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코로나 확진자 느는데, 의료진 파업?

by 15기이지우기자 posted Aug 25, 2020 Views 903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대한의사협회.jp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이지우기자]


코로나 확진자가 급속히 늘고 있는 현재, 8월 21일부터 전공의들이 집단 휴진에 들어갔다. 정부의 '4대 의료 정책'으로 인해 의료진들이 집단 휴진에 들어가게 되었는데, 4대 의료 정책이란 무엇일까? 4대 의료 정책은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 의대 설립, 첩약급여 시범사업, 비대면 진료를 육성하는 것이다. 


대한의사협회는 "의사 수천 명을 갑작스럽게 영입하는 것은 의료 서비스의 질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뿐"이라고 하며 집단 파업에 들어섰다. 이번 파업은 하루 파업이 아닌 전공의와 전임을 중심으로 무기한 파업을 하므로 응급 수술을 제외한 다른 수술과 진료는 일정을 연기했다. 의료진 파업에 의해 정부는 파업 자제를 당부했지만, 4대 의료 정책을 굽히겠다는 말은 없다. 정부는 방역을 체계적으로 하고, 공동으로 병상을 이용하게 하여 의료진들의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재유행을 하는 지금, 의료진 파업으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증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의료진의 수도 줄어들 뿐만 아니라, 환자의 병상을 배정하는 것도 의료진의 역할인데 병상 배정을 기다리다가 저번 신천지 때처럼 사망자가 생길 수도 있기에 이번 의료진 파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하루 단위로 몇백 명씩 코로나 확진자가 늘고 있는데 치료를 할 수 있는 의료진이 파업하는 것은 국민의 목숨을 가볍게 여기는 것이라고 하는 의견들이 많다. 정부와 의사협회 측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 파업을 무기한 연장하겠다고 하며, 당초보다 파업의 규모도 커 더 큰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5기 이지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619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318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7152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544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749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112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275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101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951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288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846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006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814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736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104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134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452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331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426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214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349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726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045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736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000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273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259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357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140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264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455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902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243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292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864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496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567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097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198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390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600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331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561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097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779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535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514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291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395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624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9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