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멀어가는 눈과 귀, 황색언론

by 3기김영경기자 posted Feb 13, 2016 Views 1878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재미, 흥미, 당연히 이끌리고, 당장 클릭해보고 싶은 독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신문 기사들.

눈길을 끄는 삽화와 자극적인 제목과 내용. 요즘 신문 기사의 수익성을 고려해 조회 수 높이기, 구독자 수를 높이기 위한 자극적인 신문 기사들로 언론이 견집해야할 진정한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심심한 신문 누가 읽고 싶겠는가?  하지만, 대중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글의 요지와는 관련 없는 왜곡된 표제와 삽화들로 일부 언론사들이 독자들의 분통을 사고 있다.


 황색언론.JPG

                    ▲[이미지 출처=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3기 김영경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민들의 눈과 귀가 되어주는 언론, 언론이 진정한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언론의 보도는 기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사실 타당성에 기초해서 보고해야한다. 하지만, 일부 언론사들은 사실 타당성은 고사하고, 기사 대상물의 사실과 근거의 조사가 아닌, 기자들 스스로가 기사를 변질시키고 있다.

 

언론은 정보를 전달하고 매체를 통해 사실에 기초해 대상물에 대하여 생각이 같은 사람들의 의견을 모아 여론을 형성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언론의 왜곡된 포장으로 인해 표제와 삽화로만 기사를 접한 독자들 사이에서 잘못된 여론이 형성되는 등 혼란을 주고 있다.

 

"배우 A씨, 침대 위에서 야릇한 포즈 알고 보니…헉!" 호기심을 자극하는 제목. 사실은 한 화보 잡지에 실린 화보사진과 선정적인 제목을 짜깁기해서 만들어 진 기사이다. 하루에도 몇 백 건이 넘는 낚시성 기사들이 별것도 아닌 내용에 ‘...충격’, ‘...경악’ 등의 제목을 달고 황당무계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기자들의 낚시에 독자들은 ‘별 것 아닌 뉴스에 시간 낭비하기 싫다.’, ‘충격받는 기자들 이젠 지겹다.’ 라는 등 독자들이 언론의 보도에 갖는 신뢰를 낮추고 있다.


급기야 이런 기자들의 추태에 더 이상 속지 않겠다는 트위터 “클릭해봤더니”라는 계정까지 등장해 낚시성 글을 대신 클릭해 주고 요약해주는 트위터 계정이 팔로워 수 6400명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언론사 심사의 규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독자들에게 혼란을 주는 기사들이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사회부 = 3기 김영경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온라인뉴스팀 2016.02.14 02:32

