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세금은 왜 내야 하는 걸까?

by 11기송수진기자 posted Jul 11, 2019 Views 1557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90709_23514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송수진기자] 

사람이 태어나 성장하여 스스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나이가 되면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자신의 소득 일부를 나라에 세금으로 납부해야 할 의무가 있다. 세금은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대한민국 국민들이 모두 내는 만큼 공평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세금 부과율을 정해두었다. 소득에 따라 세금을 납부해야 할 액수도 달라지고 많은 소득을 낼수록 더 많은 세금을 납부해야 된다. 즉 세금 납부 금액은 자신이 벌어들인 소득에 비례한다.

세금은 직접세와 간접세 두 종류로 나뉜다. 직접세는 개인이나 기업이 벌어들인 소득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 직접세이다. 일을 해서 벌어들인 수익을 일정한 금액만큼 납부하는 근로 소득,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집, 땅, 건물로 얻을 수 있는 가치의 일부를 납부하는 자산소득, 자신이 사업자를 내어 자신의 기업체가 성과를 내 벌어들인 수익을 일정한 금액만큼 납부하는 사업소득, 다른 사람의 재산을 상속받게 되어 얻게 된 이익의 일부를 납부하는 증여소득 등이 직접세 납부의 종류이다. 소득액이 많을수록 세금 부과율이 높아지는 것을 누진세율이라 하며, 대한민국은 8단계의 형태로 소득에 따라 세금 부과율을 정하고 있다.

간접세는 대표적으로 부가가치세가 있다. 본인이 직접 내지 않고 물건을 구매할 때 물건의 가격에 포함되어 있는 금액으로  물건을 판 판매자가 세금을 대신 나라에 납부하는 세금이다. 부가가치세는 물건의 가격과 별도로 포함되어 있으며 약 물건의 가격의 10% 정도로 책정이 되어 있어 모든 물건을 구매할 때마다 부가가치세를 내는 것이다. 

대부분의 가정에선 버는 소득도 여유롭지 않아 생계를 해결하기도 빠듯한데 이렇게 세금을 많이 납부하는 것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납부한 세금으로 인해 우리는 많은 혜택을 받고 있다. 세금으로 나라는 우리가 필요한 많은 복지 서비스를 지원해주며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기도 한다. 또 모든 공공시설은 나라에서 우리가 납부한 세금으로 건설한 것이기 때문에  세금으로 인해 많은 복지 서비스도 누리며 공공시설 이용도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복지 서비스라고 하니 감이 잘 안 올 수도 있지만, 국가에서 일부 병원비를 부담하여 환자의 부담을 낮춰주는 의료 보험 제도,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교육비를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무상교육 제도 등 우리의 부담을 줄여주는 많은 혜택들을 나라에서 제공해주는 것이다. 우리가 세금을 납부하지 않았다면 이 모든 것이 불가능했을 것이다.

즉, 우리가 나라에 납부한 세금보다 우리가 돌려받는 혜택이 더 큰 것이다. 세금을 단순히 징수로만 생각하기보다는 한 나라의 국민으로서 나와 우리 모두의 편리한 생활을 위해 세금을 또 하나의 혜택으로 생각하고 세금을 납부하는 것에 뿌듯함을 가지는 것은 어떨까. 또 아직 경제활동을 하지 않아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낸 세금으로 복지 혜택을 받고 있는 청소년으로서 열심히 일하여 세금을 납부하여 나라를 부강하게 만들어주는 경제활동 인구에게 오늘도 감사함을 느끼고, 어른이 되어 우리나라를 위해 세금을 성실히 납부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11기 송수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TAG •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713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438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8302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554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761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126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281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108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967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296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863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023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826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744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117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146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463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340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437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224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364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735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054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752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010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287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273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365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151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278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470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922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257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298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869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509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579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109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212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404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611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343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588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106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790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545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529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301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411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633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9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