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전국 학생들이라면 모두 받을 수 있는 '농산물 꾸러미'

by 21기하늘기자 posted Jun 29, 2020 Views 84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전국의 약 499만 명의 학생들이 코로나 여파로 인한 등교 중지와 동시에, 학교 급식으로 사용되던 각종 농산물들의 유통기간이 지나 버려지게 되고, 사용하는 식자재 또한 적어져, 농가와 급식업계에서 피해를 보게 되었다. 이러한 사태에 대한 해결책으로, 농림축산식품부와 교육부는 버려지는 양의 식자재와 농가를 지원하겠다며 지난 9일, 시·도교육청과 지자체가 협력해 추진하는 농산물 꾸러미 지원 사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각종 농산물을 공급할 것으로 발표하였다. 위 사업에는 서울·대구·인천·광주·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 등 14개의 시·도와 부산 기장군이 참여한다.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긴 하지만, 비슷한 양과 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다. 부산·울산일 경우, 1인당 10만 원의 교육 재난금의 형태로 지급하는가 하면, 제주는 1인당 30만 원, 세종은 농산물 꾸러미와 함께 5만 원을 지원받는다.


전북·경남·충북·대구는 이미 배달이 완료된 상태이며, 서울·대전은 6월 중순부터 시작해 차츰 배달을 마치고 있다. 


24F49E66-5A3E-49A3-99CF-D02AAD6F7BD6.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하늘기자]


배달을 받은 학부모들은, 여러 포털 사이트에 자신의 의견을 달고 있다. 이를 살펴보면, 농산물 꾸러미에 대한 의견이 확연히 엇갈린다. "세상 살다 보니 이런 혜택도 받고 살맛 난다.", "아이들이 안전한 먹거리로 급식하고 있다는 증거물이라 더 안심되고 반갑다."라는 긍정적 의견도 있는 반면에, 각 교육청의 자율에 따른 역량의 차이와 많은 소비를 하는 수도권 지역에서의 꾸러미가 미흡하다는 의견, 농산물이 아닌 쌀로 대체해 급하게 활용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 사업을 통해 학부모의 부담을 덜 수 있으며, 3만 7천 톤의 농산물을 소비함으로써 농가, 급식업계 등의 관리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5기 하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035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689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0527
코로나19, 2차 대유행 시작 2020.08.28 김민지 8681
코로나19, 그에 따른 환경오염? file 2020.04.06 김호연 10987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8374
코로나19, 전 세계는 휴교 중 1 file 2020.05.18 임상현 10767
코로나19, 중국은 회복 중? file 2021.08.27 강민지 7053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9.01 길현희 8362
코로나19: 인간에게는 장애물, 환경에는 백신 file 2020.05.06 이유정 8417
코로나19가 IT 업계에 미친 영향 1 2020.04.13 이혁재 9307
코로나19가 당뇨발생 위험률 높인다 2022.05.16 신은주 10389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8169
코로나19가 항공업계에 미친 영향 file 2020.04.08 이혁재 13796
코로나19로 더욱 깊어진 게임 중독의 늪 file 2020.05.28 오윤성 11259
코로나19로 변한 학교생활 file 2020.09.03 정예린 8552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의 소비율 감소. 실업자 증가 1 file 2020.03.23 정다현 9327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삶 3 file 2020.05.18 김혜원 13138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8110
코로나19에 따른 빈곤 문제는? 2 file 2020.08.13 전지영 9784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8014
코로나19의 분야별 피해 현황과 그 해결책은? file 2020.03.02 전지영 9648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8177
코로나19의 재확산세, 방역모범국도 흔들린다 2 file 2020.08.21 김상현 10271
코로나19의 한복판에 선 디즈니월드의 재개장 file 2020.09.21 염보라 11616
코로나19의 후유증 '브레인 포그' 3 file 2020.09.10 오현지 13354
코로나가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은? file 2020.07.22 김다인 16451
코로나가 환경을 살리다?_떠오르는 환경이슈 1 2020.04.14 남지영 9673
코로나로 무너진 세계 file 2020.05.13 이채영 9505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0597
코로나로 인한 여행 file 2020.06.08 양소은 8526
코로나를 통한 사재기와 우리의 태도 file 2020.03.30 이수연 8261
코로나바이러스 자세히 알아보자 4 file 2020.02.24 이수연 12793
코로나의 피해.. 어느 정도? file 2020.02.28 민아영 9160
코리아 스태그플레이션 2021 file 2021.08.09 전인애 11942
코스피 변동성 증가,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file 2021.02.08 정지후 7574
코시엘니 사태로 바라본 정당하지 않은 선수들의 태업 file 2019.07.15 이준영 15178
코에 빨대가 꽂혀있는 거북이가 발견된 그 이후, 지금 file 2019.06.07 박서연 18092
코피노, 이대로도 괜찮을까? 2018.10.24 석주은 11593
콘서트 티켓 한 장이면 "100만원" 벌기는 식은 죽 먹기? 8 file 2016.03.13 이소연 22383
쿠웨이트 총리 첫 방한 file 2016.05.15 이아로 18206
퀴어 퍼레이드 그 스무 번째 도약, 평등을 향한 도전! 서울 도심 물들인 무지개 file 2019.06.07 정운희 14809
클라우드 기술, IT 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file 2019.11.27 이선우 14050
클릭 금지! '택배 주소지 재확인' 11 file 2017.01.22 최영인 21068
키즈 유튜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9.02 선혜인 14789
타오르는 촛불, 펄럭이는 태극기 그리고 헌법재판소 1 file 2017.02.11 이동우 15180
타타대우 상용차 등 다수의 기업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 1 file 2017.11.21 양원진 13444
탄소배출권, 공장은 돈을 내고 숨을 쉰다? 4 file 2019.04.11 김도현 17990
탄핵 이후, 해결해야 할 과제! file 2017.05.13 양수빈 9630
탄핵 판결을 내린 헌법재판관 8명을 고소한 우종창, 그는 누구인가? 1 2017.04.02 김민정 11923
탄핵 후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들 file 2017.03.19 박윤지 122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