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대체 그 '9시'의 의미는 무엇인가

by 이민지 posted Oct 30, 2014 Views 23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대체 그 '9시'의 의미는 무엇인가


  9시 등교 이야기가 막 떠오르고 있던 시점이었다. 학생들은 학교를 늦게 가는 것에 마음을 빼앗겨 마냥 좋아하고 있었다. 몇 달 후부터 9시 등교를 할 수도 있다는 소식에 학교는 한참을 떠들썩했다. 처음에는 거의 모두가 '마냥' 좋아했다. '9시 등교'하면 우리는 '충분한 수면'을 연상시켰다. 그러나 청소년들의 이러한 기대는 기대였을 뿐이었다.

  9시 등교가 화두로 떠오르기 시작한 지 몇 일 뒤부터 찬반이 갈리기 시작했다. 9시 등교에 찬성하는 학생들은 '더 많이 잘 수 있잖아. 아침에 너무 피곤하단 말야.'라고 주장했다. 반면, 반대하는 학생들은 '아침에 늦게 일어나면 뭐해, 그만큼 늦게 잘텐데'라고 하며 9시 등교의 효용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필자도 개인적으로 9시 등교에 반대하는 입장으로서 적어도 교육청이 학생들의 의사를 물어보길 기다리고 있었다. 그런데 웬걸, 교육청은 학생의 의견을 물어보지 않았다. 그냥 시행했다. 필자의 학교에서는 9시 등교에 대해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 여부를 물어보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반대가 60% 이상이었다. 그리고 필자의 학교 역시 9시에 등교하고 있다. 그리하여 설문조사는 소위 말하는 '폼'이 되었다.

  대체 9시 등교는 갑자기 왜 등장하게 된 것인가. 한 학교에서 학생이 원하는 것을 조사했을 때 9시 등교가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9시 등교 이야기가 등장한 것이라 한다. 여기서 궁금증이 생길 수밖에 없다. 그 학교에서 9시 등교를 원하면 다른 모든 학교도 9시 등교를 원한단 말인가? 그 학교가 경기도의 모든 학교의 대표인가? 그것도 아닌데 왜 교육청은 학생의 의견은 제대로 듣지도 않는가? 반대가 60% 이상이라면 시행하지 말아야 하는?것 아닌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은 누가 해줄 수 있는가?

? 확실한 것은 9시 등교를 시행하는 데에 있어서 학생들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다른 학교의 사정은 몰라도, 적어도 우리 학교 학생들의 의견은 반영되지 않았다. 그리고 우리 학교 옆의 학교는 학생의 의견조차 물어보지 않았다. 이것만은 확실하다. 학생에 대한 정책을 시행하는 데에 있어서 학생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은 것이 과연 바람직한가는 생각해봐야 할 문제이다.

  이미 9시 등교를 하고 있는 이?상황에서 그것의 효용성을 따져보자. 9시 등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가? 부작용은 없는가? 아침에 잠을 조금 더 잘 수 있음은 긍정적인 측면이다. 덕분에 학생들의 수면권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면권이 정말로 보장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학생들은 "늦게 일어나는 만큼 늦게자니까 결국 시간은 똑같다",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나쁜 생활 습관을 가지게 된 것 같다," "하루 아침에 생활 패턴을 바꿔야 하니까 피곤하다"고 말한다. 심지어 아침에 하는 학원도 생겼다고 한다. 학생들은 과연 이전보다 많이 자고 있을까?

  한 가지 더. 9시 등교는 정말 '9시'등교인가? 몇몇 학급에서는 8시 50분 또는 55분까지 학교에 올 것을 요구한다. 이건 9시 등교가 아니라 8시 50분 등교이고, 8시 55분 등교이다. 적어도 이전에는 같은 학교라면 대부분의 학급이 같은 시간에 등교했는데 지금은 몇몇 학급은 일찍 등교해야 한다. 형평성에도 어긋나고 이건 9시 등교가 아니지 않은가.

  9시 등교 시행에 대해 학생들의 의견을 물어보고, 그것을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학생들과 밀접하게 관련된 정책이기 때문이다. 취지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무작정 시행하기에 반대하는 학생이 너무나 많다.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 그리고 교사도 반대하는 의견이 꽤 있다. 이들의 의견을 물어본 후 시행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시행을 한다고 해도 부작용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 역시 필요하다. 학교가 너무 늦게 끝나 개인 시간이 줄어드는 것을 막기 위해 아침자습시간을 줄이거나 없앤다거나, 점심시간을 줄인다거나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질문을 던져본다.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그리고 대체 왜 9시 등교를 해야만 하나?


