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업사이클링?, 업사이클링 인지 정도에 대해...

by 11기김가희기자 posted Jun 17, 2019 Views 208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요즘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물론이고, 바다에 버린 쓰레기 때문에 죽은 고래의 사체에서 비닐 무더기가 나오기도 하고 거북이의 콧구멍에 빨대가 꽂힌 사진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이런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쓰레기 배출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미 쓰레기가 발생하였다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바로 '업사이클링'이다. 업사이클링이란 'upgrade'와 'recycle'의 합성어로 버려진 자원이나 쓸모없는 제품을 더 좋은 품질의 제품으로 만드는 것이다. 최근 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과 자신의 개성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업사이클링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스위스 회사 '프라이탁'이 만드는 가방으로 이 가방은 버려진 트럭 방수 천을 이용해 만들었다.


 그렇다면 업사이클링에 대해 학생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까? 이를 알기 위해 2018년 11월 5일 월요일부터 11월 9일 금요일까지 2018년 기준 S고 1, 2학년 재학생 92명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1학년은 54명, 2학년은 38명이 조사에 응해주었다.


그래프1.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김가희기자]


 업사이클링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냐는 질문에 들어봤다는 대답이 31%, 들어보지 않았다는 대답이 68%로 들어봤다는 대답이 반을 넘지 못하였다.


그래프2.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김가희기자]


 업사이클링 제품을 구매한 적이 있냐는 질문에 있다는 대답이 7%, 없다는 대답이 35%, 업사이클링 제품을 본 적이 없다는 대답이 56%로 반이 넘었다. 업사이클링의 제품을 구매한 사람의 구매 이유는 "환경을 위한다는 취지가 좋아서"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그 외에 "제품의 디자인이 예뻐서"는 2%, "필요한 물건이라", "아이디어가 신선해서"는 각각 1%가 응답하였다. 업사이클링 제품을 구매하지 않은 이유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업사이클링이 무엇인지 잘 몰라서"이다. 그 외에 "별로 필요하지 않은 물건이라"가 5%, "제품의 디자인이 별로여서", "가격이 비싸서"에 각각 2%가 응답하였다.


그래프3.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김가희기자]


 "업사이클링에 대한 홍보가 잘 이루어지고 있냐"는 질문에 부정적인 응답이 총 83%나 된다. 그 외에 긍정적인 응답은 2%, "보통이다"의 응답자는 1%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청소년 주위에서 업사이클링에 대해 접할 기회가 많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업사이클링과 관련된 행사나 교육이 더욱 활성화되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1기 김가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28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091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4619
선거 연령 하향의 효과와 우려 7 file 2017.05.31 김지민 26943
사드 아직 끝나지 않은 3 file 2017.05.30 김도연 12116
새 정부의 5.18 4 file 2017.05.30 이주현 10673
아리아나 그란데, 맨체스터 아레나 공연 중 테러 7 file 2017.05.30 서주현 12534
미세먼지, 이렇게 계속 안심하고 있어도 되는가? 2 file 2017.05.30 김보경 10219
조금은 특별했던 장미대선, 투표율은 어땠을까? 2 file 2017.05.29 정경은 11517
5대 비리 고위공직 원천 배제 공약 위배 논란, 그것이 알고 싶다. file 2017.05.29 4기박소연기자 12073
강경화, 문대통령의 5대 인사원칙 무시하고 외교부장관 되나 file 2017.05.28 천세연 12075
문재인 시대, 새로운 외교부 장관 후보 강경화 3 2017.05.28 김유진 14060
괘씸한 일본…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 file 2017.05.28 남희지 14145
당연하게 된 사교육, 원인은? 3 file 2017.05.27 김혜원 14504
문재인 대통령의 주황색 넥타이··· 독도가 우리나라 땅인 이유는? 3 file 2017.05.27 이다호 10953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2 file 2017.05.26 유수연 12186
2017 대선의 숨은 모습을 찾다 file 2017.05.26 구성모 10674
같은 하늘, 같은 시간, 다른 곳에서 2 2017.05.25 류지현 13017
문재인 대통령, 국민의 바람 이뤄줄까 file 2017.05.25 서은주 12458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5431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주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file 2017.05.25 임재우 12946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한 줄기 빛이 되어줄 그대 2 file 2017.05.25 김재원 10519
J노믹스의 경제인은? file 2017.05.25 김찬 10429
외감법 개정, 때로는 엄격하게 때로는 자유롭게 file 2017.05.25 홍은서 10448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 '달빛 정책' file 2017.05.25 최서진 11324
헛되지 않은 우리의 선택, 문재인 대통령 4 2017.05.25 성유진 12353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10294
선거연령 하향, 이제는 시작될 때 3 file 2017.05.24 김혜빈 12654
‘만 18세 선거권’, 그 양날의 검 2 2017.05.24 김윤혁 12924
청천 프로젝트: 한중 공동의 미세먼지 해결법 2 file 2017.05.24 임형수 12291
1270차 수요집회-1270번째 대답없는 메아리 2 2017.05.24 이하은 10582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발포명령자들 file 2017.05.24 박민서 9824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에게 바란다 1 file 2017.05.24 김소희 10536
제25대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그가 내세운 공약은? 1 file 2017.05.24 최현정 11507
'소프트 타깃' 테러 언제까지 이어질까 file 2017.05.23 유규리 11211
트럼프 역대 최저 지지율, 등돌리는 여당 지지자들 1 file 2017.05.23 장진향 10149
문재인 정부 15일, 야 4당의 자세는? file 2017.05.23 박찬웅 10251
문재인의 대한민국 file 2017.05.23 최우혁 10489
북한인권법은 미국의 정치적 카드? 2 file 2017.05.23 김윤혁 11040
제임스 코미의 해고 사건, 트럼프에게 위협적인 존재? file 2017.05.23 류혜원 10503
SBS, 또 터진 일베논란 3 file 2017.05.22 추연종 15869
한중관계, 깊어지는 감정의 골 1 2017.05.21 유승균 11092
문재인 대통령이 지켜야 할 경제 공약들 file 2017.05.21 박민우 9334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모두가 행복할 변화인가? file 2017.05.21 한윤정 10985
10대 청소년, “우리를 위한 정책은 어떻게 만드나요?” 2 file 2017.05.21 홍세영 9877
19대 대선의 여담 2 file 2017.05.21 강민 10554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미래 file 2017.05.20 이동준 10471
끈임 없이 존재하는 지역별, 세대별 투표 경향성에 대하여 file 2017.05.20 안준혁 11040
청소년에게 듣는 '19대 대선과 대한민국' 1 file 2017.05.20 박상민 10770
국정 교과서 논란, 무엇이 옳은가 file 2017.05.20 박하영 10342
5·18 퍼지고 있는 거짓들 7 2017.05.19 김형주 104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