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코로나19가 몰고 온 비대면(Untact) 문화

by 15기김지윤기자 posted Apr 17, 2020 Views 127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키오스크 사진.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김지윤기자]


언택트(Untact)란. 접촉을 뜻하는 '콘택트(Contact)'에 부정을 뜻하는 '언(Un)'을 결합한 단어로 비대면, 비접촉이라는 뜻의 신조어로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비대면 상품이나 서비스를 거래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세계적 대유행 현상)으로 우리의 일상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저렴한 가격에 쉽게 구할 수 있었던 마스크는 품귀 현상으로 4부제를 시행할 만큼 전 국민에게 필수품이 되었다. 정부 차원의 사회적 거리 두기 캠페인이 시행되면서 외출을 자제하고 공공 부문은 물론 기업들도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재택 근무를 확대하기 시작했고, 교육 현장에서도 온라인 개학으로 원격 수업, 온라인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빠르게 적용되고 있다. 


이처럼 우리는 지금껏 경험하지 못했던 언택트(비대면) 문화가 바이러스 확산 속도만큼 빠르게 우리 사회 전반에 그리고 전 세계로 확산하는 모습을 생생하게 보고 있다. 비대면 관계의 일상이 장기화되었을 때 우리가 맞게 될 문제도 고민해보자. 


사람과 대면 없이 첨단 기술을 활용해 상품 및 서비스를 이용하는 언택트 문화는 불필요한 소통과 시간 낭비가 없는 장점도 있지만, 변화의 속도에 적응하는 것이 힘든 계층에게는 무인화의 가속화가 사회적 소외를 불러올 수 있을 것이다. 


소통의 단절이 지속하면 사회적인 문제가 생기게 될 것이다. 2002년 사스, 2009년 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를 극복한 것처럼 이번 코로나19도 시간이 걸리고 피해도 크겠지만 언젠가는 극복될 것이다.


우리 사회에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을 언택트 문화에 신속히 적응하고 새로운 도전과 혁신의 기회로 삼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비록 모두가 힘든 시기지만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기 위해 도전하고 우리는 함께 시작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5기 김지윤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345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165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6680
광운대 아이스하키팀, 96년 만에 환호성 질러 2 file 2017.02.19 김연수 18837
광복절, 안성에서 그들을 기억하다 1 file 2018.08.27 안정섭 15677
광복의 환희와 되찾은 조국의 상징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1 file 2019.01.08 이채린 15402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5027
광복 72주년 기념 해방 거리 재현 행사 '사람의 나라' file 2017.08.17 박규리 13584
광복 70주년을 맞아 진행된 눈물의 행사들. 그리고 그 행사들의 주인공 위안부 할머니들. 2 file 2015.08.27 정주현 26870
광명동굴의 ‘미디어 아트로 보는 세계명화전’. 성황리에 막을 내리다. 2 file 2017.05.21 최미성 16243
관중 입장이 재개된 프로야구 현재 상황 file 2020.10.26 나주현 12709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작은 한걸음 file 2017.03.25 김경은 16156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6815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4761
과학적이고 아름답다!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 file 2018.01.30 곽승용 19929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9226
과학의 관점을 바꿔주는 제16회 수원정보과학축제에 다녀오다 1 file 2019.10.23 유석훈 17142
과학을 향한 학생들의 도전, 2017 제주청소년과학탐구대회 file 2017.04.28 신온유 15562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제 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최 file 2017.08.13 김영서 13045
과학에서 '혁명'이란 무엇인가 file 2018.05.18 신온유 20635
과학에 대해서 궁금하면?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file 2017.10.25 이예준 16441
과학문화 한마당! 체험 한마당! file 2017.04.21 오지석 14450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6109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6865
과천에서의 문화체험 file 2014.10.18 오선진 32727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7682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1865
과천 누리마 축제의 현장으로 2017.11.24 고은빈 14494
과연 내가 살찌는 이유가 고기에게만 있을까? file 2017.12.04 유하늘 14972
과도한 트로트 열풍 이대로 괜찮은가? 2021.01.15 홍재원 14554
과거축구와 현대축구의 만남, 풋볼 팬타지움 2018.10.19 서성준 15485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예술인들, 무예 24기 file 2021.04.23 최민서 12395
과거와 현대의 공존, 오사카 여행기 file 2017.02.25 주은채 15643
과거와 현대를 잇는 도심 속 산책, 타이베이 여행 4 2018.05.04 김선주 24421
공휴일 아닌 기념일, 그 의미는 알고있니? file 2017.07.25 장서윤 15503
공항동, 도시재생으로 다시 날 수 있을까? file 2020.11.09 김서영 13210
공포의 자동차 ‘급발진’ 그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4 file 2015.02.07 김현우 34121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1737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6885
공정무역, 과연 안전하고 공정한가? file 2021.02.23 원규리 13862
공인인증서는 가고 시작된 민간인증서들의 시대 file 2020.12.28 이채은 13126
공원커피,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2022 카페 소스페소’ 커피 캠페인 진행 file 2022.12.06 이지원 8197
공연 '소년대로' 오는 16일까지 대학로서 공연 file 2023.04.12 박도현 7507
공스타그램, 이젠 공부도 SNS로! 7 file 2017.03.12 이지우 20113
공상 영화의 현실화, ‘하이퍼루프’ file 2021.03.26 김규빈 14382
공모전부터 전시까지 다채로운 코바코의 공익광고축제 file 2016.11.21 박지혜 31548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3664
공동의 리듬, 공동의 몸; '공동체'를 만나다 file 2017.10.16 박채연 17802
공공의 적, 미세먼지 1 file 2017.05.25 고아연 14703
공공 장소, 도서관에서의 행사. 성공적!! file 2016.04.17 3기장정연기자 16069
공감 있어 더 나은 세상, Better Together file 2017.11.27 이가빈 163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