     (댓글) 3기 구성모기자

    요즈음 그런 기사들 때문에 많은 일반 언론들까지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이 얼마나 우리 사회에 독이 되고 있는지 느꼈습니다. 앞으로도 우리 사회에 문제를 잘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2.14 07:57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충격받는 기자들 이젠 지겹다'라는 말이 참 공감 되네요. 기자는 소식을 빨리, 그리고 정확히 전해야 하는데 사소한 일을 크게 만드는 것은 잘못된거 같아요.
  • ?
    3기박가영기자 2016.02.14 21:57
    빨리 이런 자극적인 기사들이 사라져야 신뢰받는 언론이 될수 있을것같아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전재영기자 2016.02.14 22:17
    국민들의 눈과 귀가 되어주는 언론이 진정한 의미를 잃어 가고 있다는 점이 안타까운 것 같아요.
    다시 국민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언론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전채영기자 2016.02.14 23:44
    정말 공감되는 기사네요. 자극적인 제목, 내용과 관련없는 제목들이 이제는 지겨워지고 기사마저 질려가는 현실... 잘 봤습니다!
  • ?
    3기박성수기자 2016.02.15 20:14
    사설 인터넷 사이트 보면 이런 거 저도 참 많이 보이는데요
    이런 게 없어졌으면 좋겠네요
  • ?
    3기김윤정기자 2016.02.15 20:38
    그런 기사들을 볼 때면 기사내용처럼 별것아닌뉴스에 시간낭비하기 싫다는 생각만 드는 기사들이에요. ㅠㅠ
  • ?
    3기 2016.02.17 01:53
    신뢰를 줄 수 있는 기자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기사였습니다. 그리고 우리 사회 기사들의 현실을 깊이 느낄 수 있었구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민정기자 2016.02.17 13:55
    진심으로 안타깝습니다.
    요즘 대부분의 기사들이 그런식이더라구요.
    자극적인 제목으로 사람들이 클릭하게 만드는 거죠. 정말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오시연기자 2016.02.17 13:58
    이런 자극적인 기사들이 사라져야 진짜 중요한 기사들이 묻히지 않을 것 같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어요!
  • ?
    4기장서윤기자 2016.02.17 15:45
    이렇게 낚시성기사가 사라져야 진짜 중요한 기사들도 묻히지 않을텐데말이죠..
    하루빨리 신뢰받는 언론의 모습을 보고싶네요..좋은기사 잘읽었습니다:)
  • ?
    4기기자박하연 2016.02.17 21:01
    저도 인터넷 기사를 찾아보다 보면 이런 불편한 점이 많더라고요. 공감되는 기사였습니다. 수고하셨어요!
  • ?
    3기반서현기자 2016.02.17 22:29
    사람들에게 진실된 정보를 전달해주어야 하는 언론사에서 이런 자극적인 문구들로 시선을 끌려 하는 모습이 정말 보기 안 좋은 것 같아요. 하루 빨리 진정한 기사들로 넘쳐나는 언론의 모습이 보고 싶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김미래기자 2016.02.23 00:46
    청소년 기자로서, 언론이 힘을 잃고 점점 도구화, 상업화 되어가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국민들의 눈과 귀에 앉은 먼지가 사라지려면, 아마 기사를 읽는 독자들이 먼저 눈을 떠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독자들이 나선다면, 언론 또한 다시 맑은 언론으로 돌아가지 않을까 싶어요. 미래에 언론인이 된다면, 이러한 문제, 꼭 다뤄보고 싶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상훈기자 2016.02.25 23:28
    정말로 인터넷 기사를 볼 때마다 느끼던 점인데 콕 집어서 기사로 잘 써주셨네요. 바람직한 미디어 문화 정착을 위해 언론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매우 유익한 기사였어요.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984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720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1432
[기자수첩] 데이트폭력이 부른 비극...김포 반려견 유기 사건 1 file 2024.03.13 김진원 5394
[기자수첩] 다시 등장한 범죄자신상 사이트...'사적 심판' 확산 file 2024.05.18 김진원 3056
[기자수첩] 노키즈존은 차별...'케어키즈존'이 필요하다 file 2023.12.31 심이슬 5801
[기자수첩] 광주 중학생들 대낮에 금은방 털어...'촉법소년' 처벌 높여야 file 2023.05.06 김휘진 6137
