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환경을 파괴하는 아보카도?

by 11기김예진기자 posted Jun 10, 2019 Views 1447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55804576953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김예진기자]


요즘 SNS의 스타를  고르자면 그중 하나는 아보카도일 것이다. 아보카도는 SNS상에서 건강한 다이어트 식품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숲속의 버터라 불리는 아보카도는 높은 지방분과 풍부한 비타민, 미네랄을 함유한 멕시코 원산의 열대과일로 현재 각광받는 과일이다. 우리나라에서 아보카도의 수입량은 7년 사이 약 17배가 증가했으며 매년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아보카도의 이면에는 환경파괴범이라는 수식이 붙여진다. 아보카도의 생산과정에서 과도한 물 소비가 그 주범이다. 영국 가디언지 보도에 의하면 아보카도 2~3알을 얻는데  272ℓ의 물이 쓰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아보카도 한 알을 키우는데 성인이 6개월 동안 마실 수 있는 물이 필요한 셈이다. 이에 따라 아보카도 농사가 미국 캘리포니아의 심각한 가뭄 원인 중 하나로도 지목되고 있다. 또한 각국의 아보카도 수입량이 늘어나면서 더 많은 생산을 위해 멕시코 내에 산림이 파괴되고 불법 개간까지 벌어지고 있다. 이에 농지로 변한 숲들은 화학비료와 살충제로 인해 환경이 파괴되고 있다.


  아보카도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양도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아보카도 1개는 420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농림수산식품 수출입 동향 및 통계 2017에 따르면 아보카도의 100g당 이산화 탄소 배출량은 10.37g으로 대두, 닭고기, 포도, 돼지고기, 옥수수, 사과를 뒤이어 7위를 차지했다. 비슷한 질량의  과일, 바나나보다 5배나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이다아보카도의 환경오염이 세상에 알려지자 영국, 아일랜드에서는 아보카도 퇴출 운동도 일어나고 있다. 평소 아보카도를 즐겨 먹는 한 시민은 "아보카도가 다른 과일들과 비교했을 때 이렇게 많은 물을 사용하고  있는지는 몰랐다면서 이 계기를 통해 아보카도의 또 다른 면에 대해 알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숲속의 버터, 초록의 금이라 불리는 아보카도의 뒤에 숨겨진 이면도 우리는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1기 김예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89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277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6778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3233
청소년들이여 흡연의 불씨를 꺼라 2014.07.26 양나나 22782
미디어의 중심에 선 청소년, 위태로운 언어문화 2014.07.27 김지수 20923
위험에 빠진 청소년, 흡연으로부터 멀어질 방법은? 2014.07.27 김대연 23547
언어는 칼보다 강하다 2014.07.27 박사랑 20384
청소년 언어문화,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7 장은영 30582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9215
[오피니언] 모든 병의 근원! 흡연!!! 2014.07.27 전민호 20736
청소년 언어문제 , 욕설문제 해결이 우선 file 2014.07.27 이동우 53777
청소년의 흡연과 실질적인 방안 2014.07.28 김서정 22463
내가한흡연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2014.07.29 박지원 23211
계속해서 늘어나는 청소년 흡연 문제 2014.07.30 이수연 21438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20330
청소년들의 흡연 2014.07.30 변다은 21905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해, 오늘 하루 만큼은 금연하세요 2014.07.31 장정윤 22808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2280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 맞아 죽는다 2014.07.31 1677 33531
청소년 흡연, 치명적인 독 file 2014.07.31 이가영 34262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21682
언어파괴로 얼룩진 청소년들의 언어문화 2014.07.31 박민경 23191
대안 문화에서 미숙한 문화로 2014.07.31 조민지 27529
보이지 않는 살상무기 말 2014.07.31 최정주 24237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2192
청소년들의 금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4.07.31 이종현 20874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2014.08.01 송은지 22728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688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901
[인터뷰] 경기도 9시 등교에 대한 학생들의 다른 의견 file 2014.09.06 천종윤 21995
밑 빠진 독에 9시 등교 붓기 file 2014.09.06 박정언 27704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996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451
9시 등교,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2014.09.09 김도희 20987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424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653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283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942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435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096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270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193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4.09.15 이지현 22551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의 생각은? 1 2014.09.15 박성아 21754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0946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346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861
이상화 현실의 모순 9시등교, 최대 수혜자는 학생 2014.09.20 신정은 22685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721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8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