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젊은 층이 주목하는 문화의 발상지, 대학로

by 15기유태현기자 posted Apr 24, 2020 Views 121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인간은 문화적 존재라고 지칭될 정도로 문화와 큰 관계성을 지닌다. 경험해 보지 못한 문화를 경험하기 위해 다른 곳으로 여행을 떠나거나, 스스로 새로운 문화를 만들기도 한다. 이처럼 문화는 인간에게 있어 큰 영향을 끼친다. 그렇다면 이 대한민국이란 나라에서 문화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곳은 어디일까? 질문을 들은 사람마다 대답하는 곳이 다를 것이다. 하지만 대학로는 모두가 인정하는 젊은 문화의 발상지일 것이다.

 

 대학로는 성균관대학교 부근에 위치한다. 그렇다면 성균관대학교와의 밀접한 거리 때문에 대학로라고 불리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대학로의 어원을 찾기 위해선 1900년대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서울대학교는 1975년까지 대학로의 위치에 있었고, 서울대학교 앞 거리는 서울대학교 학생이나 타 대학교 학생, 그리고 청소년들이 즐비했다. 이런 거리의 특성을 본 한국문화예술진흥원장의 아이디어로 1985년부터 현재의 이름을 갖는다.

 

d66d3ae5a147d6402400658abe5e5f8c.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유태현기자]

 

 앞선 내용과 같이 대학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젊은 층의 유입이 활발했다. 그로 인해 버스킹이나 연극 등 많은 문화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먼저 연극은 대학로에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코스일 만큼 명성이 자자하다. 연극영화과 학생 또는 전문 배우를 꿈꾸는 이들이 공연하기 때문에 그 열정과 패기를 관객석에서 직접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연극의 내용은 현 사회에 대한 풍자나 비판도 은연중에 포함하기 때문에, 관객이 생각을 확장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쉬어매드니스, 오백에 삼십, 죽여주는 이야기 등이 있다. 또한 대학로에 위치한 마로니에 공원은 늦은 시간까지 노랫소리로 가득 채워진다. 바로 버스킹 문화이다. 자신이 연주하고 싶은 악기를 연주하고, 부르고 싶은 노래를 부르다 보면 어느새 주위 사람들과 하나가 되어 그 시간을 즐기기 시작한다. 이는 대단한 문화이다. 방금 전까지만 해도 아무 관계가 없던 사람을 노래라는 매개체로 묶어 하나 된다는 것은 버스킹만의 특징이다.

 

 대학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젊은 층에게 사랑을 받아왔다. 대학로도 관심에 보답이라도 하듯 어엿한 문화의 발상지로 자리 잡았다. 젊은 층의 문화를 경험하고, 즐기고 싶다면 대학로를 추천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5기 유태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5기김다윤기자 2020.04.25 20:53

