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by 16기윤지영기자 posted Oct 26, 2020 Views 81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예방접종.jpg

[이미지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윤지영기자]


 국내에서 인플루엔자(독감백신을 맞은 뒤 숨진 사고가 22일 (오전 10시 기준) 13건 발생했다보건당국은 사망 원인과 독감 백신 접종 간 인과관계는 아직 확인된 바 없다고 밝혔다보건당국은 이들이 각각 다른 회사의 제품을 맞았고동일 제조번호 백신을 맞은 다른 사람들에게는 이상 반응이 없었던 점을 고려해 백신과 사망 간 연관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독감백신 예방접종 사업을 지속하기로 결정했다다만질병관리청은 보고된 9건 중 7건에 대한 역학조사와 사인을 밝히기 위해 부검 등을 진행 중이다하지만 며칠 새 백신 접종 후 사망하는 사례가 연이어 나타나자 곳곳에서는 예정됐던 접종을 취소하거나무료 접종 대상자가 유료 접종을 선택하는 경우도 나오고 있어 불안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지난 16일 오전 인천에서 17세 고등학생이 숨진 사례가 보고된 이후 전북대전대구제주서울고양성주창원 등에서 사망자가 발생했다이 중 일부는 접종 뒤 사망 시간이 빠르다는 점에서 독감 주사의 부작용인 급성 과민 반응의 가능성이 있고 나머지는 독감 백신과 관련성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게 질병관리청의 설명이다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자가 잇따라 발생한 경우는 2005년 6, 2008년 3, 2009년 8건 등 과거에도 있었지만올해처럼 일주일 새 10명 이상 발생하진 않았다.


 2009년 가을 독감 접종 후 고령자 8명이 숨졌지만 질병관리청 산하 예방접종 피해 보상 전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독감 백신과 사망 사이의 연관성을 인정받은 경우는 단 1건이다. 65세 여성 한 명이 접종 후 두 팔과 두 다리의 근력이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났고입원 치료 중 폐렴 증세가 겹치면서 사망해 독감 주사 부작용으로 인정받았다


 보통 백신의 부작용은 접종 직후 접종 부위가 붓거나 열과 몸살 기운이 드는 가벼운 전신 반응이 나타난다하지만 아주 드물게 중증 이상의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아나필락시스와 길랭바레 증후군이 대표적이다아나필락시스는 일반적으로 접종 직후혈압이 떨어지면서 의식이 혼탁해지고 쓰러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길랭바레 증후군은 사람 몸속 면역체계가 바이러스가 아닌 몸속 신경계를 공격하면서 발생한다보통 다리부터 기운이 빠지면서 전신으로 마비가 진행된다.


 한편 전문가들은 독감 백신을 둘러싼 우려가 지나친 공포로 확대될 경우 트윈데믹’(두 가지 감염병이 동시에 유행예방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국내에서 독감으로 사망하는 사람은 연평균 2900명 정도이며 이 중 90% 이상은 65세 이상 고령자다. “접종으로 사망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접종을 안 하는 상황이 벌어져선 안 된다고 말했다그러나 일각에서는 사망자가 잇따라 나오는 상황에서 백신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접종을 늦추고 지켜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6기 윤지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김성규기자 2020.12.01 12:04
    정부에서 괜찮다고 하지만 불안한건 사실이니까.... 정부에서 국민에게 신뢰를 줘야할거같아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064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720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0807
코로나19, 2차 대유행 시작 2020.08.28 김민지 8688
코로나19, 그에 따른 환경오염? file 2020.04.06 김호연 10991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8377
코로나19, 전 세계는 휴교 중 1 file 2020.05.18 임상현 10773
코로나19, 중국은 회복 중? file 2021.08.27 강민지 7058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9.01 길현희 8368
코로나19: 인간에게는 장애물, 환경에는 백신 file 2020.05.06 이유정 8422
코로나19가 IT 업계에 미친 영향 1 2020.04.13 이혁재 9311
코로나19가 당뇨발생 위험률 높인다 2022.05.16 신은주 10402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8175
코로나19가 항공업계에 미친 영향 file 2020.04.08 이혁재 13798
코로나19로 더욱 깊어진 게임 중독의 늪 file 2020.05.28 오윤성 11269
코로나19로 변한 학교생활 file 2020.09.03 정예린 8557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의 소비율 감소. 실업자 증가 1 file 2020.03.23 정다현 9332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삶 3 file 2020.05.18 김혜원 13140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8112
코로나19에 따른 빈곤 문제는? 2 file 2020.08.13 전지영 9790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8017
코로나19의 분야별 피해 현황과 그 해결책은? file 2020.03.02 전지영 9652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8181
코로나19의 재확산세, 방역모범국도 흔들린다 2 file 2020.08.21 김상현 10274
코로나19의 한복판에 선 디즈니월드의 재개장 file 2020.09.21 염보라 11622
코로나19의 후유증 '브레인 포그' 3 file 2020.09.10 오현지 13359
코로나가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은? file 2020.07.22 김다인 16457
코로나가 환경을 살리다?_떠오르는 환경이슈 1 2020.04.14 남지영 9675
코로나로 무너진 세계 file 2020.05.13 이채영 9508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0600
코로나로 인한 여행 file 2020.06.08 양소은 8532
코로나를 통한 사재기와 우리의 태도 file 2020.03.30 이수연 8263
코로나바이러스 자세히 알아보자 4 file 2020.02.24 이수연 12797
코로나의 피해.. 어느 정도? file 2020.02.28 민아영 9166
코리아 스태그플레이션 2021 file 2021.08.09 전인애 11948
코스피 변동성 증가,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file 2021.02.08 정지후 7580
코시엘니 사태로 바라본 정당하지 않은 선수들의 태업 file 2019.07.15 이준영 15185
코에 빨대가 꽂혀있는 거북이가 발견된 그 이후, 지금 file 2019.06.07 박서연 18104
코피노, 이대로도 괜찮을까? 2018.10.24 석주은 11600
콘서트 티켓 한 장이면 "100만원" 벌기는 식은 죽 먹기? 8 file 2016.03.13 이소연 22387
쿠웨이트 총리 첫 방한 file 2016.05.15 이아로 18211
퀴어 퍼레이드 그 스무 번째 도약, 평등을 향한 도전! 서울 도심 물들인 무지개 file 2019.06.07 정운희 14816
클라우드 기술, IT 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file 2019.11.27 이선우 14057
클릭 금지! '택배 주소지 재확인' 11 file 2017.01.22 최영인 21071
키즈 유튜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9.02 선혜인 14791
타오르는 촛불, 펄럭이는 태극기 그리고 헌법재판소 1 file 2017.02.11 이동우 15183
타타대우 상용차 등 다수의 기업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 1 file 2017.11.21 양원진 13450
탄소배출권, 공장은 돈을 내고 숨을 쉰다? 4 file 2019.04.11 김도현 17994
탄핵 이후, 해결해야 할 과제! file 2017.05.13 양수빈 9638
탄핵 판결을 내린 헌법재판관 8명을 고소한 우종창, 그는 누구인가? 1 2017.04.02 김민정 11927
탄핵 후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들 file 2017.03.19 박윤지 122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