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거대한 보온병 하우스, 패시브 하우스가 무엇일까?

by 14기김서연기자 posted Apr 13, 2020 Views 154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구온난화로 인한 문제점이 속속히 드러나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줄이는 것에 약간의 도움을 줄 수 있는 친환경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해내는 전기차, 수소차 등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도 위와 마찬가지로 친환경적인 주택이다. 이때 패시브의 정의는 '수동적(passive)'이라는 뜻이다. 이는 수동적인 집이라는 뜻인데, 에너지(energy)의 손실을 수동적으로 줄이도록 설계했다는 것이다. 단열벽구조와 3중창을 이용해 보온병처럼 집 안의 열기와 냉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해주고집 밖의 온도가 집안 온도에 쉽게 영향을 미칠 수 없도록 해 준다하지만 이는 환기를 하면 열 손실이 일어나기 매우 쉽다. 그래서 모든 패시브 하우스에는 열회수환기장치가 있다. 이는 외부 온도와 집 내부 온도를 난방 시설을 사용하지 않고도 한겨울에 실내 온도 약 20를 유지하고한여름에 냉방 시설을 사용하지 않고 약 26를 유지할 수 있다이를 통해 환기를 할 때 열 손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이 패시브 하우스를 바탕으로 태양광 발전기 등을 설치하기만 한다면 제로 에너지 주택이 될 수 있다.

이렇게 된다면 전기세 등의 관리비가 상상 이상으로 저렴해진다실제 거주해본 결과에어컨온풍기 등을 걱정 없이 작동시켜도 한 달에 약 2~3만 원 정도의 전기세가 나왔다. 일반 아파트나 주택에 비해 관리비가 적게 들어 거주자들의 전기세 부담감을 빠르게 해소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로렌.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김서연기자]


이처럼 거대한 보온병 집, 패시브 하우스는 여름에는 시원하게겨울에는 따뜻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해준다또한, 에너지도 절감되므로 전기세 걱정 없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지구온난화로 인해 많은 문제가 있는 현시점에 패시브 하우스, 제로 에너지 주택의 많은 도입이 필요해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4기 김서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5기이다빈기자 2020.04.16 18:02
    보온병 하우스라니! 점점 친환경적인 음식, 물건, 집들이 나오는 것 같아 정말 좋아요. 나중에 살고싶어지는 집이네요ㅎㅎㅎ
  • ?
    14기김서연기자 2020.04.24 22:50
    맞아요 ㅜㅜ 빨리 더 많은 것들이 우리가 살아가야할 소중한 자연을 빼앗지 않을 수 있도록 친환경적으로 바뀌었으면 좋겠어요ㅜㅜ
  • ?
    14기김서연기자 2020.04.24 22:51
    맞아요 ㅜㅜ 빨리 더 많은 것들이 우리가 살아가야할 소중한 자연을 빼앗지 않을 수 있도록 친환경적으로 바뀌었으면 좋겠어요ㅜㅜ
  • ?
    15기김햇빛기자 2020.04.19 23:54
    학교 기술 가정 시간에 짧게 배웠던 기억이 있는데, 지구온난화가 심각한 상황인 지금 패시브 하우스가 널리 도입되었으면 좋겠어요!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점이 이 집만의 장점인 것 같아요:D
  • ?
    14기김서연기자 2020.04.24 22:53
    네 맞아요~ 실제 거주해보았었는데, 전기세가 정~~말 저렴하더라구용~~!!
    한 달에 7000원 나왔다고 하네요~
  • ?
    14기김서연기자 2020.04.24 22:53
    네 맞아요~ 실제 거주해보았었는데, 전기세가 정~~말 저렴하더라구용~~!!
    한 달에 7000원 나왔다고 하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428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151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3526
광운대 아이스하키팀, 96년 만에 환호성 질러 2 file 2017.02.19 김연수 18650
광복절, 안성에서 그들을 기억하다 1 file 2018.08.27 안정섭 15450
광복의 환희와 되찾은 조국의 상징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1 file 2019.01.08 이채린 15176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4882
광복 72주년 기념 해방 거리 재현 행사 '사람의 나라' file 2017.08.17 박규리 13397
광복 70주년을 맞아 진행된 눈물의 행사들. 그리고 그 행사들의 주인공 위안부 할머니들. 2 file 2015.08.27 정주현 26608
광명동굴의 ‘미디어 아트로 보는 세계명화전’. 성황리에 막을 내리다. 2 file 2017.05.21 최미성 16043
관중 입장이 재개된 프로야구 현재 상황 file 2020.10.26 나주현 12529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작은 한걸음 file 2017.03.25 김경은 16025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6646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4464
과학적이고 아름답다!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 file 2018.01.30 곽승용 19777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9057
과학의 관점을 바꿔주는 제16회 수원정보과학축제에 다녀오다 1 file 2019.10.23 유석훈 17004
과학을 향한 학생들의 도전, 2017 제주청소년과학탐구대회 file 2017.04.28 신온유 15374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제 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최 file 2017.08.13 김영서 12896
과학에서 '혁명'이란 무엇인가 file 2018.05.18 신온유 20384
과학에 대해서 궁금하면?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file 2017.10.25 이예준 16253
과학문화 한마당! 체험 한마당! file 2017.04.21 오지석 14189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5923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6728
과천에서의 문화체험 file 2014.10.18 오선진 32449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7482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1677
과천 누리마 축제의 현장으로 2017.11.24 고은빈 14294
과연 내가 살찌는 이유가 고기에게만 있을까? file 2017.12.04 유하늘 14745
과도한 트로트 열풍 이대로 괜찮은가? 2021.01.15 홍재원 14268
과거축구와 현대축구의 만남, 풋볼 팬타지움 2018.10.19 서성준 15310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예술인들, 무예 24기 file 2021.04.23 최민서 12234
과거와 현대의 공존, 오사카 여행기 file 2017.02.25 주은채 15448
과거와 현대를 잇는 도심 속 산책, 타이베이 여행 4 2018.05.04 김선주 24247
공휴일 아닌 기념일, 그 의미는 알고있니? file 2017.07.25 장서윤 15277
공항동, 도시재생으로 다시 날 수 있을까? file 2020.11.09 김서영 13039
공포의 자동차 ‘급발진’ 그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4 file 2015.02.07 김현우 33828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1507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6739
공정무역, 과연 안전하고 공정한가? file 2021.02.23 원규리 13715
공인인증서는 가고 시작된 민간인증서들의 시대 file 2020.12.28 이채은 12956
공원커피,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2022 카페 소스페소’ 커피 캠페인 진행 file 2022.12.06 이지원 8039
공연 '소년대로' 오는 16일까지 대학로서 공연 file 2023.04.12 박도현 7361
공스타그램, 이젠 공부도 SNS로! 7 file 2017.03.12 이지우 19876
공상 영화의 현실화, ‘하이퍼루프’ file 2021.03.26 김규빈 14231
공모전부터 전시까지 다채로운 코바코의 공익광고축제 file 2016.11.21 박지혜 31349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3426
공동의 리듬, 공동의 몸; '공동체'를 만나다 file 2017.10.16 박채연 17607
공공의 적, 미세먼지 1 file 2017.05.25 고아연 14539
공공 장소, 도서관에서의 행사. 성공적!! file 2016.04.17 3기장정연기자 15857
공감 있어 더 나은 세상, Better Together file 2017.11.27 이가빈 161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