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일상 속의 과학기술, 한국의 코로나19 진단키트 속에?

by 15기서수민기자 posted Apr 22, 2020 Views 989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WIN_20200420_17_01_20_Pro.jp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서수민기자]


최근 들어 코로나바이러스의 여파가 세계 곳곳에 퍼져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SARS-COV-2)에 의해 발병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이며, 전염성이 강력하기 때문에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전파를 막는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는 빠른 진단이기 때문에 전 세계에서 빠르고 정확한 진단키트를 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그중 단연코 돋보이는 것은 한국산 코로나 키트이다. 미국과 폴란드, 프랑스 등 많은 국가에서 키트 지원을 요청했고, 인도적 지원을 요청하는 국가 또한 있다. 이렇듯 많은 나라들이 한국산 코로나 키트를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빠르기와 정확성, 그리고 비교적 낮은 가격 때문이다.

 

RT-PCR은 현재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시행되고 있는 검사법이다. 코로나의 여부를 확인하려면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알아야 한다.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은 중합 효소연쇄반응을 의미하며, DNA의 양을 증폭시켜 코로나의 여부를 알게 해준다. 증폭된 유전체는 그 분자량이 코로나바이러스와 일치할 때 코로나바이러스라고 판정된다.

 

유전자와 관련된 검사는 이전부터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 친자 확인을 할 때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유사성을 비교하여 친자일 가능성이 얼마인지 알아낼 수 있다. 또한 범죄 현장에 남은 미세한 침, 머리카락 등으로는 소량의 DNA를 증폭시켜 범인을 찾아낼 수 있다. 이때 PCR 방법이 사용되며 그 정확성 또한 보장되어 있다. PCR 검사는 코로나와 함께 등장한 낯선 검사가 아니다. 전부터 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기 때문에, 코로나를 더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었던 것이다.

 

키트는 유전자를 합성하는 효소와 프라이머, 핵산 염기와 완충액 등을 섞어주기만 하면 된다. 재료들은 국내에서 생산하는 기업들에 의뢰하면 쉽게 구할 수 있다. 이 키트에 검체를 넣은 뒤, 매뉴얼대로 하면 빠른 시간 내에 검사를 완료할 수 있다.

 

PCR 검사는 2~3시간, 준비나 이동시간 등을 포함하면 6시간쯤 소요된다. 하루 종일 걸리는 다른 키트들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빠른 시간이다. 또한 정확도는 거의 100%에 가깝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5기 서수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4기조윤혜기자 2020.04.23 01:32
    대한민국이 코로나 사태에 잘 대응하는구나, 진단키트를 잘 만드는구나 라고만 생각했는데 이 기사를 통해서 진단키트의 원리는 무엇인지에 대해 이번 기회를 통해 알게되어서 신기했고 원리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 ?
    15기김햇빛기자 2020.04.23 01:44
    우리나라 키트를 전 세계가 이용하고 있다니 우리나라 국민으로서 자긍심이 생기네요!! 진단키트를 통해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뛰어나 다는 걸 다시 한번 느끼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79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149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5261
제로 음료수의 시대, 설탕을 대신한 감미료들 file 2023.07.15 이주하 5072
제노포비아, 한국은 어떤가요? file 2018.10.24 남지윤 1712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정당별 총평편 file 2018.07.23 정민승 9794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시장편 2 file 2018.06.25 정민승 1148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도지사편 file 2018.07.12 정민승 10573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갈수록 커져가는 지식 재산권의 남용, 법적 분쟁의 해결책은? file 2018.07.24 송민주 10893
제3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집회 "몰카 범죄 피해자 여성일 때도 강력히 수사해야" 5 file 2018.07.09 노영석 11944
제39주년, 우리가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예의 file 2019.05.22 박문정 10986
제34회 글로벌청소년과학탐구대회 '운지벌레' 논란 3 file 2016.04.25 박성수 19689
제2의 신천지 사태? BTJ열방센터 확진자 속출 file 2021.01.28 오경언 10816
제25대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그가 내세운 공약은? 1 file 2017.05.24 최현정 11515
제2 벤처붐 분다 file 2022.03.15 류민성 7297
제19호 태풍 솔릭의 영향은 어디까지일까... file 2018.09.03 정다원 9379
제19대 대선 총 투표율 80% 못 미쳐… 77.2% 기록 4 file 2017.05.10 이가영 10898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에게 바란다 1 file 2017.05.24 김소희 10545
제14차 광화문 촛불집회... 아직 꺼지지 않는 촛불 2 file 2017.02.11 김동근 14250
제1268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잊지못할 그 날의 아픔 5 file 2017.02.20 김연우 15102
제11회 부산불꽃축제, 그 화려한막을 내리다 2 file 2015.10.25 안세영 24181
제 2의 평택 아동 암매장 살인사건 막자 file 2017.03.18 황수민 11647
제 20차 촛불집회, 생명력 넘치는 광화문 그 현장으로 file 2017.03.18 박기준 10716
제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새 리더는? 1 file 2017.05.09 박기준 10800
제 14회 민족정기선양 3.1독립만세재현 활동 개최 file 2017.03.25 조혜준 11581
제 1316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아픔을 기억하겠습니다 file 2018.01.05 김민하 12805
정치적 비리의 피해자가 된 올림픽 영웅. 6 file 2017.04.01 정예진 14806
정치인의 길 file 2017.03.22 윤영민 10322
정치인에게 책이란? 4 file 2017.02.23 강민 15122
정치에 참여할 수 없는 사람들 1 2017.02.16 김유진 13311
정점을 향해 가는 사드 보복, 그 결말은? 1 file 2017.03.26 정지운 10976
정의연은 과연 누구를 위한 단체인가? file 2020.06.23 이예빈 9746
정의당, 앞으로의 미래는? 2021.02.23 김성규 19833
정의당 원내대표 故 노회찬 국회의원 영결식 국회장으로 엄수 7 file 2018.07.31 허기범 11660
정시 확대, 조국이 쏘아올린 작은 공 2019.11.11 정혜원 10197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8009
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 대책과 토지공개념 도입 file 2018.03.30 신유진 11368
정부의 단호한 '8*2부동산 대책'을 둘러싼 우려 1 file 2017.09.27 고다정 10533
정부와 부산시는 당장 영화인들을 향한 횡포를 멈추십시오 2 file 2016.03.19 이강민 15754
정부세종청사 통근버스, 줄줄 새는 혈세 7 file 2016.02.24 정현호 20203
정부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역사진흥원’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09.04 디지털이슈팀 14908
정부가 만든 AI사태 2 file 2017.02.16 박현지 13068
정부, ‘중국인 입국 금지'에 대한 견해를 밝히다 file 2020.03.02 전아린 8666
정부, ‘위드 코로나’ “9월 말 이후 검토”... 일상 회복의 신호탄 될까 file 2021.08.23 김은수 7209
정부, 2022 신년 특별사면 단행… 박근혜 전 대통령 포함 3,094명 대상 file 2022.01.07 이지은 28552
정부 VS 시민단체 "노동자상은 어디에?" 2 file 2018.05.25 서고은 9892
정부 '위드 코로나' 본격 검토 2021.09.14 안서연 12150
정보화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 2017.11.13 신수현 31592
정보 사회 도래에 따른 성공적인 산업 및 기업의 변화 file 2018.10.15 서지환 10643
정말 물가는 월급 빼고 다 상승하는 것일까? 1 file 2019.06.03 송수진 10350
정말 물가는 내렸을까? 우리가 몰랐던 비밀 file 2019.03.04 김의성 183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