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2020년 한국에게 필요한 조언_고전으로 살펴보기

by 14기임효주기자 posted Apr 29, 2020 Views 1346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존 스튜어트 밀은 자신의 저서 자유론에서 그 어떤 의견이든 자유롭게 표출될 수 있고 똑같은 비중으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다면 주장의 담긴 내용들이 빛을 발할 기회를 얻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가 이토록 자유를 절대적 권리로 규정하는 까닭에는 개인의 개별성을 보장하고자 함이 있다. 개별성은 행복한 삶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개개인이 검열의 위협이나 관습의 맹목적 추종에서 벗어나 자신의 다양한 선호를 마음껏 펼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이의 맥락에서 그는 진리에 대한 확신과 여론에 의한 호도를 몹시 경계했으며 개인의 욕망과 충동의 개별성이 발현되는 사회야말로 건강한 사회라고 하였다. 자유가 가지는 모순점 혹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는 인간과 사회 전반을 위해 자유, 그리고 개별성은 꼭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그렇다면 존 스튜어트 밀의 주장이 현 한국 사회에 어떤 처방을 내릴 수 있을까?

자유론.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임효주기자]



현재 한국 사회의 가치 판단의 기준은 유용성이 되어가고 있다. 어떠한 사상이나 주장을 지지하는 이유가 그 주장이 옳아서라기보다는 사회의 복리를 위해, 유용성에 기반을 한 바람직한 선택이라는 믿음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사는 것이 힘들다는 이유로, 정작 중요한 사안이나 문제에 대해서는 토론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한 채, 효용이라는 논리가 지배적이게 되는 것이다. 즉 다시 말하자면, 진리인지 아닌지보다는 유용성을 기반으로 토론의 자유가 억압되는 것이다. '이것이 효율적이야, 이것이 사회적인 효용을 주기 때문에 이는 토론의 대상이 아니야.' 효용성을 바탕으로 현명한 선택을 내리는 듯 보일 수도 있지만, 존 스튜어트 밀이 말했듯 이는 결국 내 생각은 결코 틀릴 수 없다.’라는 과신이 형태를 달리한 것에 지나지 않다.

 

또한 이와 함께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효용의 논리를 기반으로 한 확정된 결론들의 확산이다. 확정된 결론이 위험한 까닭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하나를 꼽자면 이분법적 사고, 흑백 논리의 확산이다. 하나의 결론이 옳은 것처럼 유용성을 바탕으로 결론지어진다면, 이는 결국 명백히 구분이 존재하지 않는, 진리를 따져 물어야 하는 사안에 대해서도 논리와 진리에 대한 논의가 부재한 채 양극단의 입장으로만 치닫고 소통이 결여되는 결과를 야기하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이 이러한 소통의 결여, 이분법적 사고의 성행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닐까 싶다. 이런 양극단의 논리는 사회 전반의 공론화에 대한 피로도를 쌓이게 하고, 건강한 토론을 가로막는다. 이런 상황에서 자유의 추구가 방해받는 상황이 연출되는 것이다.

 

피로할지라도, 모순적으로 느껴질지라도, 존 스튜어트 밀은 한국에게 자유를 추구할 것을 당부한다. 그 피로와 모순으로 의견을 억압한다면, 이는 공정하고 엄밀한 평가를 가로막을뿐더러 정말 필요한 생각의 날개를 꺾어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존 스튜어트 밀은, 당장의 효용보다는 미래의 자유를 외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4기 임효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856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570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78664
광운대 아이스하키팀, 96년 만에 환호성 질러 2 file 2017.02.19 김연수 18803
광복절, 안성에서 그들을 기억하다 1 file 2018.08.27 안정섭 15603
광복의 환희와 되찾은 조국의 상징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1 file 2019.01.08 이채린 15313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4967
광복 72주년 기념 해방 거리 재현 행사 '사람의 나라' file 2017.08.17 박규리 13480
광복 70주년을 맞아 진행된 눈물의 행사들. 그리고 그 행사들의 주인공 위안부 할머니들. 2 file 2015.08.27 정주현 26726
광명동굴의 ‘미디어 아트로 보는 세계명화전’. 성황리에 막을 내리다. 2 file 2017.05.21 최미성 16166
관중 입장이 재개된 프로야구 현재 상황 file 2020.10.26 나주현 12592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작은 한걸음 file 2017.03.25 김경은 16112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6744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4668
과학적이고 아름답다!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 file 2018.01.30 곽승용 19857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9140
과학의 관점을 바꿔주는 제16회 수원정보과학축제에 다녀오다 1 file 2019.10.23 유석훈 17074
과학을 향한 학생들의 도전, 2017 제주청소년과학탐구대회 file 2017.04.28 신온유 15477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제 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최 file 2017.08.13 김영서 12962
과학에서 '혁명'이란 무엇인가 file 2018.05.18 신온유 20504
과학에 대해서 궁금하면?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file 2017.10.25 이예준 16328
과학문화 한마당! 체험 한마당! file 2017.04.21 오지석 14386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6024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6814
과천에서의 문화체험 file 2014.10.18 오선진 32525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7580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1770
과천 누리마 축제의 현장으로 2017.11.24 고은빈 14397
과연 내가 살찌는 이유가 고기에게만 있을까? file 2017.12.04 유하늘 14851
과도한 트로트 열풍 이대로 괜찮은가? 2021.01.15 홍재원 14454
과거축구와 현대축구의 만남, 풋볼 팬타지움 2018.10.19 서성준 15394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예술인들, 무예 24기 file 2021.04.23 최민서 12320
과거와 현대의 공존, 오사카 여행기 file 2017.02.25 주은채 15539
과거와 현대를 잇는 도심 속 산책, 타이베이 여행 4 2018.05.04 김선주 24361
공휴일 아닌 기념일, 그 의미는 알고있니? file 2017.07.25 장서윤 15416
공항동, 도시재생으로 다시 날 수 있을까? file 2020.11.09 김서영 13126
공포의 자동차 ‘급발진’ 그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4 file 2015.02.07 김현우 33958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1600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6832
공정무역, 과연 안전하고 공정한가? file 2021.02.23 원규리 13822
공인인증서는 가고 시작된 민간인증서들의 시대 file 2020.12.28 이채은 13040
공원커피,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2022 카페 소스페소’ 커피 캠페인 진행 file 2022.12.06 이지원 8119
공연 '소년대로' 오는 16일까지 대학로서 공연 file 2023.04.12 박도현 7441
공스타그램, 이젠 공부도 SNS로! 7 file 2017.03.12 이지우 19996
공상 영화의 현실화, ‘하이퍼루프’ file 2021.03.26 김규빈 14328
공모전부터 전시까지 다채로운 코바코의 공익광고축제 file 2016.11.21 박지혜 31458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3556
공동의 리듬, 공동의 몸; '공동체'를 만나다 file 2017.10.16 박채연 17718
공공의 적, 미세먼지 1 file 2017.05.25 고아연 14640
공공 장소, 도서관에서의 행사. 성공적!! file 2016.04.17 3기장정연기자 15984
공감 있어 더 나은 세상, Better Together file 2017.11.27 이가빈 162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