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쓰레기섬에 대해 (About Great Pacific Garbage Patch)

by 19기이채영기자 posted Jun 30, 2020 Views 156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쓰레기섬.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이채영기자]


  최근 대략 20년간 세계의 플라스틱의 양은 급속도로 증가하며 해안가나 여러 곳에 버려지는 플라스틱의 쓰레기양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의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도 2015년 기준 133kg으로 세계 1위라고 한다. 플라스틱 등 여러 쓰레기 때문에 고통받고 있는 생물들과 쓰레기가 많아 분포된 지역에 대해 알아보자.


  1997년 찰스 무어는 우연히 미국의 하와이와 캘리포니아 사이에 있는 북태평양 바다 위 쓰레기 섬을 발견하게 되었다. 북태평양 바다 위 거대한 쓰레기 더미를 뜻하는 말로 GPGP(Great Pacific Garbage Patch)라고 불리는 이 섬은 바다의 바람과 해류의 순환으로 쓰레기들이 한곳에 모이며 생기게 되었다.


  쓰레기 섬이 발견된 1997년부터 사람들은 쓰레기 섬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어 쓰레기 섬에 관해 여러 연구 결과가 나오게 되었다. 먼저 쓰레기 섬에 있는 쓰레기는 약 8만 톤이라고 전하였다. 또한 2019년 비영리 연구단체인 오션클린업 파운데이션(OCF, Ocean Cleanup Foundation)은 쓰레기 섬의 있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약 1조 8,000억 개라고 밝힌 바 있다. 그렇다면 면적은 어느 정도일까? 2011년경에는 대한민국의 절반 정도였지만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한민국 면적의 약 15배라고 한다.


  '어차피 쓰레기 섬은 바다 위에 있고 우리에게는 상관없는 일이 아닐까?'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가장 큰 문제점은 우리가 아닌 바닷속에 사는 생물이나 날아다니는 생물에게 일어난다. 쓰레기 섬에는 플라스틱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생물들은 바다에 떠 있는 플라스틱을 먹이라고 인식하게 되어 처참하게 죽게 된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해양생물 속 미세플라스틱 사례가 있다. 2019년 1월 31일에는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는 매우 슬프고 비극적인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해안가로 떠밀려온 총 50마리의 해양동물 모두 사체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것이다. 만약 우리가 이러한 생물을 먹었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


  많은 생물이 고통받고 있는 와중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란 무엇일까? 정말 작고 사소한 분리수거, 재활용 등 환경을 생각하는 일을 우리도 해나가면 어떨까? 천 리 길도 한걸음부터라는 속담처럼 정말 사소한 것이라도 환경을 생각하였으면 좋겠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5기 이채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이채원기자A 2020.07.01 23:30
    이러한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알고있어도 매번 볼 때마다 걱정이 많아요..
  • ?
    15기정미강기자 2020.07.27 20:58
    9년 만에 15배까지 불어난 것을 보면 정말 환경 문제가 나날이 심각해져 가는 것 같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968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704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1289
다가오는 대선과 떠오르는 수개표 3 file 2017.05.03 박윤지 10586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 file 2019.06.07 최예주 10591
제임스 코미의 해고 사건, 트럼프에게 위협적인 존재? file 2017.05.23 류혜원 10598
“러시아인들은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다"... 그러나 현재 일본은? 1 file 2021.04.28 김태환 10603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10606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한 줄기 빛이 되어줄 그대 2 file 2017.05.25 김재원 10613
스타링크 프로젝트 시작되... 스타링크 위성 60기 발사 성공 file 2019.06.05 김병국 10613
무모한 트럼프의 100일간의 무모한 행보, 그리고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2 file 2017.05.03 김유진 10616
박근혜 전 대통령 1심 선고, 징역 24년·벌금 180억 원 file 2018.04.19 허나영 10617
3.11 이것이 촛불의 첫 결실입니다 2 file 2017.03.18 김현재 10620
새롭게 바뀐 한국의 대통령, 중국과 한국과의 관계도 바뀌나? 2 file 2017.05.19 강지오 10622
19대 대선의 여담 2 file 2017.05.21 강민 10623
세월호 인양, 시민들의 생각은? 2 file 2017.04.10 김동현 10624
정부의 단호한 '8*2부동산 대책'을 둘러싼 우려 1 file 2017.09.27 고다정 10626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에게 바란다 1 file 2017.05.24 김소희 10628
과연 본인 돈으로는 본인 표만을 사면 안 되는 것일까? file 2019.11.14 조서윤 10629
대중교통도 마스크 의무화 1 file 2020.06.05 최윤서 10629
10월 25일, 독도의 날 1 2017.11.22 박민영 10630
시리아, 드디어 끔찍한 전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 file 2017.07.29 윤정민 10634
카슈끄지 사건의 후폭풍 file 2018.11.14 조제원 10644
중국발 미세먼지에 앓는 韓,日 file 2017.03.23 김경미 10648
'세월호 기억의 벽'을 지켜주세요 2 file 2020.01.17 하늘 10649
행정안전부 주관, 2017 을지연습 실시 file 2017.08.25 김성연 10652
기후변화 때문에 지구가 위험하다고 생각하십니까? file 2020.03.03 조윤혜 1065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도지사편 file 2018.07.12 정민승 10653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10661
코로나19가 당뇨발생 위험률 높인다 2022.05.16 신은주 10663
잠잠하던 코로나... 태국에서 다시 기승 2020.12.28 이지학 10665
재건축 안전진단이 뭔가요? 1 2018.05.25 이영재 10666
세상은 멈추지 않는다 file 2020.06.26 정미강 10671
누구를 위한 법인가? 2 file 2018.05.24 심윤지 10674
12월 13일 조두순 출소...청소년들의 공포감 6 file 2020.10.15 김지윤 10674
비트코인 사용시 주의할 점 file 2018.02.21 허어진 10676
'우리는 독립을 요구합니다!', 카탈루냐의 독립 요구 시위 2019.10.22 신주한 10678
우리나라 가계부채 명목 GDP 대비 106.5%…가계경제 비상등 켜지나 file 2022.01.18 윤초원 10681
청소년이 보는 소년법 "법의 헛점을 노린 교묘한 범죄 잇따라..." file 2018.09.27 8기심채은기자 10683
1270차 수요집회-1270번째 대답없는 메아리 2 2017.05.24 이하은 10689
터키를 둘러싼 한국사회의 시선 2 2017.08.07 김정환 10692
[기자수첩] AI, 인공지능이 규제되어야 하는 3가지 이유 file 2023.07.26 서예영 10693
유엔인권 이사회, 북한 인권 결의안 무표결 채택 file 2017.03.26 이승민 10699
'살충제 계란' 과연 그 진실은? 2 file 2017.08.29 정다윤 10700
광화문 1번가-국민의 목소리 file 2017.06.05 한지선 10709
청와대 국민청원 '시작은 좋았으나' 2 file 2018.09.03 김지영 10709
강서구 PC방 살인 사건 관련 청원, 국민청원 100만 돌파 file 2018.10.26 정아영 10711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10712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0714
런던의 또 한 번의 테러: 지하철역 안에서 3 file 2017.09.19 박우빈 10719
SNS가 되어버린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1 file 2018.08.16 지윤솔 107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