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분데스리가의 '50+1' 정책, 과연 디딤돌인가? 장애물인가?

by 16기남상준기자 posted Aug 24, 2020 Views 1816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분데스리가1.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남상준기자]


타 유럽 리그와 다르게 오로지 독일의 분데스리가만 고수하는 정책이 있다. 바로 '50+1' 정책이다. '50+1' 규정이란 독일 축구 연맹 DFB가 클럽 자체나 클럽 팬들이 클럽 지분의 51% 이상을 차지하도록 제한함으로써, 외국 자본이나 중동의 오일머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리그가 상업 축구가 아닌 자국 축구팬들을 위한 축구로 유지하려는 정책이다. 이 룰은 분데스리가의 차별화된 자부심이자 리그의 대외 경쟁력을 약화시키기도 하는 양날의 검이므로 비판적 태도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확실한 장점은 재정의 건전성이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전망이 좋을 수 있다. 외국 자본이 유입되지 않아도 구단이 스스로 잘 자립한 경우도 있는데, 성공적인 구단의 예가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이다. 특정적인 거대 자본의 손길을 거부하고 다양한 스폰서를 유치하여 구단 재정을 충당한다. 이 외에도 큰돈으로 외국 스타 선수를 영입하기보다는 구단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자국 유스 시스템에 투자하여 어린 선수들이 출전 시간을 보장받고 성장하여 독일 국가대표팀에서도 좋은 결과를 이끌어낼 수도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하지만 장점만큼 단점도 명확하다. 지적되는 단점 중 하나는 리그 경쟁력 악화이다. 이 룰로 인해 축구팬들에게 분데스리가는 셀링클럽이 많은 셀링리그라는 인식도 적지 않다. 사실 분데스리가가 영국의 프리미어리그와 스페인의 라리가에 비해 스타 선수 영입도 적고 분데스리가의 재능 있는 선수들도 EPL이나 라리가에서 비싼 이적료로 데려가는 것도 사실이다. 바이에른 뮌헨이 독주한다는 이미지도 강해서 전체적인 분데스리가의 위상이 저하된다는 말도 있다. 바이에른 뮌헨뿐만 아니라 다른 분데스리가 팀들도 UEFA 챔피언스리그, 유로파리그에서 성적이 뛰어나야 하는데 자국 리그와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에서 매년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서는 해외의 좋은 선수들을 영입하여 뎁스를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더 큰 발전을 위해서는 폐지해야 하는 것이 맞지만, 유소년 육성을 위해서는 이 제도를 유지해야 한다. 파리 생제르맹과 맨체스터 시티와 같은 클럽들은 오일머니를 앞세워 재정이 튼튼하고 좋은 팀을 꾸릴 수 있지만, 특정 거대 자본이 망한다면 순식간에 파산으로 치우칠 수 있다. 한편, 2018년에는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독일 축구 연맹 총회의에서는 '50+1' 제도의 존폐에 대한 안건도 있었지만 34개의 참가구단 가운데 18개의 구단이 유지하자는 의견을 내어 규정이 폐지되지는 않았다. 바이에른 뮌헨의 이사장인 칼-하인츠 루메니게의 말처럼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발판을 위해서는 머지않아 폐지 혹은 개정될 것이라고 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6기 남상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3490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216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53816
유기견들에게는 세상이 바뀌는 캠페인, 사지말고 입양하세요 7 2017.03.09 박세진 17504
[MBN Y FORUM] MBN Y FORUM, 불가능을 즐겨라! 2 file 2017.03.09 고주연 17027
사람들의 냉랭한 인간관계, 더불어 일어나는 소통문제 3 file 2017.03.09 김나림 14298
핵발전소! 이제 그만! 5 file 2017.03.09 오지석 14119
Dingo 세상의 온도, 한국의 겨울에 핫 팩이 되다 8 file 2017.03.08 김혜원 21924
밤이 밝은 도시 홍콩 (관광 취재) 2 file 2017.03.08 남현우 17234
