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이제야 끝난 장마, 기후변화에 경각심을 가질 때

by 16기박영주기자 posted Sep 07, 2020 Views 83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올여름, 대한민국은 비와 전쟁을 하였다. 올해는 예년보다 유독 비가 많이 내렸고, 이와 더불어 피해 또한 막심하였다.


 끊이지 않는 장마로 인해 홍수가 나는 일이 다반사였다. 반포한강공원과 여의도한강공원은 침수되었었으며 이로 인해 한강 물이 6.5m 이상 불어나면 완전히 잠기는 잠수교 또한 오랜 기간 물에 잠겼었다. 이뿐만이 아니다. 양주역과 광주의 평동역 또한 폭우로 인해 침수되어, 이로 인해 시민들과 관계자들이 큰 불편을 겪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는 매년 장마를 겪고 있지만, 올해처럼 전국적으로 홍수를 겪은 적은 많지 않았다. 이번 여름에는 습도가 매우 높았으며 세차게 쏟아지는 비에도 온도가 크게 떨어진 기록이 보이지 않았다. 더불어 길어지는 장마에 인터넷 검색창에는 ‘2020년 장마 기간’, ‘2020년 장마 언제까지’ 등의 검색어도 자주 등장하였다.


 올여름, 우리가 몸소 겪은 날씨는 분명 평소와 달랐다. 피해 사례를 보는 것만으로도 이를 충분히 느낄 수 있다.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어떤 것이 긴 장마와 폭염을 유발한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정답은 ‘기후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 기후변화는 온난화와 태양열 등으로 인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변하는 현상으로, 몇십 년 전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온 논란이다. 지구의 평균 기온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환경기구의 경고에도 정부와 시민들은 크게 동요하지 않았고, 끝내 사태는 벌어졌다. 잦은 홍수, 북극의 빙하가 녹는 것, 해수면 상승, 또한 각국에서 일어나는 산불들 모두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다. 올해 우리나라에서는 홍수로 인해 7,000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다. 더욱 심각한 일은, 이렇게 우리의 코앞까지 쫓아와 삶을 위협하는 기후변화가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면밀히 살펴보도록 하자.


8월-기사-사진.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박영주기자]


 우리가 익히 들어온 지구 온난화는 그저 머릿속에서 멈춰 있다. 해결 방안을 알고 있음에도 실행률이 높지 않아, 홍수와 산불이 거듭되었고 끝내 다량의 나무가 사라진 것이다. 나무는 일상생활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능력을 갖췄다. 그러니 나무가 사라졌다는 것은 즉,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매개체 또한 사라졌다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우리는 북극의 얼음이 녹고 있다는 사실도 알고 있다. 그러나 이를 막기 위해 행동하지 않는 우리는 얼음이 녹는 원인 중 하나인 석유 회사의 편에 섰다고도 할 수 있다. 결국 다량의 빙하가 녹아 바다로 흘러가게 되었고, 태양의 온도를 흡수해 줄 매개체 또한 사라지게 되었다. 이처럼 온난화와 탄소들로 인하여 기후변화는 가속화되고 있다.


 기후변화는 해수면 상승, 폭염, 산불, 그리고 식량 생산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마르지 않는 폭우에 농가들이 큰 손해를 보게 되어 농산물의 가격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해수면 상승은 홍수 피해를 더 악화시키는데, 해수면이 60cm 상승할 때마다 홍수로 인한 이재민은 증가하고 벼 생산률은 감소한다고 한다. 환경재단인 그린피스는 이대로라면 앞으로는 매년 한 차례씩 올해와 같은 홍수가 발생할 것이고 2030년이면 한 해 330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게 될 것이라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하였다. 해수면 상승은 지형이 낮은 지역과 국가에 막심한 피해를 주므로 더욱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렇듯 먼 미래라고만 생각했던 기후변화는 우리의 눈앞으로 한 발짝 다가왔다. 지구는 우리의 삶이 실현되는 공간이므로, 소중하게 여겨야 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 과학계는 이러한 기후변화의 악화, 말하자면 2050년, 2100년이 되었을 때 전 세계적으로 닥쳐올지 모르는 재난을 막기 위해 단 두 가지를 명시하고 있다.