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이민지

hyhsajs@gmail.com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이재준 2014.12.20 11:24
    등교시간은 9시로 통일되었지만 하교시간은 학교장의 권한에 달려있다고 하는데요
    제가 다니는 학교에 경우는 등교시간만 늦춰줬을뿐 아침자습시간이 사라지고 하교시간에는 변화가 없었습니다
    더 많은 자료 조사후에 기사작성 부탁드립니다
  • ?
    쉿! 2015.02.23 02:00
    학교 별 학습분량 및 학습시간 등으로 부득이하게 하교시간이 늦어지는 학교가 많아서 저런 기사를 쓴게 아닐까 생각됩니다만?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245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910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2652
나비가 되신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 8 file 2017.07.23 송다원 11144
문재인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그 안에 담겨 있는 새 정부의 메세지 file 2017.09.05 이지훈 11142
유가족의 간절한 기도, 떠오르는 세월호 1 file 2017.03.25 김수희 11142
스페인을 덮친 테러 6 file 2017.08.23 박형근 11134
'재팬 패싱'은 현실화될 것인가 1 file 2018.06.12 이후제 11133
아동·청소년의 목소리를 듣다, 아동·청소년 정책박람회 'Be 정상회담' 2017.10.30 류영인 11125
작지만 큰 그녀들의 외침 4 file 2018.07.26 김하은 11124
세상에 진실을 알리는 우리의 목소리: 1365차 수요시위 2018.12.26 하예원 11123
사우디아라비아의 많은 변화, 여성들 새 삶 출발하나? 3 file 2018.10.12 이민아 11116
광화문에 나온 청소년들, 그들은 누구인가? 2 2017.03.26 민병찬 11116
이게 선진국 일본의 코로나19 대처방식이라고? 2 file 2020.04.21 이예빈 11115
백악관에 닥친 권력 전쟁, 백악관 내전 1 file 2017.08.11 박우빈 11111
문재인 대통령의 일정 공개, 국민을 위한 것? file 2017.10.26 이지현 11105
보이지 않는 칼날 2 file 2018.03.26 김다연 11100
줄지않는 아동학대...강력한 처벌 필요 file 2018.11.23 김예원 11097
신고리 원전, 팽팽한 숙의민주주의·· 갈등의 끝은 존재하는가? 2017.10.23 조영지 11097
블라인드 채용 득인가 실인가 2017.09.25 황수민 11090
사드 보복, 경제적 손해량은 어느정도일까 file 2017.03.19 이수현 11090
조두순의 출소와 그의 형량과 해외 아동 성범죄 사례들 비교 1 2021.03.02 김경현 11080
GM 군산공장 폐쇄, 그 속내는? file 2018.03.02 백다연 11079
인터넷 실명제, 누구의 손을 들어야 하는가 file 2018.09.27 유지원 11077
Marketing Taste Test - 블라인드 시음 1 file 2018.06.11 조찬미 11073
마크롱 정부에 반발한 '노란 조끼 운동' 시위 file 2018.12.10 정혜연 11072
외래종(外來種)의 세계화,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2.26 조원준 11071
노트르담 대성당의 붕괴 file 2019.05.14 양재성 11070
설날 물가 상승, 여러분의 지갑은 안녕하셨습니까? 1 2017.03.13 임촌 11070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러시아 변호사와 만나다 1 file 2017.07.25 류혜원 11068
같이 사는 세상, 층간 소음 file 2017.10.30 황현지 11065
대형마트의 강제 휴무 제도 5년...현재는? 2017.09.27 허재호 11060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1 file 2017.08.25 이어진 11056
한중관계, 깊어지는 감정의 골 1 2017.05.21 유승균 11056
'구지가'로 불거진 논란, 교권침해인가 성희롱인가 file 2018.07.24 최가영 11051
독도는 일본땅? 어이상실한 日 학습지도요령 해설서 논란 6 2017.06.30 김성미 11051
노동계의 사각지대. 비정규직 그들의 외침.... 7 file 2017.09.14 서호연 11047
"잊지 않겠습니다" 지난달 16일 안산서 세월호참사 5주기 기억식 열려 file 2019.05.23 황수빈 11044
살충제 계란의 해결은 동물복지농장과 정부의 철저한 관리 1 file 2017.09.01 최나연 11024
부르키나파소의 총리와 내각, 사임하다 1 file 2019.02.13 이솔 11021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의 행보 1 file 2017.03.24 윤희수 11020
끈임 없이 존재하는 지역별, 세대별 투표 경향성에 대하여 file 2017.05.20 안준혁 11018
원전 찬반집회가 울산에서 열리다 2017.10.10 박채리 11012
북한인권법은 미국의 정치적 카드? 2 file 2017.05.23 김윤혁 11012
또다시 다가온 2018 대학수학능력시험 file 2017.11.22 김서영 11006
벼랑 끝에 선 한의학, 해결 과제는? file 2019.08.19 최양현 11003
코로나19, 그에 따른 환경오염? file 2020.04.06 김호연 11000
용가리 과자먹고...위에 구멍 생겨... 4 2017.08.17 고은경 10998
중국인 관광객, 있다 없으니까 4 file 2017.03.24 이동욱 10998
개인의 문제가 아닌 모두의 문제 2 file 2018.02.21 신화정 10997
20%대로 추락한 아베 지지율, 장기 집권에 "빨간불 " 2 file 2017.08.09 이진하 109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