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코로나19의 분야별 피해 현황과 그 해결책은?

by 16기전지영기자 posted Mar 02, 2020 Views 98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64f85fa5afbe24d8747d042f24482b54.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전지영기자]


요즘 모두의 관심을 한 몸에 받는 뉴스가 있다. 바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그 주인공이다. 흔히 코로나19라고 불리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2019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뒤 전 세계로 확산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을 말한다. 현재(2020. 02. 28) 확진자는 2337명으로 하루 만에 571명이 추가로 발생하여 전 국민들이 공포에 떨고 있으며, 피해 현황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그렇다면 분야별 코로나19의 피해 현황은 어떨까?

      

첫 번째로는 문화·예술 분야이다. 방탄소년단을 비롯하여 슈퍼주니어, 트와이스, 레드벨벳, 청하, 마마무, (여자)아이들, 있지 등이 출연하기로 하여 화제를 모았던 더팩트 뮤직어워즈는 코로나19로 인하여 하반기로 연기하기로 하였으며, 이제훈·안재홍·최우식·박정민 주연의 영화 '사냥의 시간' 역시 개봉을 연기하기로 밝혔다. 문화·예술 분야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는 공연 취소·연기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예술인들이 긴급생활자금을 받을 수 있게 총 30억을 3월부터 지원하기로 하였으며, 민간 소규모 공연장 430개를 소독하며, 방역용품, 휴대형 열화상 카메라 등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기업들의 피해 현황도 적지 않다. 애플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올해 1·4분기 매출 전망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달 22일에는 삼성전자 구미사업장 여직원 A(28) 씨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24일까지 시설을 폐쇄하고 방역을 하였으며, 현대제철 포항공장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포항공장 일부가 전격 폐쇄됐다. 특히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피해도 심각해지면서 IBK기업은행은 2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3월부터 3개월 동안 기업은행이 보유한 건물의 임대료를 30%(100만 원 한도) 인하한다고 밝혔지만, 피해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 유초중고의 개학은 1주일 연기되어 39일로 변경되었음을 교육부는 밝혔으며, 22일 시행하는 '2020년도 제30회 요양보호사 자격시험'도 대구에서만 취소가 되어 응시자들이 불만을 호소하였다.

      

이에 기업과 스타들도 후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수출입은행은 코로나19 피해 긴급구호에 5000만 원 후원하였다. 배우 박서준을 비롯하여 이병헌, 유재석, 신민아, 정우성 등이 각각 1억 원을 기부하였고, '바둑 여제' 최정 역시 코로나19 피해 복구에 1천만 원 기부하여 누리꾼들의 찬사를 받았다.

 

국민들의 관심과 걱정을 한 몸에 받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하루빨리 해결될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4기 전지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29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19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610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698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908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241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469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272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2138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484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20060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180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966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878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292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308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630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490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627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369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478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855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165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945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170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420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418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481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329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422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627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6063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420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427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4044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688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726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255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365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614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736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488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746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225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928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865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726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493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516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757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60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