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통합당, 당명 '국민의힘'으로 바꾼다

by 16기나은지기자 posted Sep 03, 2020 Views 880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미래통합당이 8월 31일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당명을 '국민의힘'으로 바꾸기로 최종결정했다고 밝혔다. 김수민 홍보본부장은 당명 개정 브리핑에서 미래통합당은 새로운 당명 최종 후보안으로 '국민의힘'을 선정하였고, 이를 오는 9월 2일 전국위원회에 상정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미래통합당은 8월 13일 목요일부터 22일 금요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당명 공모를 진행하였는데, 당명 제안 16,941건 중에서 '국민의힘'은 이번 공모에서 가장 많이 제안되었던 국민을 중심으로 탄생한 당명이다. '국민의 힘'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힘, 국민을 위해 행사하는 힘, 국민을 하나로 모으는 힘 총 세 가지의 의미를 담고 있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회의 직후 인터뷰에서 "국민이라는 단어 자체가 우리나라 헌법정신에도 거의 합당하지 않나...  그렇게 생각해요."라고 답하며 새로운 당명이 헌법정신에 부합한다는 취지를 밝혔다. 



캡처.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나은지기자]


이번 당명 개정은 미래통합당으로 바뀐 지 약 7개월 만이다. 거대 야당인 미래통합당은 유독 잦은 당명 개정으로 대중들에게 혼란을 주기도 하였다. 1990년 2월~1995년 12월 민주자유당, 1995년 12월~1997년 11월 신한국당, 1997년 11월~2012년 2월 한나라당, 2012년 2월~2017년 2월 새누리당, 2017년 2월~2020년 2월 자유한국당, 2020년 2월~8월 미래통합당, 그리고 2020년 현재 국민의힘으로 바뀐 것이다. 

 

보통 당명을 변경하는 것은 과거와 단절하고 새로운 출발을 하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시행된다. 하지만 여론의 반응은 갈리고 있다. 몇몇 네티즌들은 단기간에 여러 번 바뀌는 당명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내놨고, 몇몇 네티즌들은 이름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야 할 것이라고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기도 하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16기 나은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477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285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6795
2014 제10회 골목골목 festival (마을 축제) 열리다. file 2014.10.19 권지영 23953
자유학기제, 과연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제도일까? 7 file 2016.03.01 이유진 23950
[현장취재] 나눔의 참뜻을 배울 수 있었던 지난 2개월, 그 끝을 함께 장식하다 1 file 2015.03.03 최윤정 23931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850
청소년의 음주 흡연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6.05.24 최시헌 23826
태극기 휘날리면 촛불은 꺼진다? 2 file 2017.03.04 김재정 23810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740
SNS상 신조어 사용, 영화 말모이를 통해 돌아보다 3 file 2019.02.01 김수민 23710
위험에 빠진 청소년, 흡연으로부터 멀어질 방법은? 2014.07.27 김대연 23704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오남용 실태 8 2016.03.21 이현진 23639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601
페미니즘이 나아가야 할 방향 2 file 2017.02.24 유승균 23592
가사 소송법 24년 만에 전면 개정 추진, 미성년 자녀의 권익 보호된다 1 file 2015.02.21 김동욱 23564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 2 file 2018.05.14 유근영 23545
통장개설 제한만이 과연 대포통장을 막을 수 있는 해결방안인가 file 2016.10.25 조해원 23482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446
우리의 땅 제주 이대로 가도 될까? 1 file 2015.05.25 박다혜 23422
교육청의 과실? 언론사의 오보? 그 진실이 궁금하다. 2 file 2017.02.09 서경서 23382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3375
내가한흡연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2014.07.29 박지원 23345
[현장취재]청소년이하는 청소년 인식개선 프로그램!<쉬는 날, 왜 쉬어?> file 2015.09.19 박성은 23324
언어파괴로 얼룩진 청소년들의 언어문화 2014.07.31 박민경 23283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255
'폭력에서 자유로운 나라?'...부산 사하구 여중생 폭행 사건 발생 1 file 2017.10.10 허석민 23219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3219
대체 그 '9시'의 의미는 무엇인가 2 2014.10.30 이민지 23215
인공지능의 발전, 사회에 '득'일까 '독'일까 8 file 2016.03.19 김나연 23213
편의점, 의약품 판매의 아이러니 9 file 2016.02.24 유승균 23188
의료 서비스의 특징이자 맹점, 공급자 유인 수요 file 2018.11.22 허재영 23183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3183
프랑스어 철자법 간소화, 논란 이어져 12 file 2016.02.25 정가영 23178
학용품 사용...좀 더 신중하게 3 file 2016.05.23 이은아 23106
지카 바이러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7 file 2016.02.12 오시연 22997
청소년들이여 흡연의 불씨를 꺼라 2014.07.26 양나나 22942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해, 오늘 하루 만큼은 금연하세요 2014.07.31 장정윤 22934
해군, ‘아덴만 여명작전’ 6주년 기념식 열어 6 file 2017.01.24 김혜진 22917
‘하기스 퓨어 물티슈’ 등 10개 제품, 메탄올 기준치 초과.. 판매 중지 및 회수 조치 13 file 2017.01.16 김해온 22910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901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835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2014.08.01 송은지 22824
이상화 현실의 모순 9시등교, 최대 수혜자는 학생 2014.09.20 신정은 22815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2810
잠잠해져가던 코로나19, 다시금 두려움에 떨게하는 에어로졸 전파 6 file 2020.07.31 유지은 22803
과자 포장속 빈공간 비율이 약 83%? 과대포장 문제가 심각하다! 7 file 2016.05.29 신수빈 22765
비어있는 임산부 배려석 찾기가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6 file 2017.02.25 박유진 22745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2738
무더운 여름, 예민해진 눈, 내가 지킨다!! 1 2015.07.19 구민주 22725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4.09.15 이지현 227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