세상을 바꾸는 도전, 영 메이커! 2 file 2017.03.07 이윤정 17684
시청자와 소통하는 방송, '1인 미디어' 5 file 2017.03.06 안자은 19624
폐건물이 청춘들의 아지트로 탈바꿈하다 ‘청춘 창고’ 3 file 2017.03.06 이소명 28525
청소년의 정치에 대한 관심도:대한민국청소년의회에서 만나다! 4 2017.03.06 최정원 15612
GIST 전성찬 교수,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준침습성 뇌 전기 자극' 효과 입증 2 file 2017.03.05 임오령 16818
안용복 장군 도일선 전시관 개관식 2 file 2017.03.05 양다운 15284
뮤지컬계의 전설적인 배우들 한국으로 월드투어 오다 4 file 2017.03.05 옥승영 15430
I Marymond You;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움직임 3 file 2017.03.05 김가빈 19405
1인 미디어 수익 기부, 이런 BJ도 있어요! 4 file 2017.03.05 정서희 21383
대한 독립의 함성, 부산 동구에서 울려 퍼지다 file 2017.03.05 유승빈 14136
대구 시민들의 외침, '시민열정, 희망으로 피어나다!' 2017.03.05 오지은 14736
동해(East sea)를 세계지도로, '우리가 대한민국!'-반크 청년 공공외교대사 4기 발대식 2017.03.05 신승주 15362
'저와 친구가 되어 주실래요?'- 제주 강정마을 (제주 해군기지) 1 file 2017.03.04 김예진 17519
[MBN Y Forum] 불가능을 잊고 즐겼던 2017 MBN Y Forum 2 file 2017.03.04 박수연 15829
"친구들이 저를 어떻게 생각할지 걱정돼요..." 6 file 2017.03.04 신예진 14630
무한도전 7주간 결방 예능계 새 바람 불까? file 2017.03.04 이아현 15124
포켓몬 GO, 흥행 유지에 성곡할 수 있을까? 2 file 2017.03.04 최유석 14407
치명적인 바이러스의 진화, 인류의 선택은? 2017.03.04 신온유 18813
천사가 될 수 있는 가장 따뜻하고 든든한 방법? 10 2017.03.03 하영서 16854
만해 한용운의 혼을 담다, 전국만해백일장 3 file 2017.03.03 오시연 14683
학생을 시민으로, 학교를 시민사회로! file 2017.03.03 김미현 13372
아~ 3.1절 서대문형무소를 태극기로 물들이다! 1 file 2017.03.03 김지민 17076
제6회 어린 연어 보내기 생태체험 행사 1 2017.03.02 정승훈 14169
[서대문, 1919 그날의 함성! 2017] file 2017.03.02 이서은 14252
소아암 환아들에게 자신감을 기부해주세요. 7 file 2017.03.02 박미소 17434
눈부신 발전, 그 뒤편의 아픔을 추억하다…일본 고베 항 지진 피해 메모리얼 파크 1 file 2017.03.02 조지원 19209
이색 도서관, 의정부 과학도서관을 소개합니다. 6 file 2017.03.01 임성은 16422
3·1절 맞아 대형태극기 게양... 대한독립만세 외치자! 12 file 2017.03.01 조묘희 16504
'포켓몬 고'안전불감증, 이대로 괜찮은가 7 file 2017.03.01 성유진 15665
즐기세요! 도전하세요! 상상하세요! 꿈을 펼치세요! 3 file 2017.03.01 유림 14429
책나눔터가 뭔지 알아? 4 file 2017.03.01 김경민 15470
"날자! 날자! 더 높이" 광주아동복지협회, 아동 문화예술 축제 열어 2 file 2017.03.01 이서현 14884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 세상에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다! 1 file 2017.03.01 이윤희 17633
조선의 그린벨트, 성저십리 2 file 2017.03.01 최지민 19256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2 file 2017.03.01 박효주 16112
시대의 어둠 속 작은 ‘등불’이 되었던 저항시인, 윤동주 2 file 2017.03.01 최은희 16396
'그루밍족' 이어 등장한 '남성 뷰티 유튜버', 앞으로의 활약 기대돼… 4 file 2017.02.28 박서연 16867
나무 뿌리의 습격 1 file 2017.02.28 최지민 19361
조선 최고의 식목왕, 정조 4 file 2017.02.28 최지민 15640
빅이슈, 당신이 읽는 순간 세상이 바뀝니다 4 file 2017.02.28 곽지현 17265
전국학생 나라사랑 토론대회: 청소년이 말하는 한국 file 2017.02.28 최지민 21120
학생을 위한 정책, 학생으로부터의 정책 1 file 2017.02.28 유성훈 142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