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북한 장거리 미사일 '광명성 4호' 발사 성공

by 4기구성모기자 posted Feb 14, 2016 Views 1865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 북한이 27(일요일) 우리 시각 930(평양시: 900)경 평안북도 동창리 서해 위성 발사장에서 광명성 4발사를 성공했다.


이번 미사일 발사는 지난 4차 핵실험 단행 한 달 후인 7(일요일) 실시되었다. 이번 발사는 1998년 이후 6번째 발사이다. 북한은 28(월요일)에서 25(목요일) 사이로 예정되어있던 미사일 발사를 7(일요일)에서 14(일요일) 사이에 발사한다고 수정 통보한지 하루만인 27(일요일) 에 발사를 강행한 것이다.

북한은 이번 광명성 4호가 지구 관측을 목적으로 한 위성 발사라 주장했지만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 일본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로 규정하고 유엔에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를 요청했다.

이번 북한의 미사일광명성 4의 사거리는 기존 은하 3보다 약 3천여km 늘어난 13천여km로 미국 동부까지 타격할 수 있는 수준으로 광명성은 김정은의 아버지인 김정일을 상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우리 시각 1230(평양시: 1200)에 조선중앙TV 중대발표를 통해 광명성 4에는 지구 관측에 필요한 측정기재와 통신기재들이 설치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번 계획은 국가우주개발 5개년 계획 2016년 계획에 따라 새로 연구 개발한 지구관측위성 광명성 4를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 NSC 주재, 테러방지법 긴급의제로 국회 통과 촉구 사진 2.jpg

[이미지 제공=청와대]


앞서 청와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확인된 직후 박근혜 대통령이 주관하는 NSC 국가안정보장회의가 소집되었다. 이 자리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의 4차 핵 실험 단행 후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감행한 것에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는 핵과 함께 그 운반수단인 미사일 능력을 더욱 고도화 하려는 것으로, 전 세계의 평화와 안보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자 체제 유지를 위해 미사일을 고도화하려는 것이라며 안보리에 강력한 제재조치를 만들어 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 정권은 고통 받는 주민은 철저히 외면한 채 오직 핵과 미사일 발사 개발에만 몰두함으로써 시대의 흐름의 역행하는 잘못된 길로 가고 있다며 강력히 비판했다. 이어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이 언제 어떻게 무모한 도발을 감행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국회와 정치권이 국민들과 국가의 안위를 위해 모든 정쟁을 내려놓고, 테러방지법을 긴급의제로 국회를 개회해서 통과시켜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정부 각 부처는 국민들이 정부를 믿고 평상시와 다름없이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맡은바 업무에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했다.

박근혜 대통령 NSC 주재, 테러방지법 긴급의제로 국회 통과 촉구 사진 1.jpg

[이미지 제공=청와대]


