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수도 이전? 그린벨트 해제? 갑론을박 부동산 대책

by 15기김대훈기자 posted Jul 23, 2020 Views 99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 그린벨트 해제, 불필요 60% vs 필요 27%

- 서울은 경제수도? 세종은 행정수도?


map_img.jpg

[이미지 제공=경기도 도청,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문재인 정부의 21번째의 부동산 대책인 ‘6.17 부동산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고강도 부동산 대책이어도 계속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부동산 시장에 이해찬 대표는 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부동산 대책 실패를 인정하고 국민 여러분께 송구한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라고 사과하였다. 뒤를 이어 정부는 부동산 안정화를 위해 또다시 고강도 부동산 대책인 ‘7.10 부동산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 대책은 강력한 조세정책과 2025년까지 총 77만 가구 주택 공급을 마련한다고 하였는데 주택 공급 방안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택 공급을 늘리기 위해 '그린벨트 해제 문제를 검토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린벨트란?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서 설정된 녹지대를 말한다. 즉 개발제한구역이다. 이 그린벨트 해제 발언으로 이재명 경기도 도지사와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의원 등 여권 인사들도 반대론 또는 신중론을 펴는 등 엇박자 양상이 계속됐고,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 대책 위원장, 국민의당 안철수, 정의당 심상정 대표 등 야권의 공세도 이어졌다. 리얼미터가 YTN의 의뢰로 717일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그린벨트 해제를 반대하는 응답은 60.4%에 달했다. 찬성 응답은 26.5%에 그쳤다. 대한민국 국민 10명 중 6명이 그린벨트 해제가 불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린벨트 해제가 계속 공론이 되자 문재인 대통령은 720일 정세균 국무총리와의 주례회동에서 "그린벨트는 미래세대를 위해 해제하지 않고, 계속 보존해 나가야 한다"라고 홍남기 경제부총리의 발언이 나온 지 6일 만에 검토도 안 하는 거로 결정하였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72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국회·청와대·정부 모두 세종시로 이전해야 행정 수도 완성이라고 주장하였고, 721일 원내 대책 회의에서 "국회에 행정수도 완성 특위를 구성, 여야 합의로 행정중심복합도시법을 개정하면 행정수도 완성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넘어야 하는 산이 많다. 국민적 공감대도 형성되어야 하고 여야 합의도 무리 없이 이끌어야 할 뿐만 아니라 2004년 헌법재판소가 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에 수도가 서울이라는 것은 불문헌법이며, 수도 이전은 헌법개정 사안인데 국회가 이를 지키지 않았다"라고 판단하여 위헌 결정을 내린 내력이 있어 헌재 판결을 뒤집을 수는 있냐?’의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15기 김대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571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367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7719
교과서 속 부정확한 성(性) 지수 교체 시급 file 2020.06.02 박지훈 9120
코로나-19 사태 발발 4달, 지금은? 2020.04.08 홍승우 9124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file 2017.06.25 김유진 9128
미 전역서 4번째 '여성행진'..."여성들이여, 일어나 소리쳐라" file 2020.02.11 박채원 9137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작지만 큰 배려 1 file 2020.07.27 이도현 9140
문재인 대통령 '백신 유통' 합동훈련을 참관 file 2021.02.16 김은지 9145
전 세계 학교 상황은 어떨까? 1 file 2020.04.01 여승리 9152
청주 서원구 미래통합당 최현호 후보 연이은 아쉬운패배 file 2020.04.28 한재원 9164
텔레그램 n번방 사건, 과연 '박사방'이 끝인가? file 2020.04.06 류현승 9165
혼란스러운 부동산 문제, 부동산 특위의 해결방안은? file 2021.05.25 백정훈 9178
부정선거와 선거 불복...혼돈의 볼리비아 2019.12.26 신주한 9198
평등하고 자유로운 나라 미국의 인종차별 file 2020.06.02 임상현 9198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9199
‘2020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발표..김하늘 학생 등 청소년 5명 수상 file 2020.11.11 디지털이슈팀 9208
코로나 확진자 느는데, 의료진 파업? file 2020.08.25 이지우 9209
미 하원에서 통과된 트럼프 탄핵안, 상원에서는? 1 file 2020.01.20 전순영 9210
트럼프 입시부정? 연이은 조카의 폭로 2020.07.13 조은우 9227
버스 파업,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9.05.31 방민경 9228
공기업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청원, 하루 사이 20만 돌파 file 2020.06.29 박채니 9228
트럼프의 대선 연기 주장, 반응은 싸늘? file 2020.09.22 임재한 9237
21대 총선에서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첫 시도, 결과는? file 2020.05.07 장민서 9255
제약 산업에 대한 가격 규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 2020.12.10 전민영 9261
GDP 추정치로 알아본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 어느 정도인가? 1 file 2020.11.23 김광현 9266
연예 기사 댓글 폐지, 지속되어야 할까? 1 file 2020.05.18 서하연 9272
한국은 지금 마스크 전쟁중 1 file 2020.02.27 차현서 9288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9294
벤앤제리스, 이스라엘 서안지구에 아이스크림 판매 중단해 file 2021.08.23 고은성 9295
1년째 계속되는 산불, 결국 뿌린 대로 거두는 일? 1 2020.10.29 김하영 9299
문재인 정부의 지지율 하락요인은? file 2018.08.27 김도경 9303
온두라스, 한 달 기간에 두 번 잇따른 허리케인으로 인해 "초비상 상태" file 2020.12.31 장예원 9308
떨어지면 죽는 거라던 중국 로켓은 어디로 갔나 file 2021.07.27 유예원 9309
초·중·고교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문제점은? 2 file 2020.04.02 유시온 9319
문재인 대통령의 유럽 순방, 무슨 성과가 있는가 2018.10.23 고아름 9330
전세계의 마트와 가게 텅텅...우리나라는? 1 file 2020.05.04 허예지 9335
美 상원의원 존 매케인, "지금의 위기 앞에서 절망하지 말라" 유서 남기고 서거 file 2018.08.30 장혜성 9338
학생들이 지금 ‘공허한 메아리’를 듣고 있다고? file 2020.05.27 최유진 9344
'통제된 화재'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file 2020.01.22 권민서 9347
환경영향조사 마친 나주SRF 결정은? file 2020.05.14 김현수 9356
2차 북미정상회담, 평화를 위한 발걸음 file 2019.03.04 김주혁 9372
잘못된 애국심: 분노하는 중국의 젊은이들 file 2021.04.30 민찬욱 9390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9393
美, 잇따라 아시아인을 겨냥한 범죄 발생… file 2021.03.29 이지연 9397
퇴직연금 수익률 디폴트 옵션으로 극복 가능할까, 디폴트 옵션 도입 법안 발의 file 2021.03.29 하수민 9403
미국 MS의 틱톡 인수, 트럼프는 왜? file 2020.08.05 김서현 9407
청와대 해명에도 불구하고 점점 가중되는 '차이나 게이트' 의혹 file 2020.03.24 임재완 9411
전두환, 노태우 동상 철거, 그 이유는? file 2020.06.24 이가빈 9428
검찰 개혁,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 2017.05.19 한훤 9430
중국의 일대일로, 그들의 야망이 드러나다 file 2019.06.03 김도윤 94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