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2021년 최저임금 130원 인상된 8,720원 결정…역대 최저 인상률, 그 이유는?

by 15기이민기기자 posted Jul 24, 2020 Views 1284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연도별 최저임금 및 인상률.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이민기기자]


최저임금위원회는 지난 714일 내년도 최저임금을 130원 인상한 8,720원으로 최종 결정하였다. 이는 1.5%의 인상폭으로, 1989년 최저임금 첫 심의 이후로 사상 최저치다. 역대 두 번째 최저 인상률인 2009년 금융위기 직후의 2010(2.6%) 대비 1.1%p 감소한 수치이다.

 

이러한 최저임금위원회의 결정은 올해 초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의 여파가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관측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청년 실업률은 20201(7.7%)부터 20206(10.7%)까지 3%p 증가했다. 또한,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IMF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인 -3.3%로 집계됐다.

 

국내외 제약회사들이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개발에 총력을 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WHO(세계보건기구)백신 첫 사용은 내년 초에나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코로나바이러스가 최소한 내년까지 지속될 것이라는 입장을 보이는 등 부정적인 관측이 대부분이다. 이처럼 세계 경제에 대한 여러 악재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여러 기업 및 자영업자들에 대한 부담이 가중된 것이 사상 최저 수준의 최저임금 인상 결정의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최저임금안을 심의하는 최저임금위원회는 사용자위원과 정부가 위촉한 공익위원, 근로자위원 및 특별위원으로 구성되며, 전원 회의에서 여러 차례에 걸친 노사 간 협의 후, 최종 최저임금안을 확정하게 된다. 그러나, 올해 노사 간 간극을 좁히지 못함에 따라, 공익위원이 제시한 1.5% 인상안이 찬성 9명 및 반대 7명으로 최종 가결됐다. 이에 대해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은 양측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불만을 드러냈다.

 

일반적으로, 최저임금 결정 과정에서 노사 양측의 첨예한 대립은 항상 존재해왔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라는 올해의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노사 간 충분한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결정안에 정부의 의견이 중점적으로 반영되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15기 이민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5기정미강기자 2020.07.27 20:55
    최저임금이 130원 밖에 오르지 않아 의아해 했는데 이런 이유가 있었군요.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다면 이해할 수 없는 수치는 아니지만, 조금 아쉬움이 남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25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15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556
파리바게뜨 불법파견 문제와 고용노동부 처분 정당성 논란 file 2017.10.17 원종혁 12374
판문점선언, 남한은 종전이 되는 것인가? file 2018.10.15 이수지 10609
패류독소의 확산, 어민·소비자 모두 “빨간불” file 2018.04.10 이예은 16276
패스트푸드는 이제 안녕, 오늘부터는 슬로푸드 file 2019.06.07 이채은 13613
패스트푸드점에서도 지켜지지 않고 있는 도덕성 1 file 2016.03.25 장한나 18145
페루, 7.1의 강진 file 2018.01.22 임규빈 10465
페미니즘. 이제는 가벼운 문제가 아닙니다. 2 file 2018.11.28 백종욱 13199
페미니즘을 선언하자! 14 file 2017.11.14 배성연 11817
페미니즘이 나아가야 할 방향 2 file 2017.02.24 유승균 23630
페이스북 메신저, 청소년들이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5 file 2019.02.19 노영우 22125
페이스북 이용한 '개인정보 불법 유통' 근절 필요 file 2018.04.11 신진우 12695
페이스북, 러시아 간섭의 작은 증거 file 2018.02.25 전영은 10386
페이스북과 유튜브, 오류의 원인은? file 2018.11.08 김란경 425649
페트병을 색으로만 기억해야 할까? file 2018.11.29 박서정 10877
편의점 이제는 서비스 공간으로 6 file 2016.03.26 김준석 18765
편의점, 의약품 판매의 아이러니 9 file 2016.02.24 유승균 23222
평등의 바람, 멈췄던 물길이 다시 흐르기 시작한다 file 2021.06.28 백정훈 8065
평등하고 자유로운 나라 미국의 인종차별 file 2020.06.02 임상현 9211
평생 잊혀지지 않는 상처 file 2018.04.26 손어진 11238
평창이 낳은 스타 file 2018.03.06 김동현 12573
평택 평화의 소녀상, 힘과 마음을 합치면 하늘을 이긴다. 3 file 2017.03.24 장수임 11595
평화, 새로운 시작 2 file 2018.05.21 김혜민 12114
평화를 위한 한 걸음, 평화 기림상 건립 제막식 열려 1 file 2017.03.13 임수종 13497
평화실현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2018.06.19 이민영 10607
평화의 소녀상, 그 의미를 찾아 5 file 2017.02.25 한우주 22211
평화의 소녀상을 지키는 사람들 1 file 2017.02.28 이태연 15967
폐쇄 위기의 군산 조선소...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 1 file 2017.02.19 백수림 16464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방안, 사람들은 알고 있나? 2020.06.29 서지은 11091
폐허가 되어 버린 리우 올림픽, 마냥 동정만 할 수 없는 이유 3 file 2017.02.24 박우빈 17433
포켓몬GO, 사건사GO? 5 file 2017.02.25 김대홍 17132
포항 5.4 지진으로 보여준 필로티의 위험성 1 file 2017.11.23 김성연 13556
포항 지진 결국 원인은 '지열발전소' 2 file 2018.05.31 한유성 15805
포항 지진 피해 연이어 속출... 보상은? file 2017.11.21 김주연 12012
포항 지진, 지진이 발생하는 이유? file 2017.11.21 임소현 13796
포항 지진... 피해 상황은 어떤가 2017.11.28 이지혜 13262
포항공항-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 빚어…… 2 file 2016.08.21 권주홍 20670
폭염에도 계속 되는 '위안부' 수요시위 4 2017.08.11 허석민 25626
폭염이 몰고 온 추석경제부담 2 file 2016.09.23 이은아 17166
폭우 피해 원인 공방…4대강 사업 vs 태양광 1 file 2020.08.20 김대훈 9519
표지판 외국어표기 오류 여전 16 file 2016.02.19 노태인 28132
푸른 하늘에 뜬 노란리본, 세월호를 기억하다. file 2017.03.25 최윤선 11702
푸른나무재단, '마음 톡톡 페스티벌'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실시 file 2022.06.02 이지원 8565
프라임 사업의 취지와 문제점 3 file 2016.05.15 김혜린 21507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8514
프랑스 파리와 미국 LA, 2024년과 2028년 하계 올림픽의 무대가 되다! 1 file 2017.08.07 이수연 12037
프랑스어 철자법 간소화, 논란 이어져 12 file 2016.02.25 정가영 23217
프로스포츠에 뿌리박힌 승부조작 3 file 2016.08.24 박민서 18434
프로야구 응원가 '부활' 할까 file 2019.03.04 오동택 112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