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영화전공이 들려주는 2020 OSCAR 이야기

by 14기정근혁기자 posted May 18, 2020 Views 1497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올해의 오스카는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2019)이 주인공이었다. 기생충이 오스카 최우수 작품상 후보에 지명되었을 당시부터 2020년의 아카데미 시상식은 우리나라 영화계나 국민들뿐만 아니라 외국, 특히 미국에서도 관심을 모았다. 본격적인 오스카 탐구에 들어가기 앞서 오스카, 즉 아카데미 시상식에 대해서 먼저 알아봐야 할 필요가 있다.


아카데미 시상식은 미국의 내수 영화시상식이다. 그렇기에 칸, 베니스, 베를린과 같이 범위가 세계의 작품이 아닌 미국 작품 내외인 경우가 많다. 주최 기관은 미국 영화예술과학 아카데미협회이다. 이 협회는 1927년 창설, 1929년 5월에 처음으로 아카데미 시상식을 열었다. 당시 회원이 20명 남짓이었고 수상 부문도 11개에 불과했으나, 약 90년이 지난 지금은 협회의 가입자도 6000명이 넘고 현재 총 수상 부문은 영화연출뿐만 아니라 배우와 기술파트까지 총 24개이다.


제1회 아카데미 시상식이 열린 곳은 할리우드의 루즈벨트 호텔의 메인홀이었다. 그리고 올해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은 2020년 2월 10일 미국의 로스앤젤레스 돌비극장에서 열렸다. 로스앤젤레스 돌비극장은 코닥극장으로도 유명한 곳이다. 코닥과 돌비 어디서 많이 들어본 이름일 것이다. 코닥은 필름회사이고 돌비는 사운드, 스피커 등 음향으로 유명한 회사이다. 이 극장이 지어진 것은 2001년 이때는 코닥의 투자로 만들어진 극장이기에 코닥극장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2012년 5월 코닥의 파산으로 인해 돌비연구소에 매각했고 현재는 돌비극장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극장은 2002년도부터 아카데미 시상식이 거행되는 곳으로 유명해졌다. 물론 아카데미 시상식 이외에 태양의 서커스, 미스USA 등 다양한 공연이나 행사를 거행하기도 한다. 2002년 이곳이 아카데미 시상식의 장소로 발탁된 이유로는 코닥의 힘이 강했다. 2006년 영화의 산업에서 디지털 촬영과 디지털 영사의 기술이 시장에 등장하기 전까지 영화는 모두 필름으로 촬영되고 유통되었다. 그리고 이 필름 제조의 대표적인 회사가 바로 코닥이었다. 그만큼 코닥은 영화계에서 큰 힘을 가지고 있는 기업이 되었고 미국의 가장 큰 영화시상식 중 하나인 아카데미 시상식도 바로 이곳에서 열리게 된 것이다.


다른 매체의 글이나 보도를 보면 아카데미 시상식을 오스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일까? 먼저 아카데미 시상식의 정식 표현은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즉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상이다. 이를 줄여 **th Academy Awards 혹은 우리나라 말로는 아카데미 시상식이라고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시상식 자체를 이야기할 때는 아카데미 시상식 혹은 아카데미라고 말하는 것이 옳다. 그렇다면 오스카는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오스카는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주어지는 트로피 자체를 말한다. 오스카의 형태는 필름 통 위에 장도를 가지고 있는 남자가 있는 금도금 청동상이다. 오스카라는 이름에는 여러 유래가 있지만 제일 유력한 설은 1920년대 할리우드 여배우 벳 데이비스가 트로피를 뒤에서 봤을 때 자신의 남편이었던 오스카 넬슨의 모습과 비슷하다고 말한 데에서 고안했다는 설이다. 처음에는 은어나 유행어처럼 사용되었다가 어느 정도의 인식도와 시간이 지나자 1939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렇기에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상을 받은 인물들은 OSCAR Winner라고 말하고 시상자들이 오스카 수상자들을 'Today Oscar goes to'라는 표현을 쓰기에 해외에서는 아카데미라는 지칭보다 오스카라는 지칭을 더 많이 사용한다.


