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SNS는 사람이다

by 13기전혜은기자 posted Nov 29, 2019 Views 1470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통계청에서 2018년 사망원인 통계를 발표한 자료에는 우리나라 자살률이 OECD 국가 중 1위이며 2017년 대비 자살률이 9.7% 증가하였다. 특히 10~30대의 경우에는 사망원인 부동의 1위가 “자살”이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폭력, 학업 부담, 성적 등의 문제로 청소년의 33.3%가 자살을 생각해 보았으며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이 남학생보다 여학생 자살률이 높다.


19.11.25 이미지 제작.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3기 전혜은기자]


최근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안겨준 고() 설리(본명:최진리)의 사망 사건이 있었다. 청소년 시기에는 영향력이 있는 연예인들의 자살이 베르테르 효과(유명인 또는 평소 존경하거나 선망하던 인물이 자살할 경우, 그 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해서 자살을 시도하는 현상)로 번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자살률이 2013년 이후 5년 만에 다시 오른 것도 베르테르 효과에 따른 것으로 통계청과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만들어진 가상의 공간에서 얼굴을 마주하지 않고 실체가 드러나지 않는다는 안정감이 잘못된 정의감으로 악플의 대중화를 가지고 온 사건이다. 지금은 우리가 모두 역지사지하는 마음으로 자신의 민낯을 보아야 한다.


언론은 특종을 위해 자극적인 제목으로 자살에 대한 무분별한 기사를 자제하고루머의 루머의 루머가 확산되지 않게 신뢰가 바탕이 된 기사를 제공하는 의무를 다하여야 한다. 현재 방송통신위원회와 시민단체 등은 사이버 언어폭력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국내에 적합한 해결방안을 찾아 안전한 인터넷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악성 댓글은 폭력임을 인지하고 인터넷상에서 상대방을 존중하며 윤리적으로 바르고 안전한 인터넷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악플을 쓰지 않는 노력을 하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3기 전혜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24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62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862
'대륙의 실수', 중국 직구족의 번성 1 file 2016.04.19 김도현 18843
이세돌, 4국 백 불계로 대승... ... 하지만 대두되는 AI 윤리 관련문제 11 file 2016.03.13 박정호 18846
인터넷 신문의 과도한 광고 22 file 2016.02.24 문채하 18856
백만 촛불의 간절한 외침 1 file 2016.11.24 박민서 18880
우리가 기억해야 할 그 날의 용기 4 file 2017.09.01 이다빈 18882
경제학이多 - 경제학의 흐름 2 file 2018.11.23 김민우 18889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18894
동물 학대와 동물 유기, 해결책이 필요할 때 1 file 2019.03.08 강서희 18896
2016년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위촉식 및 오리엔테이션 1 file 2016.03.24 김지민 18901
100만의 촛불, 대한민국을 밝히다 1 file 2016.11.25 윤지영 18910
젠트리피케이션, 주거지에서 상업지로... 도시 활성화 vs 주민들의 피해 2 file 2018.05.14 김민경 18912
‘고령화 사회’ 중심의 서있는 대한민국, 진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4 file 2017.02.21 황현지 18924
김영란법을 낳은 '벤츠 여검사 사건' 다시보기 1 file 2016.05.23 김도윤 18934
"법을 악용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들끓는 소년법 폐지 요구 3 file 2017.09.12 박선형 18935
돈에 있는 바이러스를 씻어내기 위해서는 세탁기에 돈을 돌려야 한다? 3 file 2020.08.24 이채원 18968
[사설] '돌아보는 대한민국 4년'_'작성자가 자리를 비웠습니다' 7 file 2017.01.23 이주형 18969
안전을 위한 스크린도어가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12 file 2016.02.22 장은지 18984
부산 위안부 소녀상, 홀로 앉아있는 소녀를 지키는 다른 소녀가 있다. 7 file 2017.01.22 최문봉 18999
내가 다니는 학교에 확진자가 나온다면? 6 file 2020.12.24 김진현 19022
일본 수출 규제와 한국의 불매운동 5 2019.07.19 양지훈 19027
승리의 촛불, 광장을 메우다 20차 촛불집회 4 file 2017.03.23 박소윤 19061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9086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094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12 file 2017.01.25 이주형 19123
하나된 한반도, 눈부신 경제성장 6 file 2018.05.23 박예림 19129
윤기원 선수의 의문의 죽음, 자살인가 타살인가 10 file 2016.02.21 한세빈 19154
특검의 히든카드 '국회청문회위증죄', 이젠 진실을 밝힐 때가 왔다 19 file 2017.01.15 김다인 19160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9161
필리버스터와 테러방지법, 그것이 알고싶다. 3 file 2016.03.24 김도윤 19164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9175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179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180
인천공항 노숙자들은 와이셔츠를 입고 다닌다? file 2019.07.31 김도현 19193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9195
박근혜 대통령 '세월호7시간' 동안의 행적 25 file 2017.01.11 주건 19210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9212
교과교실제, 누구를 위한 교과교실인가 4 file 2016.05.25 김관영 19212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213
저희는 대한민국 학생, 아니 대한민국 시민입니다. 8 file 2017.01.24 안옥주 19223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9257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9265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9273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290
실생활의 많은 부분 기여한 21세기의 기술, '나노기술' 1 2019.02.07 송지윤 19297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325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333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9340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3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