 청와대에 국가안전보장회의 후 정부는 개성공단 출입 인원을 500명으로 추가 축소하고, 국방부는 한미연합사령관 건의로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배치를 공식적으로 합의 했다. 국방부는 사드는 오로지 북한을 방어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한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성공된 후 미사일에 탑재되어 있던 광명성 4는 일단 우주 궤도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북한은 이 위성이 원을 그리면서 돌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실제로 보면 물체 2개가 타원 궤도를 그리면서 돌고 있다고 NASA(미국항공우주국)를 통해 확인되었다. 이 둘 중 하나는 광명성 4’, 다른 하나는 3단계 로켓 잔해로 보이지만 어떤 것이 광명성 4인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다만 원에 가까운 것이 광명성 4일 경우 위성 기술이 발전 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왔다. 하지만 위성 기술은 아직 선진국에 못 미치는 만큼 미사일은 성공했지만 위성은 실패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어서 위성이 제 역할을 할지 파악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4차 핵실험 후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에 비판이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이번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에 비난과 제재는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3기 구성모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전재영기자 2016.02.14 22:22
    하루 빨리 이 문제가 해결되어 우리나라의 안보가 지켜졌으면 좋겠어요.
    좋을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박다온기자 2016.02.14 23:44
    공포정치가 목적이든 어떻든 북한이 핵계발을 중지하지 않는이상 우리나라도 강력히 대응할 필요가 있을것 같아요. 북한에 대한 자세한 기사 잘 읽엇습니다!
  • ?
    3기전채영기자 2016.02.15 00:00
    북한이 움직이는 틈을 타서 논란이 일고 있었던 사드 배치를 합리화한다는 생각도 드네요... 또한 개성공단의 인원 축소는 개성공단 안에 있는 기업들에 대한 보상을 우리들의 세금으로 해준다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북한보다 우리나라가 더 손해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요. 저는 조금 더 공부를 해봐야겠습니다 ㅎㅎ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2.15 03:38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우리나라가 빨리 대안을 마련했으면 좋겠어요...
  • ?
    3기이민정기자 2016.02.15 13:55
    설에 뉴스를 보니 하루종일 이 사건이 보도되더군요
    우리나라도 하루빨리 대책을 세워서 대응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박성수기자 2016.02.15 20:21
    한반도의 평화는 언제쯤 이루어질지 모르는 현실이 안타깝네요.
  • ?
    3기김윤정기자 2016.02.15 20:26
    휴전상태인 지금, 북한에 관한 기사가 뜰 때마다 심장이 벌렁벌렁 하네요. 세계평화가 왔으면 좋겠네요...
  • ?
    3기 2016.02.17 01:55
    북한과의 마찰이 일어날때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무섭고 두려울때가 있어요. 부디 문제가 잘 해결되었으면 해요.
  • ?
    4기오시연기자 2016.02.17 13:57
    북한이 도발을 하루빨리 멈춰야 할텐데요... 우리나라도 빨리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 같네요!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상훈기자 2016.02.25 23:29
    요즘 남북관계가 다시 살얼음장을 걷는 듯 합니다. 국가 안보가 지켜지는 방향으로 올바른 대책이 세워지길 바랍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민구정치부기자 2016.02.28 15:35
    미사일 발사에 정치적인 목적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나라의 안보에 대한 대비가 우선인 만큼 강력한 제제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38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74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4067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1067