    작년에 학교에서 연극 보러 간적이 있는데 연극 외에도 다른 색다른 경험을 하러  새로운 마음으로 대학로를 가보면 좋을 것 같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305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015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72741
렌즈, 올바른 사용법과 부작용 3 file 2020.09.09 김현수 16902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중계 아이돌 팬미팅 1 file 2020.09.14 최다인 13170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3321
하늘을 날고 싶어도 못나는 꿈의 비행기가 있다? 3 file 2020.09.16 이혁재 13595
무기한 연기? 달라진 우리의 문화생활 2 file 2020.09.17 최진서 14107
치과 공포증, 존재하는 질환일까? 3 file 2020.09.17 김수경 15958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2 file 2020.09.18 김다연 15590
'신흥 강자'로 불리던 게임들이 유독 한국에서 부진한 이유는? 1 file 2020.09.21 김상혁 89669
방탄소년단이 서울을 전 세계에 알리다 1 file 2020.09.21 유지원 12151
동남아 여행, 이 애플리케이션 꼭 다운 받아야해! file 2020.09.21 정진희 12758
뮤지컬 ‘캣츠’의 코로나19 대처 방법, 그에 대한 반응은? 1 file 2020.09.22 이서영 14026
코로나 신조어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file 2020.09.23 조수민 15065
집에서 아이와 재미있게 할 수 있는 과학 실험? pH 컬러링! 1 2020.09.24 김태은 17903
UN에 관심 있는 청소년들이여, 이리로 오라! 3 2020.09.25 전민영 11504
영화 겟 아웃의 나오는 인종차별에 대해 알아보자 1 2020.09.25 김경현 17665
무인 판매기의 증가, 소외되는 소수들 file 2020.09.25 송다은 12288
전 세계 넷플릭스 독점 공개! '보건교사 안은영' file 2020.09.25 전채윤 16085
'황소' 황희찬이 라이프치히에 왔다? 1 file 2020.09.25 김시윤 11623
시대의 아이콘 블랙핑크, 10월 2일 첫 정규 앨범으로 컴백 예정 file 2020.09.25 김서영 12733
현대와 미래를 한 아름 담은 공간,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 file 2020.09.25 이건 13075
제1회 '청년의 날', BTS가 연설로 서막을 열다 1 file 2020.09.25 조예은 14102
청년을 위한 행사, '제1회 청년의 날' 기념식 file 2020.09.28 황지우 11445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등장, 로봇 카페 2 2020.09.28 김해승 12528
크로아티아 수심 114m 호수의 믿을 수 없는 변신, 축구장이 되다 file 2020.09.28 권혁빈 15149
방탄소년단, UN에서 또 한 번 세계에 위로의 메시지를 던지다 1 file 2020.09.28 김우정 23047
세계적 기업, 펩시콜라 성장시킨 도널드 켄들의 별세 file 2020.09.28 김상현 13556
치킨값=목숨값? 스웨덴은 법만 지키면 운전하다가도 떡이 생긴다 4 2020.09.29 문청현 16486
지상 최대 거물들의 밥그릇 전쟁 발발 file 2020.09.29 오진혁 11201
새로운 정상과 청소년 활동 주의에 대해서 file 2020.09.29 김태환 12521
빠져나가는 월트디즈니 작품들, 디즈니플러스 독점에 대한 예고일까? file 2020.09.29 박민아 13754
"해외여행 가는 척", 이게 요즘 인기라고? 2 file 2020.09.29 조윤주 11668
몸뿐 아니라 마음까지 병드는 '코로나 블루' file 2020.10.05 이채림 13147
코로나 따라 상승기류 타는 'OTT 서비스' file 2020.10.05 차준우 14402
우리는 어제 사람을 죽였다 4 file 2020.10.05 정미강 23622
온라인 수업 장기화, 학생들의 생각은? 1 file 2020.10.05 조윤아 12644
정유미X남주혁 <보건교사 안은영> 1 file 2020.10.05 김민영 12453
'비밀의 숲 2' 약방의 감초, 존재감 빛나는 조연들 2 file 2020.10.05 김나현 16289
생활 변화의 주범, 코로나 file 2020.10.05 김준희 14141
음식물 쓰레기, 일본에선 그냥 버릴 수 있다고? 1 file 2020.10.05 김시은 23298
추석에는 왜 송편을 먹을까? 4 file 2020.10.05 김성희 14474
코로나19를 예측했다? 재조명받는 영화 <컨테이젼> 1 file 2020.10.06 이소은 15379
쓰레기처럼 버려지는 애완동물들 4 file 2020.10.08 김성진 13964
OpenAI, Microsoft와 독점 라이선스 계약 체결... 배경과 미래는? file 2020.10.08 최준서 26441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아이오로라, 교통카드기능 스마트 학생기자증 도입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2020.10.12 디지털이슈팀 18590
FC 바르셀로나의 부활, 그 주역은 메시 아닌 17살 유망주, 안수 파티 file 2020.10.12 김민재 19264
일반인이 알지 못했던 CPR 지식 1 file 2020.10.12 권태웅 18011
여의도는 얼마나 큰가요? 2020.10.13 박지훈 19200
돌풍의 에버튼! 파죽의 7연승 file 2020.10.14 최준우 141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