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코로나바이러스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 OTT 서비스

by 14기유해나기자 posted May 04, 2020 Views 1605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00430_20542306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유해나기자]


2020년 상반기를 뒤흔든 코로나바이러스. 이 바이러스는 전 세계에 확산됨과 동시에 단순히 새로운 질병의 발견과 발병에서 그치지 않고 여러 사람들의 생활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는 데 일조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만큼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 변화에 영향을 끼친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사회적 거리두기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감염자 수를 최소화하고자 외출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교류 활동을 자제하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할 것을 권장하였고, 사람들은 집 안에서 즐길 수 있는 활동들을 찾기 시작했다. 이 상황 속에서 큰 성공을 거둔 산업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OTT 서비스이다


OTT(Over The Top) 서비스는인터넷을 통해볼 수 있는 TV 서비스를 지칭하는 말이다. 본래 명칭인 ‘Over The Top’   ‘Top’ TV에 연결되는 셋톱박스를 의미하며, 현재는 셋톱박스의 유무와 상관없이 범용 인터넷망(Public internet)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영상 서비스를 의미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초고속 인터넷이 활성화되기 시작하면서 2000년대 중후반을 배경으로 여러 OTT 서비스들이 출시되었다. 현재 한국에서도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넷플릭스, 왓챠, , 옥수수 등이 이 OTT 서비스에 해당된다. OTT는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기기를 이용해 원하는 콘텐츠들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많은 정부 기관과 의학 전문가들의 보고를 통해 감염자와의 접촉의 바이러스 확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 이후부터 사람들은 서서히 공공장소 방문 횟수를 줄이기 시작하였고, 많은 이들을 수용하는 장소인 영화관의 이용 또한 감소하였다. 또한 자가격리를 맞이한 이들은 집 안, 혹은 격리소에서도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스스로 찾아야 했다. 이러한 상황이 맞물리게 되자 OTT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장점이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이후 더욱 빛을 발하게 된 것이다


OTT 서비스 플랫폼들 또한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왓챠의 경우 지난달 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의 합의를 통해 자가 격리자들에게 무료 콘텐츠 이용권을 제공하였고, 이후 제공 대상을 확대하여 자가격리자가 아닌 일반 국민에게도 3일 무료 이용권을 배포한 바 있다


이렇게 편리한 이용과 다양한 다국적 콘텐츠 스트리밍, 심지어 자체 제작 콘텐츠까지 영역을 확대 중인 다양한 OTT 서비스 플랫폼들은 점점 많은 이용자들을 수용하여 새로운 미디어 콘텐츠 선두 주자로 주목받고 있으며, 코로나바이러스 발생 상황을 영리하게 이용하여 많은 이들의 여가 시간을 책임져주고 있다. OTT 서비스의 성장은 이런 긍정적인 면도 존재하나, 부정적이라고 여겨질 수 있는 면도 존재한다. OTT에 밀려 기존의 미디어 콘텐츠들이 적지 않은 타격을 받고 있으며, 앞으로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발상의 전환이나 분명한 개성을 띄고 있는 콘텐츠의 제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TT 서비스를 필두로 하여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새로운 변화를 맞이한 미디어 콘텐츠 산업이 앞으로는 어떠한 양상을 띠는지에 대해서 지켜보는 것 또한 흥미로울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4기 유해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456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176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3828
광운대 아이스하키팀, 96년 만에 환호성 질러 2 file 2017.02.19 김연수 18656
광복절, 안성에서 그들을 기억하다 1 file 2018.08.27 안정섭 15451
광복의 환희와 되찾은 조국의 상징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1 file 2019.01.08 이채린 15178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4882
광복 72주년 기념 해방 거리 재현 행사 '사람의 나라' file 2017.08.17 박규리 13403
광복 70주년을 맞아 진행된 눈물의 행사들. 그리고 그 행사들의 주인공 위안부 할머니들. 2 file 2015.08.27 정주현 26611
광명동굴의 ‘미디어 아트로 보는 세계명화전’. 성황리에 막을 내리다. 2 file 2017.05.21 최미성 16043
관중 입장이 재개된 프로야구 현재 상황 file 2020.10.26 나주현 12530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작은 한걸음 file 2017.03.25 김경은 16025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6649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4466
과학적이고 아름답다!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 file 2018.01.30 곽승용 19777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9058
과학의 관점을 바꿔주는 제16회 수원정보과학축제에 다녀오다 1 file 2019.10.23 유석훈 17004
과학을 향한 학생들의 도전, 2017 제주청소년과학탐구대회 file 2017.04.28 신온유 15377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제 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최 file 2017.08.13 김영서 12897
과학에서 '혁명'이란 무엇인가 file 2018.05.18 신온유 20387
과학에 대해서 궁금하면?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file 2017.10.25 이예준 16256
과학문화 한마당! 체험 한마당! file 2017.04.21 오지석 14191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5924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6728
과천에서의 문화체험 file 2014.10.18 오선진 32449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7487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1678
과천 누리마 축제의 현장으로 2017.11.24 고은빈 14296
과연 내가 살찌는 이유가 고기에게만 있을까? file 2017.12.04 유하늘 14751
과도한 트로트 열풍 이대로 괜찮은가? 2021.01.15 홍재원 14271
과거축구와 현대축구의 만남, 풋볼 팬타지움 2018.10.19 서성준 15310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예술인들, 무예 24기 file 2021.04.23 최민서 12234
과거와 현대의 공존, 오사카 여행기 file 2017.02.25 주은채 15452
과거와 현대를 잇는 도심 속 산책, 타이베이 여행 4 2018.05.04 김선주 24250
공휴일 아닌 기념일, 그 의미는 알고있니? file 2017.07.25 장서윤 15281
공항동, 도시재생으로 다시 날 수 있을까? file 2020.11.09 김서영 13041
공포의 자동차 ‘급발진’ 그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4 file 2015.02.07 김현우 33833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1507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6740
공정무역, 과연 안전하고 공정한가? file 2021.02.23 원규리 13717
공인인증서는 가고 시작된 민간인증서들의 시대 file 2020.12.28 이채은 12960
공원커피,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2022 카페 소스페소’ 커피 캠페인 진행 file 2022.12.06 이지원 8040
공연 '소년대로' 오는 16일까지 대학로서 공연 file 2023.04.12 박도현 7363
공스타그램, 이젠 공부도 SNS로! 7 file 2017.03.12 이지우 19878
공상 영화의 현실화, ‘하이퍼루프’ file 2021.03.26 김규빈 14232
공모전부터 전시까지 다채로운 코바코의 공익광고축제 file 2016.11.21 박지혜 31350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3427
공동의 리듬, 공동의 몸; '공동체'를 만나다 file 2017.10.16 박채연 17607
공공의 적, 미세먼지 1 file 2017.05.25 고아연 14541
공공 장소, 도서관에서의 행사. 성공적!! file 2016.04.17 3기장정연기자 15859
공감 있어 더 나은 세상, Better Together file 2017.11.27 이가빈 161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