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신인 보이그룹 크래비티의 데뷔

by 14기천수정기자 posted Apr 20, 2020 Views 1543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E2FE24F3-1BB2-46B1-BC49-E2C187145B08.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천수정기자]


 스타쉽 엔터테인먼트의 새로운 보이그룹 크래비티(CRAVITY)가 4월 14일 데뷔했다. 크래비티는 세림, 앨런, 정모, 우빈, 원진, 민희, 형준, 태영, 성민까지 총 9인조로 구성되어 있다.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X101'에 출연해 큰 인기를 끌었던 연습생들이 함께 데뷔해 데뷔 전부터 많은 이들의 이목을 끌었다. 이들은 14일 브이 라이브로 진행한 데뷔 쇼케이스에서부터 시청자 수 100만 명을 돌파시키며 그 위상을 드러냈다. 그들은 첫 데뷔 무대임에도 불구하고 신인답지 않은 노련함을 뽐내며 무사히 쇼케이스를 끝마쳤다.


 크래비티의 데뷔 앨범은 [HIDEOUT: REMEMBER WHO WE ARE - SEASON1.]으로, 타이틀곡인 'Break all the Rules'는 파워풀한 악기들을 기반으로 한 어반 힙합 장르로, '스스로 가둔 틀과 규칙을 깨부수자'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강한 보컬과 타이트하게 짜인 퍼포먼스에서 크래비티만의 신인다운 패기와 열정이 느껴지는 노래이다.


 또한 앨범의 서브 타이틀곡이자 수록곡 'Jumper'은 그룹 몬스타엑스의 멤버 주헌이 소속사 후배인 크래비티를 위해 작곡한 곡으로, 자유롭고 패기 넘치는 청춘의 열정을 보여주는 노래이다. 크래비티는 데뷔 쇼케이스에서 주헌을 언급하며 소속사 선후배 간의 우정을 과시했다. 그 외에도 락 스타일의 'Top of the Chain', 어반 퓨처 트랩 스타일의 'Blackout'의 곡으로 그들만의 열정을 뿜어냈고, 불안한 세계 속에서도 서로 위안을 준다는 크래비티의 세계관을 표현한 '낯섦', 청량한 멜로디의 'Cloud 9', 크래비티와 팬들에게 서로 밝혀주는 별이 되길 소망한다는 의미를 담은 '별'이 이번 앨범에 수록되어 있다.


 크래비티는 데뷔와 동시에 데뷔 쇼케이스 시청자 100만 명,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음반 판매량을 기록하는 등 쾌거를 이루어냈다. 소위 '4세대 케이팝'을 대표할 수 있을지 크래비티의 전망이 기대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4기 천수정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이채원기자A 2020.04.19 10:57
    집에만 있느라 답답하고 심심했었는데 신인 보이그룹이라 하니 노래한번 들어봐야 겠어요!ㅎㅎ
  • ?
    15기정미강기자 2020.04.21 15:56
    새로운 그룹이 탄생했다니 K-POP이 더욱 풍성해질거 같네요!
  • ?
    14기김도연기자 2020.05.19 21:29
    프듀떄 송형준님 정말 응원했었는데 엑스원 데뷔가 무산되서 아쉽고 그동안 열심히 했던 멤버들 생각하니깐 안타까웠는데 크래비티라는 그룹으로 데뷔해서 정말 다행이에요! 꽃길만 걸었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2493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2236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44176
골재상에서 발생한 화재, 인근 고등학교 덮쳐.. 인명 피해는 '無' 3 file 2017.04.09 이동우 17887
공간의 진화, 트렁크 룸 1 file 2017.03.26 김하은 16408
공감 있어 더 나은 세상, Better Together file 2017.11.27 이가빈 15945
공공 장소, 도서관에서의 행사. 성공적!! file 2016.04.17 3기장정연기자 15699
공공의 적, 미세먼지 1 file 2017.05.25 고아연 14395
공동의 리듬, 공동의 몸; '공동체'를 만나다 file 2017.10.16 박채연 17458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3259
공모전부터 전시까지 다채로운 코바코의 공익광고축제 file 2016.11.21 박지혜 31223
공상 영화의 현실화, ‘하이퍼루프’ file 2021.03.26 김규빈 14082
공스타그램, 이젠 공부도 SNS로! 7 file 2017.03.12 이지우 19711
공연 '소년대로' 오는 16일까지 대학로서 공연 file 2023.04.12 박도현 7263
공원커피,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2022 카페 소스페소’ 커피 캠페인 진행 file 2022.12.06 이지원 7911
공인인증서는 가고 시작된 민간인증서들의 시대 file 2020.12.28 이채은 12828
공정무역, 과연 안전하고 공정한가? file 2021.02.23 원규리 13596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6616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1393
공포의 자동차 ‘급발진’ 그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4 file 2015.02.07 김현우 33670
공항동, 도시재생으로 다시 날 수 있을까? file 2020.11.09 김서영 12931
공휴일 아닌 기념일, 그 의미는 알고있니? file 2017.07.25 장서윤 15104
과거와 현대를 잇는 도심 속 산책, 타이베이 여행 4 2018.05.04 김선주 24104
과거와 현대의 공존, 오사카 여행기 file 2017.02.25 주은채 15312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예술인들, 무예 24기 file 2021.04.23 최민서 12108
과거축구와 현대축구의 만남, 풋볼 팬타지움 2018.10.19 서성준 15180
과도한 트로트 열풍 이대로 괜찮은가? 2021.01.15 홍재원 14136
과연 내가 살찌는 이유가 고기에게만 있을까? file 2017.12.04 유하늘 14620
과천 누리마 축제의 현장으로 2017.11.24 고은빈 14163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1564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7357
과천에서의 문화체험 file 2014.10.18 오선진 32325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6619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5791
과학문화 한마당! 체험 한마당! file 2017.04.21 오지석 14056
과학에 대해서 궁금하면?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file 2017.10.25 이예준 16125
과학에서 '혁명'이란 무엇인가 file 2018.05.18 신온유 20245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제 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최 file 2017.08.13 김영서 12789
과학을 향한 학생들의 도전, 2017 제주청소년과학탐구대회 file 2017.04.28 신온유 15251
과학의 관점을 바꿔주는 제16회 수원정보과학축제에 다녀오다 1 file 2019.10.23 유석훈 16901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8940
과학적이고 아름답다!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 file 2018.01.30 곽승용 19664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4332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6519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작은 한걸음 file 2017.03.25 김경은 15905
관중 입장이 재개된 프로야구 현재 상황 file 2020.10.26 나주현 12432
광명동굴의 ‘미디어 아트로 보는 세계명화전’. 성황리에 막을 내리다. 2 file 2017.05.21 최미성 15863
광복 70주년을 맞아 진행된 눈물의 행사들. 그리고 그 행사들의 주인공 위안부 할머니들. 2 file 2015.08.27 정주현 26440
광복 72주년 기념 해방 거리 재현 행사 '사람의 나라' file 2017.08.17 박규리 13274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4741
광복의 환희와 되찾은 조국의 상징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1 file 2019.01.08 이채린 149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