어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해있었다. 고인은 1999년 11월 폐 림프암 수술을 받으며 호흡기 건강이 좋지 않아 일본에서 지내기도 하였다. 고인은 '어떤 승리에도 우연은 없다.', '여성 활용 못하면 손해다.', '남의 발목 잡지 말아라.' 등 경영자로서 여러 가지 발언을 남겼다. 고 이건희 회장은 탁월한 미래 모습을 제시하고 삼성그룹을 한국 대표 기업을 넘어서, 글로벌 대표 기업으로 키운 장본인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스마트폰, 반도체, TV 부문에서 세계 시장 1위를 기록하며 세계 최고의 정보기술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회장의 별세에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고인의 빛과 그림자를 차분히 생각하며 삼가 명복을 빈다"고 했다. "고인의 여러 말씀은 활기 있고 창의적인 기업문화를 만들었다. 우리 사회에도 성찰의 고민을 던져줬다"고 했다. 그러나 "재벌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강화하고, 노조를 불안정하게 하는 등 부정적 영향을 끼치셨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는 말을 덧붙였다. 또, 정호연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조의를 표하면서 정경유착, 무노조 경영 등 초법적 경영 등으로 대한민국 사회에 어두운 역사를 남겼다고 언급했다. 


10월기사그림.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기 조은우기자]


우리나라 최고기업 회장의 별세로 갑자기 많은 사회문제가 발생했다. 아직 보상받지 못한 노동자들과 피해자들, 이건희 회장의 상속세 등 해결해야 될 문제들을 차차 해결해나가자는 반올림(시민단체)의 의견이 있었다. 반올림은 "이건희의 삼성이 저질러 온 많은 문제들이 지금까지 해결되지 않았고 직업병 피해자들을 비롯해 시민사회에 대한 불법사찰 행위를 해결하라는 요구에는 답이 없고 과거 경영 사퇴, 비자금 사회 환원은 끝내 지켜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시는 이런 불행한 일들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란다" 말했다. onebyone.gif?action_id=ff943dd20f460c899우리나라 기업, 정당뿐 아니라 외신들도 이건희 회장의 별세 소식에 애도를 표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17기 조은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김성규기자 2020.12.01 12:01
    이면의 평가가 존재하는 인물이긴하지만 경제발전에 힘을 썼다는 이유로 저는 좋은 경영인이라고 평가하고 싶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390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181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5727
올해 최강 한파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 들. 10 file 2017.01.19 최예현 17101
청소년 투표권, 당신의 생각은 어떠한가요? 12 file 2017.01.17 신호진 37724
‘하기스 퓨어 물티슈’ 등 10개 제품, 메탄올 기준치 초과.. 판매 중지 및 회수 조치 13 file 2017.01.16 김해온 22901
[현장취재] 재계 농단, 블랙리스트에 뿔난 촛불민심, 강추위에도 여전히 불타올라 12 file 2017.01.15 김동언 26067
특검의 히든카드 '국회청문회위증죄', 이젠 진실을 밝힐 때가 왔다 19 file 2017.01.15 김다인 19232
추위 속 진행되는 ‘촛불집회’, 국민들의 한마음으로 추위를 이겨내다… 15 file 2017.01.14 이윤지 24123
시민의 발'지하철'이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 17 file 2017.01.14 진현우 17954
서울대, 잇단 성추문에 몸살 24 file 2017.01.12 이승욱 20111
그들은 왜 우리에게 선거권을 안줄까요?···만 18세 선거권 가능성 기대 21 file 2017.01.11 박민선 22640
영하 8도... 2016년 마지막 수요 시위 15 file 2017.01.11 유나영 19708
박근혜 대통령 '세월호7시간' 동안의 행적 25 file 2017.01.11 주건 19249
피고는 '옥시', 국민은 '싹싹' 32 file 2017.01.09 이주형 21418
[공지]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콘텐츠 업데이트 일자 안내 file 2017.01.06 온라인뉴스팀 16260
도시가스 요금 인상과 누진세 개편 file 2016.12.25 장서윤 29693
대한민국 국민... 광화문에서 대통합하다? 3 file 2016.11.25 김예지 18251
100만의 촛불, 대한민국을 밝히다 1 file 2016.11.25 윤지영 18985
12년의 결실, 대학수학능력시험 2 file 2016.11.25 최시헌 18617
대한민국 시민, 진정한 민주주의를 행하다 1 file 2016.11.25 전지우 16539
거리로 나온 청소년들과 선거연령 인하 4 file 2016.11.25 김혜빈 16112
백만 촛불의 간절한 외침 1 file 2016.11.24 박민서 18974
'트럼프 대학' 소송 2500만 달러로 서둘러 종결 1 file 2016.11.22 백재원 17988
2016년,고1 고2의 마지막 전국모의고사 D-1 1 file 2016.11.22 최서영 22028
“세계 화장실의 날”을 아시나요? - 세계 25억 명, 위생상태 나쁜 화장실 사용 1 file 2016.11.21 노태인 24597
청와대 '오보괴담 바로잡기' 3 file 2016.11.20 김다현 19923
불법주차 개선위한 대책마련 시급 1 file 2016.11.17 김지현 18239
수능, 마지막이자 새로운 시작 4 file 2016.11.17 서지민 17888
[종합] 광화문광장, 100만 촛불 들어서다 file 2016.11.12 이지원 18190
'박근혜는 하야하라!'전국에서 타오르는 열기, 광주 촛불 집회 2 file 2016.11.12 박하연 20144
더 빈곤해지는 노인 3 file 2016.11.09 임지민 16818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7271
한마음으로 뭉친 시민들의 광화문 집회 1 file 2016.11.06 김관영 18713
언론출판의 자유 2 file 2016.11.03 유승균 18232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18937
"국가가 살인했다…" 경찰 물대포 맞고 쓰러진 백남기 농민 사망 file 2016.10.25 유진 24287
태풍 18호 차바의 영향을 살펴보자 file 2016.10.25 김규리 18676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17087
위험천만 승용차 등하교길 그리고 해결방안 file 2016.10.25 류나경 18008
통장개설 제한만이 과연 대포통장을 막을 수 있는 해결방안인가 file 2016.10.25 조해원 23477
청소년들의 언어사용 실태 5 file 2016.10.25 김나연 69238
'우리가 백남기다', 백남기 농민 추모대회 2016.10.24 박하연 17744
18호 태풍 차바, 울산 태풍피해 심각 3 2016.10.24 김현승 18365
故백남기 농민 부검영장 강제집행 시도와 철수, 그 이후의 현장 1 file 2016.10.24 박채원 15026
복지를 통해 부의 불균형을 해결한다? file 2016.10.24 장은지 17458
흉물속의 리그 file 2016.10.23 한종현 20095
경기도 야간자율학습 폐지 찬반논란 1 file 2016.10.23 박채운 18292
김영란법에 대해 알아보자 7 file 2016.10.02 천주연 16651
죽어서도 편히 쉴 권리, 반려동물에게도! 2 file 2016.09.30 박채원 14935
상인들의 시장문화도 바꾸어버린 김영란법 2 2016.09.26 류보형 145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