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우리나라 자부심들의 융합, IT와 K-POP의 조화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다

by 15기최유진기자 posted Apr 29, 2020 Views 1819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이렇게까지 큰 영향을 끼칠 줄 몰랐던 코로나19의 여파 때문에, 최근 직장인들의 재택근신은 물론, 학생들의 개학이 연기되었다. 개학은 연기되었지만, 그를 마냥 늦출 수는 없는 만큼, 얼마 전 교육부는 49일과 16일 중으로 학생들의 온라인 개학의 첫 시행을 발표했다. 이 역시 IT 강국이라는 왕관을 쓴 우리나라이기에 가능했다. 다른 나라는 대부분 기자재의 지원이 어려울뿐더러, 대한민국만큼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축이 잘 되어 있는 나라는 찾아보기 힘들다. 과연 IT의 국가답게, 기술력과 더불어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사회적 거리 두기를 통한 재택근신이 이뤄지곤 있지만, 더불어 사는 사회 속에서 사람의 여가생활은 현대인에게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사항이다. 시류가 이러한 만큼, 거리와 공간의 제약 없이 편하게 즐기기만 하면 되는, 일명 '언택트 콘텐츠'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말 그대로 접촉하지 않은 비대면 온라인상의 콘텐츠로, 그전부터 우리 생활 속에 녹아있었던 유튜브(You-Tube)가 대표적으로 이에 속한다. 이러한 언택트 콘텐츠에 대한 이목 집중과 동시에, 우리나라의 두 번째 자부심이라 불리는 K-POPIT 기술력과 결합한 '언택트 콘서트'에도 스포트라이트가 비춰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까지 시행했던 오프라인 공연 콘서트는 현장의 생생함과 분위기를 동시에 향유할 수 있고, 오프라인 현장에서의 K-POP 아티스트와 유대감과 실시간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기에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하지만 오프라인 콘서트 무산이 불가피해지면서, 누구나 공간의 제약 없는 실시간 라이브 스트리밍’, 소위 안방 1이라고도 불리는 언택트 공연이 막을 연 것이다. 대표적인 K-POP의 거장인 BTS방에서 즐기는 방탄소년단 콘서트(방방콘)’의 열기를 바탕으로 많은 아티스트들의 언택트 콘서트와 실시간 스트리밍 공연에 줄을 이었다. 또한, 공연장의 열기와 생동감을 동반해줄 블루투스 시스템을 통한 응원봉 연동을 시행하면서, 누구나 어디서든 즐길 수 있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했다.

 

  4월 언택트 콘서트 관련 촬영사진.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최유진기자]

 

 의도치는 않았지만, 이번 코로나 사태로 빚어낸 문화와 공연의 새로운 내딛음은, 현재 IT 기술의 무궁무진한 발전에서 더 나아가, 추후 우리의 미래사회 속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과 접목한 공연까지도 기대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이러하듯, 우리나라의 끝없는 IT 기술력과 접목한 세계적인 K-POP의 향후 언택트 콘텐츠의 무한한 발전이 기대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5기 최유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2555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2300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44742
골재상에서 발생한 화재, 인근 고등학교 덮쳐.. 인명 피해는 '無' 3 file 2017.04.09 이동우 17891
공간의 진화, 트렁크 룸 1 file 2017.03.26 김하은 16414
공감 있어 더 나은 세상, Better Together file 2017.11.27 이가빈 15949
공공 장소, 도서관에서의 행사. 성공적!! file 2016.04.17 3기장정연기자 15705
공공의 적, 미세먼지 1 file 2017.05.25 고아연 14402
공동의 리듬, 공동의 몸; '공동체'를 만나다 file 2017.10.16 박채연 17465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3263
공모전부터 전시까지 다채로운 코바코의 공익광고축제 file 2016.11.21 박지혜 31225
공상 영화의 현실화, ‘하이퍼루프’ file 2021.03.26 김규빈 14085
공스타그램, 이젠 공부도 SNS로! 7 file 2017.03.12 이지우 19714
공연 '소년대로' 오는 16일까지 대학로서 공연 file 2023.04.12 박도현 7267
공원커피,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2022 카페 소스페소’ 커피 캠페인 진행 file 2022.12.06 이지원 7912
공인인증서는 가고 시작된 민간인증서들의 시대 file 2020.12.28 이채은 12834
공정무역, 과연 안전하고 공정한가? file 2021.02.23 원규리 13601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6620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1396
공포의 자동차 ‘급발진’ 그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4 file 2015.02.07 김현우 33673
공항동, 도시재생으로 다시 날 수 있을까? file 2020.11.09 김서영 12935
공휴일 아닌 기념일, 그 의미는 알고있니? file 2017.07.25 장서윤 15109
과거와 현대를 잇는 도심 속 산책, 타이베이 여행 4 2018.05.04 김선주 24113
과거와 현대의 공존, 오사카 여행기 file 2017.02.25 주은채 15318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예술인들, 무예 24기 file 2021.04.23 최민서 12114
과거축구와 현대축구의 만남, 풋볼 팬타지움 2018.10.19 서성준 15184
과도한 트로트 열풍 이대로 괜찮은가? 2021.01.15 홍재원 14144
과연 내가 살찌는 이유가 고기에게만 있을까? file 2017.12.04 유하늘 14622
과천 누리마 축제의 현장으로 2017.11.24 고은빈 14168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1566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7360
과천에서의 문화체험 file 2014.10.18 오선진 32330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6619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5794
과학문화 한마당! 체험 한마당! file 2017.04.21 오지석 14064
과학에 대해서 궁금하면?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file 2017.10.25 이예준 16132
과학에서 '혁명'이란 무엇인가 file 2018.05.18 신온유 20251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제 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최 file 2017.08.13 김영서 12796
과학을 향한 학생들의 도전, 2017 제주청소년과학탐구대회 file 2017.04.28 신온유 15255
과학의 관점을 바꿔주는 제16회 수원정보과학축제에 다녀오다 1 file 2019.10.23 유석훈 16905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8946
과학적이고 아름답다!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 file 2018.01.30 곽승용 19668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4335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6524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작은 한걸음 file 2017.03.25 김경은 15908
관중 입장이 재개된 프로야구 현재 상황 file 2020.10.26 나주현 12433
광명동굴의 ‘미디어 아트로 보는 세계명화전’. 성황리에 막을 내리다. 2 file 2017.05.21 최미성 15869
광복 70주년을 맞아 진행된 눈물의 행사들. 그리고 그 행사들의 주인공 위안부 할머니들. 2 file 2015.08.27 정주현 26445
광복 72주년 기념 해방 거리 재현 행사 '사람의 나라' file 2017.08.17 박규리 13277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4743
광복의 환희와 되찾은 조국의 상징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1 file 2019.01.08 이채린 150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