[기자수첩] 공정위는 왜 통신3사에 과징금 336억원을 부과했을까 file 2023.06.29 김휘진 5165
[기자수첩] SKT 인공지능 '에이닷' 출시에...통신비밀법 해석 이견 file 2023.11.24 김휘진 4636
[기자수첩] AI, 인공지능이 규제되어야 하는 3가지 이유 file 2023.07.26 서예영 10696
[기자수첩] 9호선, 공항철도 직결 합의...인천시민 '기대' file 2023.12.31 박서율 5316
[기자수첩] 8.14 위안부 수요시위는 평화를 외쳤다 2023.10.20 정세윤 5194
[기자수첩] '노키즈존'은 혐오 표현...아동 차별에 반대한다 file 2023.07.21 김하은 7244
[기자수첩] '검정 고무신' 작가의 죽음이 사회에 남긴 것 file 2023.04.12 김진원 7507
[기자수첩] "시간 많이 썼는데"...고1 6월 모의고사 문제오류에 수험생들 당혹 file 2023.06.29 정현정 10010
[기자수첩] "공사장에서 부려먹고 학대"...탄현동 헤드록 살인사건의 전말 file 2023.09.16 김진원 6671
[공지]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콘텐츠 업데이트 일자 안내 file 2017.01.06 온라인뉴스팀 16184
[공동취재] 기획기사 ③ 꿀잠, 그래서 뭐 하는 곳인데? file 2021.12.27 이유림 7499
[공동취재] 기획기사 ② 비정규노동자들의 쉼터 ‘꿀잠’, 재개발 속 부딪히는 이해관계 file 2021.12.27 함지원 7534
[공동취재] 기획기사 ① 신길 2구역 “재개발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하다” file 2021.12.24 오정우 9336
[PICK] 중국 기업 CEO들의 대거 사퇴.. 중국의 자유시장 위협받다 file 2021.09.02 이성훈 250925
[PICK] 백신 맞으려고 모의고사 접수? 절반이 25세 이상 file 2021.07.20 김해린 92162
[PICK] 독일 연방하원 선거... '혼전' file 2021.06.24 오지원 87560
[PICK] 델타 변이 바이러스, 한명 당 평균 9명에게 전파 file 2021.08.27 김해린 127414
[PICK] 고위공직자 범죄 수사처와 검찰의 연이은 이첩 분쟁, 향후 미래는 file 2021.06.28 김민성 88747
[PICK] 美과 中의 양보없는 줄다리기, 흔들리는 지구촌 file 2021.07.07 한형준 91959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1014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477
[4.7 서울시장 선거] '이분법정치의 패배'...네거티브는 먹히지 않았다 file 2021.04.09 김도원 9628
[3.1절 97주년 기념] 3.1절은 쉬는 날? 1 file 2016.03.25 김미래 17579
UN반기문의 대선출마선언 가능한가?? 7 2017.01.20 한한나 16434
UAE 홈 팬들의 물병 투척, 당당하지 못한 행동 file 2019.01.31 박상은 10524
TV, 혈전으로의 죽음 위험증가 file 2016.07.28 양유나 15296
TOEIC 시험 중 들린 소음 file 2018.10.23 정예은 10969
TIMES와 종이신문의 그림자 4 file 2016.05.25 김초영 21898
SRF 열병합 발전소 신재생에너지의 빛인가? 어둠인가? 1 file 2018.02.28 이현규 16346
SNS상 신조어 사용, 영화 말모이를 통해 돌아보다 3 file 2019.02.01 김수민 23573
SNS는 사람이다 file 2019.11.29 전혜은 14671
SNS가 되어버린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1 file 2018.08.16 지윤솔 10719
SNS 마케팅에 대하여 1 file 2019.02.21 김세진 12967
Snapmaker 2.0 , 킥스타터에서 3D프린터의 틀을 깨다 2019.05.30 박진서 12380
SKY 캐슬, 그리고 우리나라의 현실 2 file 2019.02.26 김성철 15724
SBS, 또 터진 일베논란 3 file 2017.05.22 추연종 15944
S-OIL, 샤힌 프로젝트에 9조원 투자...2026년 6월 완공 file 2023.03.10 디지털이슈팀 6153
Review 2008,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란? file 2018.11.19 이호찬 13634
PK8303의 추락. 이유와 결과 2020.06.10 이혁재 7569
PB상품, 득일까 독일까? 4 file 2017.07.26 서주현 11263
OECD 국가 중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주지 않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 2 file 2018.04.05 김선웅 21564
OCN의 긴급 편성 변경, 논란이 되고 있는 이유 1 file 2019.09.25 정은재 9460
Netflix가 시작한 OTT서비스, 과연 승자는 누구일까? file 2019.12.24 이지현 131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