아카데미 영화제는 위에서 언급했었던 것처럼 엄연한 내수영화제이다. 과거 미국 언론에서 봉준호 감독이 인터뷰한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미국의 아카데미 영화제는 내수용 영화제이기에 외국 영화들을 위한 외국어 영화상(국제영화상)이 따로 존재한다. 또한 미국의 아카데미 영화제의 회원들 즉 아카데미 회원들은 오랜 기간 영화계에 몸을 담고 있었던 사람들이기에 대체로 보수적이고 구시대적인 발상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꾸기 위해 올해 계속 이어져 왔던 외국어 영화상의 네이밍을 국제영화상으로 고친 사건 외에도 2019년의 아카데미 즉 91회 시상식 작품상 후보에 블랙 팬서, 보헤미안 랩소디 등의 영화가 지목된 사건이 있었다. 영향력이나 시청률이 낮아진 아카데미 시상식의 재기를 위해 속히 문화계의 '정치적 올바름'을 실현하려고 했다. 이때 작품상 노미네이트에 그린북과 로마, 스타 이즈 본, 바이스 등이 있었는데 가장 유력한 후보였던 로마가 그린북에 밀리면서 반발이 더 거세어졌다. 로마는 그래비티, 칠드런 오브 맨 등을 연출한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작품으로 당시 베니스 황금사자상을 받았던 작품이다. 당시에는 아카데미이기에 그린북이 작품상을 가져왔다라는 말이 많았다. 잘 생각해보면 로마는 멕시코의 영화이고 한동안 논란이 되었던 넷플릭스 플랫폼의 영화였다. 아카데미 시상식이 끝난 후 평론가들은 그래도 로마를 수상하는 게 옳았다라는 많은 의견을 내놓았고 그 결과가 올해 아카데미에 적용됐을 가능성이 높다.


이번 아카데미 작품상 후보에서 기생충의 가장 큰 경쟁자는 샘 멘더스 감독의 1917이었다. 1차대전을 다룬 영화로써 미국 아카데미에서 제일 좋아하는 형태의 영화였다. 또한 골든글러브에서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한 이후였기에 평론가들과 관련 분야의 종사자들은 1917을 지목했다. 그리고 그 기대에 맞게 1917은 24개의 아카데미 부문에서 10개가 노미네이트 되는 결과를 보여줬다. 마지막 작품상 시상식에서 시상자인 제인 폰다가 아카데미의 인식개선이라는 시상 전 연설을 하였다. 향년 84세인 할리우드의 원로 배우 제인 폰다가 아카데미에서 이런 말을 했다는 것은 점점 아카데미가 미국의 보수적인 영화계를 벗어나려고 하는 것을 느끼게 해준 사건이었다. 


아카데미 영화제의 변화는 미국뿐만 아니라 영화제 전체의 변혁을 의미한다. 영화산업에서 국경과 인종, 성별을 넘어 작품, 감독 그 자체를 판단하기 시작했다는 것에 사람들은 열광했다. 그기에 '기생충'의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영화산업에 있어 큰 쾌거인 것이다.


