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by 16기추한영기자 posted Aug 31, 2020 Views 916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23일(현지 시각) 미국 위스콘신 커노샤에서 한 흑인 남성이 백인 경찰의 총격을 받고 쓰러졌다. 목격자에 따르면 그는 길거리에서 일어난 타인의 싸움을 말렸고, 자신이 차에 타는 과정에서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의 총에 맞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총격을 입은 뒤 바로 병원으로 후송되었으나 현재 중태 상황인 것으로 밝혀졌다. 총격을 입은 남성의 신원은 제이콥 블레이크로 확인됐으며 그는 총 7발의 총격을 입었다. 사건 당시 그의 차 안에는 3명의 자녀가 탑승해있었으며 총격 사건을 모두 목격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더욱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당시의 사고 영상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급속히 확산되면서 시민들의 거센 항의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시민들은 경찰을 향해 벽돌과 화염병을 던지고 경찰차를 파손시키기도 하였으며 시위 도중 화재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계속되는 시위에 당국은 시 전체에 통행금지령을 내리고 해산에 나섰다. 주 법무부는 사건에 연루된 경찰관을 휴직시키고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KakaoTalk_20200825_155244077.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추한영기자]


그러나 지난 5월 일어난 백인 경찰의 과잉 진압으로 인하여 목숨을 잃은 조지 플로이드 사건과 유사성을 띠는 이 사건이 단시간에 해결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사건은 지난 5월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으로 시작된 반 인종 차별 시위에 다시 불을 지폈다. 한편 미국에서는 지난 5월 25일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가 백인 경찰관의 무릎에 목이 눌린 채로 숨진 사건 이후 경찰의 폭력과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시위인 '흑인의 목숨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가 이어지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6기 추한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376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169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5574
누구를 위한 건강보험인가 1 file 2017.08.20 김주연 14180
누구를 위한 법인가? 2 file 2018.05.24 심윤지 10757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5453
누구의 외교부인가? 4 file 2017.02.25 구성모 14794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8119
누림센터,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콘텐츠 제작 및 보급 file 2022.12.30 이지원 5724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공유 경제' 1 file 2016.03.24 김태경 16812
누진세 완화 정책 발표, 전기료 부담 줄일 수 있을까? 2018.08.20 김원준 10147
눈 감을 수 없는 아이들, 눈 감아서 안되는 우리들 2 file 2016.03.25 이봄 15405
눈물 흘리며 대회장 떠난 초등생들...부산시교육청 드론대회 '수상자 내정' 의혹 file 2023.11.07 김가빈 7236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6390
뉴욕타임스 전직기자 앤드류 새먼이 전하는 "한국이 매력적인 이유" 2019.05.31 공지현 10414
뉴질랜드 모스크 사원 테러, 어떻게 된 것인가? file 2019.03.29 배연비 12413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8120
늘어나는 다문화 가정, 한국인 인식은 제자리걸음 2017.12.22 김민지 27845
늘어나는 아동학대... 4년 새 2배 늘어 7 file 2016.03.13 남경민 24275
늘어나는 평화의 소녀상에 관하여 5 file 2017.05.16 정수빈 11996
늘어난 14만여 명의 유권자들, 총선거에 어떤 영향 미칠까 file 2020.03.13 이리수 8738
늙어가는 대한민국, 위기? 기회! 5 file 2016.04.02 김지현 16515
닌텐도 스위치의 가격 폭등 file 2020.05.27 백진이 9976
다가오는 대선과 떠오르는 수개표 3 file 2017.05.03 박윤지 10670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9374
다가올 민중총궐기, 혼란의 정치권 file 2017.02.24 진우성 13666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 file 2019.06.07 최예주 10683
다문화 가정의 증가, 혼혈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 2019.05.02 박경주 13175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4 2017.03.14 추연종 21244
다스는 누구 겁니까? 3 file 2018.02.20 연창훈 11375
다시 도마 오른 소년법, 이번에는 바뀔까? file 2020.04.06 한규원 12043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5614
다시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1073'... 엇갈린 입장 1 file 2017.03.31 4기박소연기자 14311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0786
다시 불거진 문단 내 성폭력, 문단계도 '미투' file 2018.02.28 신주희 12303
다시 시작된 코로나19 file 2020.08.26 손혜빈 9822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9168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file 2015.03.25 김진아 31327
다시 찾아오는 광복절, 다시 알아보는 그 의미 5 file 2017.08.10 홍동진 11556
다시 한번, 국민의 힘을 증명하다. file 2017.03.21 정영우 11662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0785
다음, 카카오톡에 이어 이제는 네이버까지... file 2019.06.26 이채린 11978
다이지에서 울산 고래 전시간까지...돌고래의 끝없는 고통 3 file 2017.02.28 박설빈 14805
다함께 외쳐요,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11 file 2016.02.24 박예진 17755
단식 투쟁으로 얻은 작지만 큰 희망. 2018.01.15 서호연 12386
달걀 가격 4000원대로 하락...농가들은 울상 file 2017.10.11 김주연 11993
달라진 미국 비자 발급... 내 개인정보는? file 2019.08.16 유예원 15442
달콤한 휴식처? '졸음쉼터'의 이면 2 file 2017.01.31 김성미 18374
닭 쫓던 개 신세 된 한국, 외교 실리 전혀 못 찾아 4 file 2016.02.28 이민구 14990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왔다. 3 file 2017.03.11 김지민 12714
담배 회사의 사회 공헌 활동,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 file 2020.07.27 김민결 118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