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끊임없이, 끊김없이

by 15기정미강기자 posted Aug 31, 2020 Views 1824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page_1.pngpage_2.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정미강기자]


 이동통신 기술의 새 막, 5G가 상용화된 지 벌써 1년이라는 시간이 훌쩍 흘렀다. 실질적으로 체감되는 것은 많이 변하지 않았지만, 기술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을 때에는 기존 4G LTE에서 20배 빠르고, 10분의 1밖에 되지 않는 지연 시간뿐만 아니라, 100만 개의 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진정한 사물인터넷(IoT) 시대로의 도약으로의 길이 뚫린 거나 다름이 없다.

 

 우리가 사용하는 이동통신 기술은 언제,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다. 전화를 걸고 싶을 땐 그저 휴대전화의 통화 버튼만 누르면 되는 단순하지만, 대단한 기술이다. 첫 등장부터 이리 순탄한 과정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이동 통신 기술은 언제부터 등장한 것일까?

 

 1984, 지금의 이동통신 기술의 전신인 1세대 이동통신(1G)이 등장하였다. 지금의 디지털 방식이 아닌, 아날로그(AMPS) 방식으로 국내에 첫 이동통신 서비스의 시작을 알렸다. 그 당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라고는 오로지 음성통화뿐이었다. 게다가 1개의 채널에서 단 1명의 사용자만 통화할 수 있다는 문제로 차량전화로 상용화는 되었지만, 높은 가격으로 대중화되지 못하다가 1988년 서울올림픽을 기점으로 휴대전화가 보급되면서 점점 대중들에게 이동통신 기술이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1996, 12년간의 1G의 시대가 지나고, 2세대 이동통신(2G)이 등장하였다.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가 CDMA 기술을 상용화시키면서 기존의 음성통화만 가능하던 AMPS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어 음성통화는 물론 문자, 이메일 등의 다각화된 서비스부터 MP3, 카메라 같은 다양한 기능이 들어간 휴대전화가 등장하면서 오늘날 현대인의 필수품인 스마트폰의 반열에 한발 다가가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1채널 1통화’에서 채널을 공유하면서도 여러 사람이 통화할 수 있어 더 저렴해진 가격으로 본격적인 이동통신 기술의 대중화가 시작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2000, 새 천년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이동통신 표준이 등장하였다. 아직도 우리에게는 익숙한 3세대 이동통신(3G)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본격적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영상통화 및 빠른 속도의 인터넷이 서비스되며 지금의 스마트폰의 구실을 점점 갖추어나갔다. 그러던 도중, 지금의 스마트폰의 조상이라 할 수 있는 ‘아이폰 1’이 등장하면서 완전한 스마트폰의 시대로의 전환이 시작되었다. 3G도 이에 걸 맞춰 속도를 끊임없이 개선하여 3G는 다운로드 속도가 최대 21Mbps까지 개선되었다.

 

 2011, 11년 만에 4세대 이동통신(4G LTE)이 모습을 드러냈다. 3G가 최대 다운로드 속도가 21Mbps까지 나왔던 반면에 LTE는 이론적으로 최대 전송속도 1Gbps(=1000Mbps)까지 발전하면서 진정한 세대교체가 시작되었다. 계속된 발전 끝에 2013 6월에는 기존 LTE 속도에서 2배 빠른 LTE-A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되었고, 불과 반년 만에 최대 속도 300Mbps 3band LTE-A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시키면서 IT 강국의 면모를 보이게 되었다.

 

 그로부터 5년 뒤인 2019,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5세대 이동통신(5G)을 상용화하면서 다시 한번 이동통신 기술력을 세계에 보여주며 서비스되기 시작했다. 아직은 전국에서 사용할 수 없고, 반쪽짜리 5G라는 이야기도 많지만, 우리는 늘 그래왔다. 1G에서부터 5G가 오기까지 4번의 세대교체를 겪어오며 이렇게 성장해냈다.

 