오스카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정근혁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4기 정근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272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049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5286
서울문화재단, 서울예술교육 16년 한눈에 살피는 ‘2022 서울예술교육축제’ 개최 file 2022.10.22 이지원 8317
아름다운가게, 아름다운 나눔보따리 스무 번째 새해 나눔 file 2023.01.16 디지털이슈팀 8337
다이소, 소중한 마음을 전하는 ‘발렌타인데이 기획전’ file 2023.01.27 디지털이슈팀 8339
[포토] 미국 디즈니월드 불꽃놀이 축제 '해필리 에버 애프터'에 가다 file 2023.08.11 박예찬 8339
[포토] 일상을 감성 여행으로...부산 요시고 사진전 file 2023.07.26 진혜원 8345
마포구 청소년을 위한 학습멘토링 ‘아름다움’ 운영 file 2022.06.20 이지원 8348
경쟁보다 성장이 우선된 ‘제22회 대한민국청소년미디어대전’ 성료 file 2022.12.06 이지원 8370
세븐, 이다해 결혼식...YG 패밀리 한 자리에 file 2023.06.01 박태양 8396
게임문화 가족캠프, 가족 화합의 도구로! file 2022.12.16 이지원 8400
'거신 바람의 아이', 국내 애니메이션 흥행에 도전하다 file 2023.06.29 김휘진 8400
서울문화재단, 예술 사각지대 지원하는 ‘서울예술인희망캠페인’ 시작 file 2022.06.28 이지원 8401
국산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거신: 바람의 아이' file 2023.05.24 최영서 8413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개관 40주년 기념 ‘장애인복지관 디지털 전환’ 온라인 세미나 개최 file 2022.11.29 이지원 8449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도전.한국: 국민주도형 작은연구 공모전’ 개최 file 2022.07.29 이지원 8453
서울시립미술관, '에드워드 호퍼: 길 위에서' 전시 개최 file 2023.06.29 이민주 8467
아름다운가게, 명품 의류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캠페인’ 선봬 file 2022.12.19 이지원 8473
학생 선수와 일반 학생이 함께하는 2022 청소년스포츠한마당 스쿼시대회 개최 file 2022.08.08 이지원 8479
서울시, 15개 지자체와 청소년 문화 교류 추진 file 2023.03.03 디지털이슈팀 8484
시립강동청소년센터, 가족환경 봉사활동 프로그램 ‘우리마을 환경 家꿈단’ 운영 file 2022.11.25 이지원 8492
삼성전자, 갤럭시 익스피리언스 스페이스 24개 도시서 운영 file 2023.02.08 디지털이슈팀 8499
우리나라 대표 벚꽃 축제 '진해 군항제'를 소개합니다 file 2023.04.07 이설현 8505
강남구립 역삼청소년수련관, ‘강남구 아동정책참여단’ 정책 제안 활동 진행 file 2022.11.22 이지원 8511
한국장애예술인협회, ‘2022 장애예술인수첩’ 발간 file 2022.12.09 이지원 8511
2년 만에 개최된 서울모빌리티쇼...관람객 '북적북적' file 2023.04.18 박서율 8517
신나고 흥미로운 연수구 도서관 여행 file 2022.06.02 최인영 8525
우체국예금·보험과 함께하는 2022 우체국 문화전 file 2022.06.07 이지원 8541
아이러브북, 제1회 이달의 책 공모전 개최 file 2022.12.28 이지원 8543
한국교육개발원, 건강장애학생 교육 기회 확대 및 소통을 위한 메타버스 온라인 미술캠프 개최 file 2022.11.01 이지원 8544
외로운 이들에게 바치는 영화, '거울 속 외딴 성' file 2023.04.19 유영진 8544
팬데믹 속 숨통이 되어주는 문화생활 1 file 2022.02.03 임민영 8551
서울문화재단, 삼일로창고극장 11일부터 '창고 개방' 기획 사업 개최 file 2022.10.07 이지원 8571
한국청소년연맹, 코로나19 이후 첫 축제형 청소년 국제행사 ‘ESG 희망포럼’ 개최 file 2022.07.12 이지원 8579
니트 청년의 진로 방향 위한 ‘니트인베스트먼트’ 최종 공유회 ‘일 좀 내볼까’ 개최 file 2022.07.21 이지원 8583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디지털 기술 활용 제안하는 온라인 민주주의 캠프 진행 file 2022.09.05 이지원 8611
아름다운가게, 창립 20주년 기념 엠블럼 발표 file 2022.09.02 이지원 8635
뮤지컬 ‘나는나비’, 세상의 모든 나비들에게 전하는 메시지 file 2023.06.13 최승현 8641
충청남도청소년진흥원, ‘제2회 충청남도 미래세대 SDGs 발표대회' 성료 file 2022.11.09 이지원 8659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WE' file 2023.03.27 고민서 8659
시립문래청소년센터, 2023년 청소년환경축제로 청소년의 생태문화 만든다 file 2022.11.22 이지원 8675
글로벌사이버대학교, “국내외 명화를 만나는 미술관 여행” 온라인 무료 특강 개최 file 2022.10.18 이지원 8676
"우정은 가장 섬세한 사랑이다"...영화 '소울 메이트' file 2023.06.13 22기배현주기자 8689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2022년 지역맞춤형 안녕캠페인 공모사업 성료 file 2022.12.23 이지원 8701
영화 '거울 속 외딴성' 오는 12일 개봉...한국 박스오피스 상륙 file 2023.04.11 최나린 8703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2022 콘텐츠(음원) 제작 지원 참여자 모집 file 2022.07.27 이지원 8721
날컴퍼니, 생명존중 뮤지컬 '나는나비' 공연 개최 file 2023.05.29 박주영 8724
하자센터, ‘지구의 회복탄력성을 연구하는 실험실, 탱탱랩’ 환경프로젝트 진행 file 2022.06.07 이지원 8728
LX한국국토정보공사, ‘LX국토 브릭아트 공모전’ 개최 file 2022.06.04 이지원 8744
‘제2회 충청남도 미래세대 SDGs 발표대회’ 개최 file 2022.10.30 이지원 87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