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해양 쓰레기 증가, 바다도 아프다

by 18기이수미기자 posted Sep 28, 2020 Views 10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시원하고 청량한 느낌이 드는 그곳, 바로 바다이다. 바다는 우리가 지친 일상 속에서 쌓인 스트레스를 풀어 주며 마음의 위로를 선사하는 장소이다. 그러나 계속해서 쌓이는 해양 쓰레기로 바다의 생명체들이 서서히 죽어가고 있다. 해양 쓰레기란 바다 표면과 바닷속에 존재하는 쓰레기로, 인간이 만들어 낸 쓰레기가 고의 또는 부주의로 해안에 방치되거나 유입, 배출되어 해양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고형물로써 재질과 종류, 기존 용도를 불문한다. 물에 뜨는 쓰레기는 조류를 타고 해변에 쓸려와 쌓이는데, 이를 따로 해안 쓰레기라 일컫는다. 이로 인해 바다 한가운데에 쓰레기 섬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연간 해양 쓰레기 발생량은 145,258톤으로 육상 기인은 94,814톤이고, 해상 기인은 50,444톤이 된다. 하천을 통해서 들어오는 쓰레기가 12만 톤, 바다에서 생성되는 쓰레기가 6만 톤으로 매년 18만 톤 정도가 바다로 유입된다


IMG_20200925_204501.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이수미기자]


그중 플라스틱 쓰레기는 126천 톤이다. 이는 해안 쓰레기 중에 플라스틱 쓰레기가 90% 정도 존재하는 셈이라고 할 수 있다. 플라스틱은 편리성, 보존성이 용이해 많은 이들이 사용하는데 다시 순환되지 않기에 큰 문제를 초래한다.


중국은 연간 882만 톤의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여 전 세계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나라 1위로 뽑힌다. 2위는 인도네시아, 3위는 필리핀, 4위는 베트남이다. 플라스틱 쓰레기는 자외선이나 풍화에 의해 5mm 이하의 작은 입자 조각으로 쪼개져 해파리 유생들이 영양분으로 먹으면서 자라 해파리의 급증을 이끌고, 해양 동물들에게 DNA 손상, 생식 이상 등을 일으킨다. 플라스틱 조각은 조개, 불가사리 등의 갑각류와 어패류의 몸속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그것들을 섭취한 사람들은 연간 10만 개 이상의 플라스틱 조각이 체내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축적된 플라스틱 조각은 인간에게 악영향을 끼친다.


해양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빨대 사용을 줄이거나 샴푸, 치약 등을 덜 사용하고, 일회용 제품의 사용을 줄이는 것이 해양 쓰레기 감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6기 이수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28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18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595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725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965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420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180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3248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1584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800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369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329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688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669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20205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469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877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698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2109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3227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20044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165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9597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241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4667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630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285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481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9402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1422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426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422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255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417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893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2486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944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908
양날의 검, 9시 등교 2014.09.25 김익수 21293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2759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489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5 이지원 26528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2840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308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699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612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2583
9시 등교, 갈등의 기로에 있지만 보안한다면 최고의 효과 2014.09.25 김신형 26971
과연 9시등교 좋은 것일까 안 좋은것일까? 2 2014.09.27 김민성 26947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292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55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