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RESPECTIVE MOVE; 비선수 출신의 지도자를 향한 노력

by 12기이지훈기자 posted Feb 03, 2020 Views 130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비선수 출신 지도자2.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2기 이지훈기자]

 

대한민국에는 많은 축구 지도자들이 있다. 대부분의 지도자들은 유소년 엘리트 축구 과정부터 성인 프로팀 등의 선수 경험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 비선수 출신들이 지도자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비선수 출신의 지도자들도 존재한다.

 

현재 대한민국에 지도자 자격증은 KFA D>AFC C>AFC B>AFC A>AFC P로 이루어져 있다. 각 자격에 따라 지도대상이 다르고 실기와 이론 등 공부하는 것도 다르다. 비선수 출신들은 KFA D부터 시작하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비선수 출신이라고 하더라도 축구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야 하고 잘할 수 있어야 한다. , “축구를 잘해야 한다.”라는 조건은 필수이다.

 

당연히 지도자는 축구를 잘 이해하는 것만이 아니라 직접 시범을 보이고 훈련에 함께 참여하여 정확한 교육을 위해 지도를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기에 축구를 하는 능력은 필수조건이다. 현재 지도자를 준비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경험을 하고 새로운 시도를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비선수 출신이지만 지도자를 준비하는 이지훈 학생은 인터뷰에서 비선수 출신 지도자라고 하더라도 축구를 잘해야 한다. 축구에 대한 이해도 역시 중요하고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선수 출신의 지도자를 준비하는 사람들은 분명히 선수 시절의 훈련과 경기 경험이 있기에 많은 경험을 했고 그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그래서 비선수 출신 선수들은 남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무언가가 필요하다. 그리고 지금부터 그 시스템에 들어가 경험을 하고 다양한 시도를 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나도 역시 고등학교까지 일반 학생으로 선수 경험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고등학생 시절부터 축구 지도자, 축구 분석관, 스포츠 캐스터라는 꿈을 가지게 되면서 항상 축구를 보고 분석하며 정말 얕지만 작은 노력을 해왔다. 하지만 이제는 더 다양한 경험과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K리그 디비전 리그에서 뛰면서 경험을 쌓고, 지도자를 준비하면서 해외에 나가서 스포츠 유학을 해보고 싶다. 축구 분석 레슨이나 여러 세미나 등을 기회가 있다면 들으러 가고 경험할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나는 여전히 꿈을 꾸고 있고 여전히 고민하고 있다. 나는 행복하다. 내가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다는 것이 감사하다. 사람들이 힘들다고 얘기한다. 분명히 힘들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비선수 출신이 지도자가 되기 위해 많은 노력하는 사람들이 많다. 앞으로 비선수 출신의 지도자가 한국 축구에서 또 다른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고 예상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2기 이지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097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814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1757
아름다운 예술의 나라, 프랑스 탐방기 file 2019.03.13 10기송은지기자 19372
기존의 수학은 잊어라! KYMA 대한청소년수학회 학술대회 개최 12 file 2017.02.09 최기영 19380