 이동통신 기술은 4차 산업시대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주요 기술이다. 만약 이동통신 기술이 없었다면, 4차 산업시대는 그저 허상에 불과했을 것이다. 우리 삶에 큰 변화를 가져다줄 수 있으며 가장 체감할 수 있는 기술은 단언컨대 이동통신 기술일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은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 주었고, 도시와 도시를 연결해 주었으며, 더 나아가 국가와 국가를 연결하여 전 지구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낼 수 있었다. 지금도 이동통신 기술은 쉬지 않고 발전하고 기술적 한계를 극복해 나가면서 우리 삶을 좀 더 풍요롭게 변화시키기 위해, 혹은 바이러스 등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인류를 연결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기술은 끊임없이 변화할 것이며, 앞으로도 끊김 없이 우리 곁을 지키고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5기 정미강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6기조예은기자 2020.09.20 20:18
    전화를 할 때 아무생각없이 버튼을 누르고 통화를 했는데 그 간단한 동작 속에서도 뛰어난 기술들이 들어가있다는 것이 놀랍습니다. 앞으로의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이 기대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343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064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2567
꽃놀이를 위한 최고의 축제 '네이처파크 플라워 페스티벌 2020' file 2020.04.28 류혜성 13191
대전 청소년 WECAN 센터 동아리 발대식, 청소년의 꿈과 희망을 향해! 1 file 2017.02.19 박지은 13192
우리가 기억해야 할 과거, 광복절 및 정부수립 경축식이 열리다 file 2018.08.20 정아영 13194
WE SHOULD ALL BE FEMINIST file 2017.05.25 강지수 13199
위기를 기회로! 학생들을 위한 자기 계발 활동 9 file 2020.04.14 송다은 13202
[포토] 2021 삼성호암상 시상식 file 2021.06.03 디지털이슈팀 13202
위험한 신데렐라 file 2017.05.24 한다희 13207
부산광역시 기장군청소년참여위원회 활동의 미래는 밝다! file 2017.08.22 손수근 13207
뜨거운 여름, 가족 사랑으로 이겨내다. file 2017.08.22 최연진 13214
가장 작은, 가장 약한 사람들을 위해 일하는 NGO, AMNESTY file 2017.07.20 정재은 13217
맨발로 나아가는 청소년들, 청소년 장기 프로젝트 file 2017.03.25 박벼리 13218
세종에서 미켈란젤로를만나다…. file 2017.03.24 이아영 13219
넌 네가 얼마나 행복한 아이인지 아니? file 2017.03.25 김학경 13221
2021 P4G 정상 회의, 서울에서 개최된다 file 2021.04.02 김태희 13221
변화하고 있는 필리핀 골프문화 1 file 2021.12.31 최윤아 13222
새로운 미래를 여는 '제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2017.09.01 이주현 13232
개인화 마케팅 시대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까? file 2021.06.30 정윤선 13234
소년을 구한 용감한 보더콜리 2 file 2020.09.08 조은우 13246
2월 14일 날은? 4 file 2017.02.21 김소은 13248
봉사동아리, 볼트를 만나다 file 2017.07.18 이주현 13254
6월 5일은? 세계 환경의 날! 2017.07.01 정채린 13255
정보화시대의 축제, 2017 스마트 디바이스 쇼 file 2017.08.17 이예준 13258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3258
1,400년 역사와 드론의 찬란한 만남...'익산 미륵사지 미디어아트 쇼' file 2021.09.24 김수인 13262
차세대 항공기 보잉787 file 2017.03.17 신준영 13266
인형 뽑기 범죄, 해결책은? file 2017.03.26 이호균 13267
봄나들이는 과학관으로 1 file 2017.03.28 정예림 13269
1년에 단 한 번! ‘2021년 대한민국 한복 모델 선발대회’ 개최 file 2021.03.11 김태림 13269
시민과의 소통이 절실한 지금, 고양시는? 1 file 2020.12.08 김한나 13277
이번 연휴는 국립과천과학관에서 2017.05.28 진다희 13278
571번째 한글날, 2017 한글큰문화잔치! file 2017.10.11 고선영 13281
인류의 위대한 재산 file 2017.07.26 김하은 13287
중학생들이 모여 만드는 봉사의 소리 '맴맴' file 2017.03.22 임해윤 13288
페미니스트 대통령 file 2017.03.25 안예현 13297
2019년 마지막 부여군청소년어울림마당이 열리다 2019.12.31 이채은 13299
틈새시장 속으로, ‘제 7회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개최 file 2017.08.17 장유진 13301
셀카로 성격을 파악하는 인공지능이 있다? file 2020.05.29 정유빈 13302
꿈의 나노물질, 그래핀 1 file 2017.04.24 주용권 13304
충북 고등학생들의 72주년 광복절 행사 file 2017.08.17 김웅호 13305
제17회 연산대추축제, 그 문을 열다 file 2018.10.23 정호일 13305
세계의 목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과 UN 지속가능발전목표(UNSDGs)는 무엇인가? file 2021.09.02 류채연 13306
베트남 어디까지 가봤니? 1 file 2020.02.25 문연주 13310
어깨동무가 필요한 장애와 비장애-함께 사는 세상- file 2017.05.25 김주영 13313
올해 여름철 무더위는 '울진해양캠프'로 해결 file 2018.08.17 정다원 13313
2021학년도 유치원 보육비 지원 상승으로 학부모의 부담 경감시켜 file 2020.12.28 김아연 13314
제2호 인터넷 전문은행, 카카오뱅크 3 file 2017.07.20 이종은 13316
미래로 가는 길을 엿보는 현장 「2017 스마트 디바이스 쇼」 1 file 2017.08.16 윤혜슬 13320
친구, 연인, 가족끼리 <리멤버> 촬영지로 놀러가자! 1 file 2017.03.24 김민서 133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