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피해액만 200억 원! 필라델피아, L.A. 등의 한인 상점 약탈

by 18기심승희기자 posted Sep 23, 2020 Views 1079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한인타운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심승희기자]

미국 내 인종차별 항의 시위가 약탈 시위로 번지면서 한인 타운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미국 전역에서 120건이 넘는 한인 상점 피해 사례가 신고되었고 특히 한인 7만 명이 거주하는 필라델피아의 상황이 매우 심각하다.


흑인 시위의 발단은 다음과 같다. 지난 525일 오후 8시 조지 플로이드라는 흑인이 편의점에서 담배를 사기 위해 20달러를 지불했는데 편의점 점원이 위조 지폐라며 경찰에 신고했다. 출동한 경찰관 4명이 플로이드를 체포하는 과정에서 그가 술에 취해 있다고 판단해 권총을 조준하며 협조를 요구했다경찰차로 연행되는 것을 거부한 플로이드는 호흡 곤란 증상을 호소하기 시작했고 경찰관 데릭 쇼빈은 단순한 변명으로 판단하고 수갑을 채운 뒤 조지 플로이드를 바닥에 엎드리게 한 후 무릎으로 목을 눌렀다. 이때 플로이드는 숨을 못 쉬겠다고 애원했지만, 경찰관은 묵살했다. 결국, 플로이드는 코피를 흘리며 의식을 잃었고 구급차가 도착했을 때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이 사건 동영상이 인터넷에 퍼지면서 시민들은 분노하기 시작했고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시위는 약탈과 방화로 이어지고 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미국 일부 지역에서 시작된 항의 시위가 미국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끊임없는 미국 경찰의 흑인에 대한 과격한 진압 논란과 정치인들의 막말이 맞물리면서 그동안 억눌렸던 흑인 사회의 감정들이 약탈과 방화, 폭력을 동반한 폭동으로 이어졌다.


미국 전역의 마트와 소매점 등을 대상으로 약탈과 방화가 이어지고 있고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필라델피아의 피해는 심각한 수준이다. 6 4일을 기준으로 한인 상점 피해는 총 126곳이며 필라델피아 56, 시카고 14, 미니애폴리스 10, 세인트루이스 10, 워싱턴 D.C 4건 등으로 집계되었다. 6 1일부터 주 방위군은 LA 한인타운의 치안 유지와 시위대의 한인 상점 약탈 등을 막기 위해 군 병력 투입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윌셔대로의 한인타운 주요 길목 곳곳에 주 방위군이 배치되어 삼엄한 경계에 들어갔다고 한다. 상점을 운영하는 한인들은 시위대가 올 것을 우려해 총을 차고 근무하고 있다.


민경득 워싱턴 한인식품 협회장은 협회 차원에서 성난 흑인들에게 대응하지 말 것을 당부하였고 주 미 대사관 영사과에서는 대규모 항의 시위가 계속되는 위험 지역의 방문을 자제하고 긴급 상황 시에는 영사과로 연락해 달라고 당부했다.


외교부는 한인 단체 등과 긴밀하게 연락을 취하며 한인 밀집 지역 법 집행 기관과의 치안 협력 강화 등 재외국민 보호 대책 본부를 설치하는 등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6기 심승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373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166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5556
고1 당원 배지, 고3 금배지 다는 시대가 다가온다 file 2022.01.24 강준서 9827
기업의 물적분할,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2.01.24 류민성 10135
광주 학동 참사에 이은 화정아이파크의 붕괴... 건설사 HDC현대산업개발은? file 2022.01.24 김명현 13941
안철수 딸 안설희 박사, 안철수 지지율 상승에 큰 힘이 될까 file 2022.01.25 윤성현 29622
인류가 맞이한 최대 위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해결책은 '회복 탄력성'... 그렇다면 한국은? file 2022.01.27 한승범 9719
예멘 후티 反軍, 아랍 에미리트 향해 미사일 공격 1 file 2022.01.27 권강준 6345
필리핀,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file 2022.01.28 최윤아 8004
드디어 임박한 토론, 후보들의 앞에 놓인 과제는? file 2022.02.03 김희수 10463
강원도 스키 강사 초등생 성폭행 사건 발생 file 2022.02.07 오경언 7022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file 2022.02.08 이성훈 8334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file 2022.02.21 윤초원 6143
국민연금, 대표소송 통해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 나서나 file 2022.02.22 류민성 6503
러시아 그리고 우크라이나,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file 2022.02.24 강민지 6388
대선에만 치우친 시선, 2022년 재보궐선거는? file 2022.02.25 고대현 9459
이별 후 과도한 집착과 가스라이팅... 이제는 형사처벌까지? file 2022.02.25 김명현 9430
'동유럽'의 전쟁과 '동아시아'의 전쟁 file 2022.02.28 김준기 6601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file 2022.02.28 한건호 8261
우크라이나 사태와 반도체 기업 file 2022.02.28 이준호 6358
이재명-김동연 → 윤석열-안철수, 막바지 판도 흔드는 단일화 변수 file 2022.03.04 김희수 8814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631
대한민국의 다음 5년은 누가 이끌어갈 것인가? file 2022.03.08 강준서 5995
실업의 종류와 대책 - COVID-19 펜데믹으로 인한 실업자 급증 file 2022.03.10 권나연 9662
제2 벤처붐 분다 file 2022.03.15 류민성 7407
이란, 이라크 이르빌 향해 미사일 공격 file 2022.03.16 권강준 7390
윤석열 대통령 당선에 대한 각국의 반응은? file 2022.03.21 이유진 10085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원자재 수급 불안 가속화하다? file 2022.03.25 이성훈 8994
재건축 규제 완화 공약...강남 집값 상승 전환 file 2022.03.28 송경원 9971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6390
GOS 게이트 톺아보기 file 2022.03.28 이준호 18861
소수의 권력층에 의해 행해지는 전쟁, 그 참상에 대하여 file 2022.04.01 강도현 7330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대통령 집무실과 관저는 어디로 정했나? file 2022.04.26 강준서 7502
HDC현대산업개발 '광주화정아이파크' 전면 재시공 file 2022.05.09 김명현 7679
코로나19가 당뇨발생 위험률 높인다 2022.05.16 신은주 10773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6681
한국청소년재단, ‘투표한다람쥐’ 캠페인 실시 1 file 2022.05.30 이지원 5727
푸른나무재단, '마음 톡톡 페스티벌'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실시 file 2022.06.02 이지원 8507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산불 진화 현장 속 '숨은 영웅' 자원봉사자 활약 소개 file 2022.06.07 이지원 7216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6·10민주항쟁 35주년 기념 ‘2022 민주주의 창작공모전’ 개최 file 2022.06.08 이지원 6388
환경실천연합회, 대기 환경 개선 위한 ‘대기를 살리는 청년들’ 서포터즈 모집 file 2022.06.13 이지원 6498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6686
창립 50주년 기념 제18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14 이지원 5846
‘코로나19 시대에서 일상회복으로의 전환기에 청소년들이 겪는 생활실태’ 주제로 서울특별시 청소년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20 이지원 7790
한글문화연대, ‘제2회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 개최 file 2022.07.01 이지원 5833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도보 이동권 문제, 청년들이 내놓은 개선 방안 공유 file 2022.07.15 이지원 7582
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2022 스마트폰 가족치유캠프 개최 file 2022.07.15 이지원 7978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8115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청소년 위한 민주시민 교육 ‘좋은시민이란 무엇일까?’ 프로그램 운영 file 2022.08.09 이지원 6546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OS생명의전화’ 운영 11년 차 맞아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file 2022.08.12 이지원 65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