벚꽃에, 노래에 취하게, '진해군항제' 2018.04.11 김진영 19394
한국의 빵빵한 지하철 와이파이 과연 일본은? file 2018.04.03 김진영 19399
작지만 큰 나라, 대만 3 file 2016.03.21 조혜온 19401
1년 365일 자원봉사하기 좋은 날 2 file 2019.03.29 김수현 19402
편견 없는 시선으로 '방탄소년단'을 논하다 2 2018.08.21 김예나 19411
'프로듀스101'이 불편한 두 가지 이유 10 file 2016.03.27 조수민 19414
'밀어서 잠금해제' 아닌 초음파로 바로 하자 file 2019.03.27 나어현 19414
봄의 향기를 담은 매화마을-‘매곡동’ 6 file 2016.02.23 유성훈 19417
응답하라, 전통시장! file 2016.04.16 김나림 19425
눈부신 발전, 그 뒤편의 아픔을 추억하다…일본 고베 항 지진 피해 메모리얼 파크 1 file 2017.03.02 조지원 19426
[클래식 음악 소개] 쇼팽 3 file 2017.09.18 김기현 19427
올림픽의 진정한 의미 file 2016.08.21 박채운 19429
꿈의 나노소재, 그래핀 1 file 2018.08.20 박효민 19438
올해 개봉예정인 영화 '군함도', 日 발끈했다? 13 file 2017.02.09 윤은빈 19441
세계 섬유패션산업의 최신 트렌드 한 자리에… '대구국제섬유박람회' 4 file 2016.03.11 이세빈 19446
어서와, 펜팔은 처음이지? file 2016.05.24 김은진 19451
아시아 문화의 메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7 file 2016.03.01 이봉근 19462
강남역 한복판에 떠오른 'GT 타워 아이스링크' 1 file 2017.02.28 송초롱 19464
[ 삼일절 ] 그날의 함성을 재현하다 5 file 2016.03.02 황지연 19473
소프트웨어의 시대가 열리다! 아두이노와 앱인벤터를 이용하는 사람들 file 2017.08.09 박서영 19477
미래 과학기술을 이끌 연구의 장, 제64회 전국과학전람회 file 2018.09.05 신온유 19477
일하는 청년통장, 한 달에 10만 원을 모아 3년 안에 1000만 원으로! 1 file 2017.11.28 오경서 19479
봄의 시작을 알리는 '2019 진해군항제' 3 file 2019.04.09 백휘민 19479
알프스의 꽃, 만년설이 녹아내리다 5 file 2017.09.14 김정환 19482
몇 년은 기다려야 한다면서 계속 뜨는 슈퍼문.. 그 이유는? file 2019.03.18 백광렬 19485
사람과 환경이 공존하는 착한 건축 26 file 2016.02.17 장서윤 19490
정보화시대, 암호의 중요성 file 2017.06.06 정다소 19493
조선의 그린벨트, 성저십리 2 file 2017.03.01 최지민 19495
차근차근 알아보는 2017년의 IT 트렌드 file 2017.09.13 한동엽 19499
수학사 최대의 난제, ‘리만 가설’ 1 file 2017.07.15 정승훈 19502
생각이 떠다니는 곳, 카페 ‘생각구름’ 대표 최정진 시인을 만나다 file 2016.06.24 유성훈 19504
호국보훈의 달, 진해 근대사 거리를 걷다 1 file 2018.06.08 이승원 19509
[베스트셀러 추천 도서] 국내 베스트셀러 1위, ‘돌이킬 수 없는 약속’ 2 file 2018.10.26 정하현 19509
2016년 제주 수학축전 2 file 2016.10.07 이서연 19519
'2018 창의융합형 인문학기행' 역사교류단, 성장 캠프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 file 2018.08.30 김혜신 19522
청춘들을 위한 힐링이벤트 '달밤소풍_휘게라이프' 2017.09.01 손채은 19527
전국이 다 암전! 저녁 9시가 되면 다 불을 끄세요 file 2019.09.26 윤다인 19528
세계평화의 숲, 식목일 기념 '시민 나무심기'행사 개최 file 2017.04.21 정지용 19532
스트레스에 관한 간단한 고찰 file 2017.04.29 이영혁 19532
청소년 댄스 밴드 경연대회 PUNK&DREAM! 1 2017.06.14 조성민 19542
어린이 화장품 출시, 과연 옳은 일인가? 16 file 2017.01.23 안수현 19543
나무 뿌리의 습격 1 file 2017.02.28 최지민 19545
자율주행 자동차의 현실 file 2018.08.20 이형우 19557
여성혐오적 의미가 담긴 유행어는 성희롱입니다. 3 file 2018.03.01 홍예림 19559
마음의 온도, 언어의 온도 2 2019.07.26 신수민 19568
정의란 무엇인가? 꿈에 다가가기 위한 캠프, 대검찰청 주관 이준 저스티스 캠프가 개최되다! file 2017.08.27 김은민 195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