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코로나19 진단법, 정확히 알아보자!

by 14기김상규기자 posted Mar 30, 2020 Views 1837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코로나19가 아시아를 넘어 유럽, 북미 등 전 세계를 강타한 와중에 한국의 대처법과 검사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다른 많은 코로나 발생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한국은 독보적으로 많은 검사를 신속하게 진행하고 있다. 또한, 검사를 통한 데이터를 빠르게 공유하여 효과적인 역학조사를 하고 있다. 그럼 우리나라는 어떠한 진단법을 사용하여 이렇게 빠르고 많은 검사를 진행하고 있을까?



12581ED3-06BE-4DCD-BA81-DB4BE6C670F6.jpe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김상규기자]


  현재 한국은 RT-PCR을 이용하여 코로나를 검사한다고 밝혔다. RT-PCR은 특정 유전자의 수를 증폭 시켜 검체에 존재하는 코로나바이러스를 검출해내는 방법이다. RT-PCR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PCR의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PCR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튜브에 DNA 가닥과 dNTP, DNA 합성 효소, 두 종류의 프라이머가 필요하다. 가장 첫 번째 단계는 변성으로, 가열 과정을 통해 약 94°C에서 증폭시키고자 하는 DNA 가닥을 분리하는 것이다. 가열 후 재결합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낮은 온도에서 프라이머 가닥이 분리된 DNA 가닥에 부착되는 과정을 말한다. 프라이머는 바이러스의 RNA 가닥에 상보적인 유전자 가닥의 합성을 위한 개시점으로 작용한다. 마지막은 합성 과정으로 프라이머가 부착된 후 여기서부터 dNTP가 부착되어 상보 가닥이 합성된다. 변성과 재결합, 합성 과정을 40회 정도 반복하여 원하는 DNA 가닥이 수백만 개로 증폭시킬 수 있다. 


  코로나19는 RNA 바이러스로 DNA가 아닌 단일 가닥의 RNA 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코로나19에 대한 PCR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일반 PCR 방법이 아닌 RT-PCR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역전사효소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특징이 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단일 가닥의 RNA에 프라이머가 부착된 후 역전사효소가 상보적인 가닥을 만들어 RNA-DNA Hybrid가 형성된다. 이때 사용되는 프라이머는 코로나19의 특징적인 염기 서열에 부착되도록 설계된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이 검사의 정확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이후 일반 PCR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유전자 서열을 증폭시킨다.

  검체에 코로나바이러스가 소량이라도 있는 경우 RT-PCR 검사를 진행했을 때 유전자 서열이 증폭되어 검출할 수 있게 되고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타난다. 반면 코로나바이러스가 없으면 증폭되는 유전자 서열도 없기 때문에 음성의 결과를 얻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양성, 음성의 결과를 얻는다. 이 RT-PCR 검사를 통해 한국은 빠르고 정확한 검사를 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4기 김상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383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042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4093
MBC 노조 파업 철회.. KBS는? 4 file 2017.11.24 고주연 12016
MB 21시간의 조사…결국 구속영장 청구 file 2018.03.22 허나영 9818
Marketing Taste Test - 블라인드 시음 1 file 2018.06.11 조찬미 11095
LG에너지솔루션, 엘앤에프와 1조원대 공급계약 체결 후 테슬라와도 `NCMA 양극재 배터리' 계약체결 2020.12.21 송성준 11821
LGBTQ, 아직도 차별받고 있다 file 2019.05.20 배연비 14518
LG 트윈타워 청소 근로자 파업농성 50일 훌쩍 넘어가고 있어... 진행 상황은? file 2021.02.25 김예린 7798
KT&G복지재단, 에너지 취약계층 후원한다..."사회문제 해결 동참" file 2023.02.07 디지털이슈팀 4806
KFX 인니 '손절'? file 2021.03.02 정승윤 8620
KF80 마스크로도 충분하다 2 file 2020.04.08 김동은 8712
KAI의 국산 수송기 개발 계획 어떤 수송기 만들려는 건가 file 2021.04.29 하상현 107306
J노믹스의 경제인은? file 2017.05.25 김찬 10423
JSA 공동경비구역, 평화의 시작점으로 변화하나 2018.10.26 허이령 10294
IT 기술의 발달과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 file 2021.01.27 류현우 9915
ISIS' cultural atrocities in the Middle East 1 file 2016.06.25 정채현 164105
IMF, 세계경제전망 발표… 한국 경제는 선방하는 중 file 2021.10.18 엄태우 9555
I-SEIF, 사회적경제기업 위해 해피빈 공감가게 기획전 열어 file 2022.11.01 이지원 5504
HTTPS 규제, 미디어의 자유를 빼앗아 가는 것은 아닌가 2 file 2019.03.18 배연비 19530
HDC현대산업개발 '광주화정아이파크' 전면 재시공 file 2022.05.09 김명현 7529
Greta Thunberg, 스웨덴의 만 16세 소녀가 UN에 서게 된 까닭은? 1 file 2019.09.30 이채린 10686
Greatest Fakes, China file 2016.08.25 정채현 52709
GOS 게이트 톺아보기 file 2022.03.28 이준호 18681
GM 군산공장 폐쇄, 그 속내는? file 2018.03.02 백다연 11098
GDP 추정치로 알아본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 어느 정도인가? 1 file 2020.11.23 김광현 9121
G- 경제 국제기구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file 2020.06.29 윤영주 10142
FOOD TECH라고 들어보셨나요? 1 file 2018.12.31 채유진 12997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880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582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362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257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478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510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750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080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520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298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575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340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159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058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531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460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827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265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211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868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410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237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0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