 첫 번째는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반으로 줄이는 것이고, 두 번째는 2050년까지 이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것이 가능하겠냐는 질문을 던지겠지만 아직 우리에게는 희망의 밧줄이 조금 남아 있다. 정부와 세계 단체에서 기후변화의 경각심을 인지하였고 이를 위해 여러 정책을 마련할 것이다. 그러나 정책만을 기다린다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국민이 가져야 할 인식 또한 중요하다. 우리는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이를 해소해나가기 위해 개인적인 노력 또한 취해야 할 것이다. 기후는 지금, 이 순간에도 가속화되고 있다. 지구의 절반이 침수되는 일이 우리 세대 때 일어나지 않을 일이라고 안심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여러 캠페인과 후원에 참여하는 등 다방면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6기 박영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47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86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105
전두환, 노태우 동상 철거, 그 이유는? file 2020.06.24 이가빈 9356
[공동취재] 기획기사 ① 신길 2구역 “재개발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하다” file 2021.12.24 오정우 9360
고용없는 경제가 될 것인가 1 file 2018.12.17 박정언 9361
음원차트 순위 꼭 있어야 하나? 1 file 2020.01.02 전혜은 9371
주식청약 방법과 문제점 file 2021.03.29 이강찬 9373
코로나의 피해.. 어느 정도? file 2020.02.28 민아영 9374
논란의 기안84... 이번에도 여성 혐오 논란 2 file 2020.08.19 김민결 9375
텔레그램 신상 공개 언제쯤 file 2020.04.29 김소연 9384
검찰 개혁,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 2017.05.19 한훤 9386
반복되는 바이러스 2 file 2020.02.13 전혜은 9386
이별 후 과도한 집착과 가스라이팅... 이제는 형사처벌까지? file 2022.02.25 김명현 9387
문재인 대통령이 지켜야 할 경제 공약들 file 2017.05.21 박민우 9388
물티슈 한 장에 지구가 신음하는 소리를 들었다 file 2020.08.24 이예빈 9397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9400
딜레마에 빠진 청와대 국민청원,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2.27 남홍석 9402
불거지는 미국과 이란의 국제 관계...경제적 영향 끼칠것 4 file 2020.01.16 김수진 9411
폭우 피해 원인 공방…4대강 사업 vs 태양광 1 file 2020.08.20 김대훈 9412
대선에만 치우친 시선, 2022년 재보궐선거는? file 2022.02.25 고대현 9416
하버드 교수의 ‘위안부’ 비하 발언 file 2021.03.09 최연후 9417
이종 간 이식 성공, '이종장기이식' 괜찮을까 2020.05.12 윤소영 9418
슬로벌라이제이션; 새로운 세계화의 흐름 file 2020.05.25 조민경 9418
트럼프 "기생충 수상, 한국이 왜?" 1 file 2020.03.30 남정훈 9423
계속 더워지는 지구... 최근 5년이 가장 더웠다 file 2019.12.31 유승연 9433
흡연, 줄일 순 없는 걸까? file 2020.08.03 이수미 9439
코로나19가 IT 업계에 미친 영향 1 2020.04.13 이혁재 9446
경기도 2차 재난지원금 지급 시작, 경기지역화폐카드 사용 시 혜택 1 file 2021.02.17 김수태 9446
인류의 제2의 재앙 시작?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코로나 변종 발견되다 file 2021.01.19 김태환 9453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의 소비율 감소. 실업자 증가 1 file 2020.03.23 정다현 9456
1년에 한 번뿐인 대학수학능력시험 2 2020.11.27 김준희 9467
제19호 태풍 솔릭의 영향은 어디까지일까... file 2018.09.03 정다원 9468
스팸 메일, 알고보니 환경 파괴 주범 file 2020.05.25 오경언 9473
성공적인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개최를 기원하며 file 2018.10.15 양나겸 9479
문 대통령이 밝힌 기해년의 목표는 무엇인가 file 2019.01.08 권나영 9480
짧아서 행복했던 숏.확.행 틱톡의 이면 file 2020.08.24 정유리 9484
남북 24시간 소통,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 1 file 2018.09.18 정한솔 9494
OCN의 긴급 편성 변경, 논란이 되고 있는 이유 1 file 2019.09.25 정은재 9494
도로 위 무법자, 전동 킥보드...이젠 안녕 1 file 2021.05.20 변주민 9497
'웰컴 투 비디오' 운영자 손씨, 구속 2개월 연장...7월 범죄인 인도심사 추가 심문 file 2020.06.25 김수연 9510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폐해 2020.05.25 이수미 9511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된 요즘...마스크 때문에 싸우는 나라가 있다? 1 2020.09.29 진예강 9514
2020년 팬데믹에 빠진 지구촌 7대 뉴스 file 2021.01.25 심승희 9530
전 세계적으로 겪는 문제, '코로나19와 겹친 금값 폭등' 1 file 2020.05.21 허예진 9531
위기의 인도, 코로나19 극복하나? 1 file 2021.05.25 오경언 9541
북한의 도발과 중국의 태도 file 2017.09.26 박형근 9545
대왕 카스텔라의 부활 1 file 2020.03.19 강민경 9554
위기에 부딪힌 에너지 전환 정책,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 file 2018.07.26 박문정 9565
지소미아 연기로 고비 넘겼지만...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주목 2019.12.05 박채원 9565
수요 집회, 사람들의 가슴을 울리다 1 file 2017.05.07 김현재 95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