[PICK] 美과 中의 양보없는 줄다리기, 흔들리는 지구촌 file 2021.07.07 한형준 92013
[PICK] 고위공직자 범죄 수사처와 검찰의 연이은 이첩 분쟁, 향후 미래는 file 2021.06.28 김민성 88802
[PICK] 델타 변이 바이러스, 한명 당 평균 9명에게 전파 file 2021.08.27 김해린 127489
[PICK] 독일 연방하원 선거... '혼전' file 2021.06.24 오지원 87625
[PICK] 백신 맞으려고 모의고사 접수? 절반이 25세 이상 file 2021.07.20 김해린 92204
[PICK] 중국 기업 CEO들의 대거 사퇴.. 중국의 자유시장 위협받다 file 2021.09.02 이성훈 251018
[공동취재] 기획기사 ① 신길 2구역 “재개발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하다” file 2021.12.24 오정우 9371
[공동취재] 기획기사 ② 비정규노동자들의 쉼터 ‘꿀잠’, 재개발 속 부딪히는 이해관계 file 2021.12.27 함지원 7567
[공동취재] 기획기사 ③ 꿀잠, 그래서 뭐 하는 곳인데? file 2021.12.27 이유림 7524
[공지]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콘텐츠 업데이트 일자 안내 file 2017.01.06 온라인뉴스팀 16243
[기자수첩] "공사장에서 부려먹고 학대"...탄현동 헤드록 살인사건의 전말 file 2023.09.16 김진원 6746
[기자수첩] "시간 많이 썼는데"...고1 6월 모의고사 문제오류에 수험생들 당혹 file 2023.06.29 정현정 10066
[기자수첩] '검정 고무신' 작가의 죽음이 사회에 남긴 것 file 2023.04.12 김진원 7552
[기자수첩] '노키즈존'은 혐오 표현...아동 차별에 반대한다 file 2023.07.21 김하은 7298
[기자수첩] 8.14 위안부 수요시위는 평화를 외쳤다 2023.10.20 정세윤 5227
[기자수첩] 9호선, 공항철도 직결 합의...인천시민 '기대' file 2023.12.31 박서율 5365
[기자수첩] AI, 인공지능이 규제되어야 하는 3가지 이유 file 2023.07.26 서예영 10852
[기자수첩] SKT 인공지능 '에이닷' 출시에...통신비밀법 해석 이견 file 2023.11.24 김휘진 4697
[기자수첩] 공정위는 왜 통신3사에 과징금 336억원을 부과했을까 file 2023.06.29 김휘진 5224
[기자수첩] 광주 중학생들 대낮에 금은방 털어...'촉법소년' 처벌 높여야 file 2023.05.06 김휘진 6187
[기자수첩] 노키즈존은 차별...'케어키즈존'이 필요하다 file 2023.12.31 심이슬 5863
[기자수첩] 다시 등장한 범죄자신상 사이트...'사적 심판' 확산 file 2024.05.18 김진원 3095
[기자수첩] 데이트폭력이 부른 비극...김포 반려견 유기 사건 1 file 2024.03.13 김진원 5444
[기자수첩] 도심 속 사각지대 '용산역 텐트촌' 직접 가보니 file 2023.10.25 김진원 5828
[기자수첩] 도심 집회에 교통 체증...집시법은 지켜지고 있을까 file 2024.02.08 권우석 4290
[기자수첩] 들끓는 강력 범죄...‘가석방 없는 종신형’ 도입해야 file 2023.09.22 오다연 6307
[기자수첩] 또 바뀌는 입시 룰...5등급제, 통합형 수능에 부담감 증폭 file 2023.11.24 윤시현 4849
[기자수첩] 매년 바뀌는 대입 입시제도...입시 준비생들은 한숨 file 2023.09.30 이주하 6980
[기자수첩] 문화센터 인식에 갇혀 버린 '주민자치회' file 2023.12.09 이주하 5055
[기자수첩] 미국 청소년들도 빠져든 K팝...한국 문화 영향력 커져 file 2023.09.16 이승주 7957
[기자수첩] 미국에서는 실패했지만...한국에서 성공한 영화 '엘리멘탈' 2023.08.09 정세윤 7009
[기자수첩] 미국인 존 시치씨가 서울 한복판서 러닝머신을 타는 이유 file 2023.07.26 김진원 6776
[기자수첩] 부산 오피스텔 돌려차기 사건...가해자는 전과 18범이었다 file 2023.04.26 김진원 14811
[기자수첩] 비대면 문화 정착에...한계에 내몰린 카페 업주들 2023.12.24 박상연 5292
[기자수첩] 상속세 실효세율, 한국이 OECD 6개국 중 최고 1 file 2023.09.30 김수진 5976
[기자수첩] 서현역, 신림역 칼부림 사건..."법정 최고형 구형해야" file 2023.08.10 김진원 8002
[기자수첩] 셀프 계산대는 약자들을 존중하고 있을까 file 2023.12.30 김하은 4435
[기자수첩] 셀프 사진관에 열광하는 2030...'혼찍'은 문화가 될까 file 2023.11.20 송윤아 4751
[기자수첩] 우리나라의 분리수거, 실천되고 있을까? 2023.06.13 이주하 5972
[기자수첩] 우리에게는 '디지털 디톡스'가 필요하다 file 2023.08.10 김하은 6282
[기자수첩] 유치 결정까지 100일...부산 엑스포는 유치될 수 있을까 file 2023.08.22 김휘진 6430
[기자수첩] 윤석열 정부 출범 1년...헌정 최초 출퇴근하는 대통령 file 2023.06.12 김온누리 4562
[기자수첩] 의대 쏠림 현상, 의대 정원 늘려 해결해야 file 2023.06.24 이래경 8213
[기자수첩] 이세돌, 플레이브 열풍...버추얼 아이돌 시대 열릴까 2023.12.24 성유진 5538
[기자수첩] 죽음을 부른 검은 연기...애경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의 눈물 file 2023.06.13 김진원 54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