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점점 사라져가는 생물들...생물 다양성을 보전하자!

by 15기윤혜림기자 posted Feb 13, 2020 Views 1488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산업화가 가속화되고, 환경이 오염되면서 우리나라에는 많은 동물이 사라져갔다. 구렁이, 늑대, 저어새, 반달가슴곰 등은 많은 사람이 알고 있는 생물이지만, 지금은 잘 볼 수 없는 멸종위기가 되어버린 종들이다


 

그래프.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3기 윤혜림기자]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제공한 수치로 제작한 위의 이미지와 같이 우리나라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지정 종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지금처럼 점점 증가하여, 특정 종이 멸종하게 된다면 생태 피라미드의 균형을 파괴하기 때문에 생태계 전체가 무너질지도 모른다. 생태계와 야생생물을 보호하려면 생물 다양성을 보전할 필요가 있다.


 생물 다양성(Biodiversity)이란, 우리가 사는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의 다양성을 의미한다. 생물 다양성은 주로 아래의 세 가지로 나뉜다. 유전자 다양성(genetic diversity)은 하나의 생물 종을 구성하고 있는 개체들의 유전적 변이를 의미한다. 종 다양성(species diversity)은 생물의 기본단위인 종(species)이 얼마나 다양하고, 자주 나타나는지를 의미한다. 생태계 다양성(ecosystem diversity)은 사막, 늪지와 같이 서로 다른 생태계의 빈도와 다양성을 의미한다.


 생물 다양성은 인간의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렇다면 생물 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


 바로,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이 있다. 생물다양성협약은 지구상의 생물 종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협약으로, 대한민국은 154번째로 이 협약에 회원국이 되었다. 우리나라는 생물다양성협약에 가입하여, 2014년에 평창에서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총회를 개최했다. 생물다양성협약에 가입한 국가들은 모두 지구의 생물 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많이 힘쓰고 있다. 또한, 우리가 생물 다양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바로 우리 주변에 생물에 관심을 두고 생물 다양성의 중요함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3기 윤혜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TAG •
  • ?
    14기김서연기자 2020.02.24 23:49
    우리나라가 생물다양성 협약의 회원국이였다니..
    우리나라에 살면서도 잘 몰랐던 지식인데 이렇게 기사로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071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11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359
경제가 시사하는게 ISSUE - 통일과 합리적 선택 file 2018.10.01 김민우 16405
경제를 움직이는 빨대효과 file 2019.02.19 김해인 12032
경제학이多 - 경제학의 흐름 2 file 2018.11.23 김민우 18876
경제학이多 - 국제경제학 file 2018.11.12 김민우 15494
경제학이多 - 마르크스 경제학 file 2018.11.05 김민우 15749
경제학이多 - 미시경제학과 거시 경제학 file 2018.10.15 김민우 22207
경제학이多 - 정보경제학 file 2018.11.01 김민우 15970
경제학이多 - 행동경제학 file 2018.10.19 김민우 16248
경제학이多 - 후생경제학 1 file 2018.10.25 김민우 16218
경제효과 5조 원, ‘방탄이코노미’ 1 file 2019.12.11 백지민 11288
경찰 머리채 논란 과연 과잉대응이었을까? 1 file 2018.09.03 지윤솔 11322
경찰, 경희대 국제캠 총학생회 '업무상 배임 혐의' 내사 착수 file 2023.05.16 디지털이슈팀 6778
계속 더워지는 지구... 최근 5년이 가장 더웠다 file 2019.12.31 유승연 9417
계속되는 'ME TOO' 운동, 이대로 괜찮을까? 1 2018.04.20 윤예진 12223
계속되는 '욱일기' 논란... 욱일기는 무엇인가? file 2017.03.18 허재영 13831
계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인형 뽑기'를 그만둘 수 없는 이유 2 file 2017.02.19 이혜진 19653
계속되는 계란의 수난, 이제는 찬밥 신세 file 2017.08.27 한채은 10584
계속되는 남성 성추행 논란, 이유는? 4 file 2017.02.15 정주연 16020
계속되는 소녀상 수난, 대책 서둘어야... 3 file 2017.03.13 박현규 11048
계속되는 엔화 환율 하락… 이유는? file 2018.01.03 유진주 13910
계속되는 제주 난민수용 갈등, 어느것이 옳은 선택? 2018.07.26 고유진 10011
계속되는 폭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2 2018.07.25 김성백 10964
계속되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떨어지나 2021.12.28 유지훈 7239
계속해서 늘어나는 청소년 흡연 문제 2014.07.30 이수연 21487
고 김용균, 비정규직의 안타까운 죽음을 애도하다 file 2019.01.28 최경서 9692
고1 당원 배지, 고3 금배지 다는 시대가 다가온다 file 2022.01.24 강준서 9748
고3 학생들과 함께한 이번 선거 file 2020.05.04 손혜빈 8515
고교 학점제는 학생들을 위한 교육의 첫걸음이 될 수 있을까? 1 file 2017.08.21 김유진 10905
고대영 KBS 사장 해임, 다시 국민의 품으로! 2 file 2018.02.19 김영현 10481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9260
고속버스 시내버스…. 심지어 통학 버스도 음주운전 기승 6 file 2016.03.26 최희수 16987
고양시 어린이, 청소년 공모사업 심의 현장 file 2015.03.02 서다예 24344
고용노동부 상담원 파업 "우리에게도 월급을 달라" 1 file 2017.07.26 김도연 13283
고용없는 경제가 될 것인가 1 file 2018.12.17 박정언 9343
고조되는 美中 갈등, 어디까지인가? 2020.09.16 김나희 8147
곧 국내에서도 시작되는 코로나 예방 접종… 각 백신의 특징은? file 2021.03.02 김민결 7547
골든글러브, 끊임없는 인기투표 논란 file 2018.01.08 김나림 13627
골머리 앓는 대학생 주택문제, 관련 복지 늘려야 file 2017.02.24 최성경 15677
골목 상권 보호를 위한 정책은? file 2017.10.20 김도연 11468
공공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영상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12.04 디지털이슈팀 19611
공공의대 설립, 정부와 의사 간의 팽팽한 논쟁, 그 승자는? file 2020.09.21 김가은 13248
공급 차질로 빚어진 불확실한 접종 시기.. 재조정 들어갈까? file 2021.08.26 백정훈 10146
공급망 병목현상에 이어 전력난, 요소수 부족까지… 국내기업 “긴장” file 2021.11.10 윤초원 8969
공기업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청원, 하루 사이 20만 돌파 file 2020.06.29 박채니 9153
공동주택 거주민들을 떨게하는 무시무시한 그 이름 "층간소음" 10 file 2017.02.21 류서윤 16872
공병보증금 인상으로 소비자권리 되찾아 주겠다더니, 술값만 인상? 1 2017.03.28 정지원 14012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598
공연계 '미투 운동' 확산… 오는 25일 관객 집회 열린다 6 file 2018.02.23 신지선 107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