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대한민국은 지금 트로트 열풍

by 15기이승주기자 posted Apr 24, 2020 Views 138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대한민국은 지금 트로트 열풍이다. 이제 트로트도 젊은 층에게 인기 있는 장르가 되었다. TV조선에서 방영하는 미스터트롯이 2019년 방영한 미스트롯에 이어 종합편성채널 시청률 35.7%를 기록하면서 매주 목요일 안방극장을 사로잡았다. 각종 예능 프로그램과 광고 장악은 물론 동영상 사이트와 포털 사이트에서도 100만이 넘는 조회 수를 기록했다. 그렇다면 트로트 열풍의 비결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image0 (1).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이승주기자]

 

 먼저, 트로트란 4분의 4박자를 기본으로 하는 한국 대중가요의 한 장르이다. 일제 강점기인 1920년대에 일본 엔카(일본 고유 음악과 서구 폭스 트로트가 접목)풍의 영향을 받아 광복될 때까지 엔카풍 대중가요가 유행하였다. 그 후 1970년대에 이르러 4분의 4박자를 기본으로 하고 강약의 박자를 넣고 독특한 꺾기 창법을 구사하는 독자적 가요 형식이 완성되었다. 이때 완성된 트로트가 지금의 트로트라 할 수 있다. 트로트 열풍의 비결은 먼저, 새롭게 재해석된 트로트라 볼 수 있다. 발라드 트로트, 댄스 트로트 등 신개념 트로트들이 생겨나면서 젊은 층들도 조금 더 가볍게 다가갈 수 있었던 것 같다. 미스터트롯과 미스트롯 같은 트로트 예능을 통해 다양한 연령의 참가자와 화려한 퍼포먼스 덕에 2030 연령층뿐만이 아닌 10대들에게도 인기를 끌었다. 또, 솔직한 노랫말도 인기 비결이라 할 수 있다. 일상 속 경험들을 바탕으로 작곡되면서 공감이 되고 한국인의 정서와 잘 맞아떨어질 수 있던 게 아닐까 싶다. 이처럼 대중들의 호응이 커지면서 노래방에서도 K-POP보다 트로트를 더 많이 부르는 경우도 생겨나고 각종 음원 사이트에서도 트로트 음악의 순위가 상위권에 위치해있다.


image0 (2).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이승주기자]


 한국 트로트의 역사와 전통을 한눈에 보고 싶다면 지난 2019년 10월 29일에 문을 연 전남 영암군 영암읍에 있는 한국트로트가요센터에 방문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코로나19로 인해 생활이 힘들어지고 지치게 되면서 사람들은 트로트를 통해 지친 마음을 위로받기도 한다. 


 한편, TV조선에서는 미스터트롯 종영 이후에도 코로나19로 지친 국민들에게 ‘신청곡을 불러드립니다-사랑의 콜센타’를 방영하여 큰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5기 이승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344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065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2577
광운대 아이스하키팀, 96년 만에 환호성 질러 2 file 2017.02.19 김연수 18641
광복절, 안성에서 그들을 기억하다 1 file 2018.08.27 안정섭 15437
광복의 환희와 되찾은 조국의 상징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1 file 2019.01.08 이채린 15169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4881
광복 72주년 기념 해방 거리 재현 행사 '사람의 나라' file 2017.08.17 박규리 13390
광복 70주년을 맞아 진행된 눈물의 행사들. 그리고 그 행사들의 주인공 위안부 할머니들. 2 file 2015.08.27 정주현 26602
광명동굴의 ‘미디어 아트로 보는 세계명화전’. 성황리에 막을 내리다. 2 file 2017.05.21 최미성 16034
관중 입장이 재개된 프로야구 현재 상황 file 2020.10.26 나주현 12526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작은 한걸음 file 2017.03.25 김경은 16017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6640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4455
과학적이고 아름답다!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 file 2018.01.30 곽승용 19772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9051
과학의 관점을 바꿔주는 제16회 수원정보과학축제에 다녀오다 1 file 2019.10.23 유석훈 16994
과학을 향한 학생들의 도전, 2017 제주청소년과학탐구대회 file 2017.04.28 신온유 15369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제 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최 file 2017.08.13 김영서 12890
과학에서 '혁명'이란 무엇인가 file 2018.05.18 신온유 20379
과학에 대해서 궁금하면?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file 2017.10.25 이예준 16248
과학문화 한마당! 체험 한마당! file 2017.04.21 오지석 14184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5919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6723
과천에서의 문화체험 file 2014.10.18 오선진 32442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7477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1671
과천 누리마 축제의 현장으로 2017.11.24 고은빈 14288
과연 내가 살찌는 이유가 고기에게만 있을까? file 2017.12.04 유하늘 14739
과도한 트로트 열풍 이대로 괜찮은가? 2021.01.15 홍재원 14261
과거축구와 현대축구의 만남, 풋볼 팬타지움 2018.10.19 서성준 15305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예술인들, 무예 24기 file 2021.04.23 최민서 12232
과거와 현대의 공존, 오사카 여행기 file 2017.02.25 주은채 15444
과거와 현대를 잇는 도심 속 산책, 타이베이 여행 4 2018.05.04 김선주 24241
공휴일 아닌 기념일, 그 의미는 알고있니? file 2017.07.25 장서윤 15267
공항동, 도시재생으로 다시 날 수 있을까? file 2020.11.09 김서영 13032
공포의 자동차 ‘급발진’ 그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4 file 2015.02.07 김현우 33818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1502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6733
공정무역, 과연 안전하고 공정한가? file 2021.02.23 원규리 13714
공인인증서는 가고 시작된 민간인증서들의 시대 file 2020.12.28 이채은 12952
공원커피,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2022 카페 소스페소’ 커피 캠페인 진행 file 2022.12.06 이지원 8026
공연 '소년대로' 오는 16일까지 대학로서 공연 file 2023.04.12 박도현 7356
공스타그램, 이젠 공부도 SNS로! 7 file 2017.03.12 이지우 19866
공상 영화의 현실화, ‘하이퍼루프’ file 2021.03.26 김규빈 14224
공모전부터 전시까지 다채로운 코바코의 공익광고축제 file 2016.11.21 박지혜 31340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3417
공동의 리듬, 공동의 몸; '공동체'를 만나다 file 2017.10.16 박채연 17599
공공의 적, 미세먼지 1 file 2017.05.25 고아연 14532
공공 장소, 도서관에서의 행사. 성공적!! file 2016.04.17 3기장정연기자 15847
공감 있어 더 나은 세상, Better Together file 2017.11.27 이가빈 161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