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독립지사의 고통이 담긴 곳, 서대문형무소

by 11기이윤서기자 posted Jun 03, 2019 Views 1617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부천여자고등학교에서 지난 515일 창의 체험의 날을 맞이하여, 부천여자고등학교의 신문 동아리인 '해담휘루'는 서울 서대문구 통일로 251에 위치한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견학하였다. 2019년을 맞이하여 3·1 운동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 많은 학교와 단체가 모여들었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이 있는 서대문독립공원에서 가장 눈에 띄는 독립문 앞을 지나다 보면 눈에 띄는 붉은 색 벽돌의 외관이 보이고, 형무소 내부가 보이지 않는 높은 장벽을 통해 독립지사의 고통을 생생히 전한다.


 기자단 이미지.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이윤서기자]


서대문형무소는 1908'경성감옥'이라는 이름으로 개소되어, 과거 일제강점기 당시의 독립투사와 해방 이후 군사 독재 시절의 민주화 운동가를 수감하였던 과거 악명 높았던 감옥이자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살아있는 현장이다. 1910년 강제병합 이후 독립운동가들이 늘어나면서 수감 인원도 증가하여서 대문에 있었던 경성감옥을 서대문감옥으로 변경하였다.

 

서대문형무소의 전시관은 형무소역사실, 민족저항실, 지하고문실 총 3개의 전시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중 지하고문실은 밀랍인형으로 고문을 받는 독립운동가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여성 독립지사를 고문 장면을 재현한 데에는 음성 센서로 더욱 공포감을 전한다.

 

중앙사는 3방향으로 부챗살을 펼친 모양을 띠며 모이는 부분이 간수 감시대가 있고, 이러한 구조를 파놉티콘이라 한다. 독방 체험과 급한 일이 생겼을 때 일본 간수에게 알리는 패통, 방마다 전시되어있는 독립투사의 사진 등 다양한 관람을 할 수 있다. 견학을 온 많은 학생은 직접 감옥에 들어가 보고 만져보면서 서대문 형무소 내부의 숨 막히는 공간에서 독립 지사분들이 겪었을 고통을 느낄 수 있었다.

 

해담휘루 동아리의 학생들은 "2019년이라는 의미 있는 해에 이렇게 동아리와 함께 서대문형무소에 올 수 있어서 너무 기쁘다.", "세월이 흘러도 역사적 가치가 담긴 공간이 남아있기에 지금까지도 그 감정과 정신을 느낄 수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도 역사적 가치가 담긴 공간이 더 잘 보존되어야 하고, 많은 사람들이 방문해볼 수 있도록 정비하면 좋을 것 같다.", "실제 수감된 장소와 독립운동가들의 자취를 볼 수 있어 일제강점기 시절 우리 민족의 고통과 저항이 잘 드러난 장소가 서대문 형무소라 느낄 수 있었다."라는 소감을 밝혔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1기 이윤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851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563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7848
교보교육재단, 창의적 인재육성프로그램 체인지 프로그램 성공적 개최 1 file 2017.07.11 이태양 15938
2017. 222년 만의 정조대왕의 효심의 길, 능 행차 재현 현장을 가다. file 2017.10.12 이지은 15939
2018 담양 대나무 축제 file 2018.05.25 이지은 15941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전격 폐지... file 2021.02.22 이지연 15942
'서울환경영화제' 성공리에 막을 내리다 1 file 2016.05.28 임선경 15943
더불어 사는 세상 만들기, 기술로 만나다 ; 그 첫 번째 이야기 2017.03.30 이지희 15946
새로운 콘텐츠,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알아보다! 1부 file 2017.05.27 윤혁종 15953
'2017경기로컬푸드데이'를 아시나요? file 2017.10.02 박지은 15953
청소년들이 만들어낸 '노란 나비'의 나비효과 1 file 2018.02.26 신다인 15954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는 <빌리 엘리어트> 16년 만에 재개봉 8 file 2017.01.21 박예림 15955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5956
한국에서만 유일하게 사용하는 것? 3 file 2017.03.26 전인하 15963
블루투스 이어폰, 너의 생각은? 16 file 2017.08.18 김나연 15963
평화통일을 향한 한 발자국 1 file 2016.08.04 천예영 15964
`2018 화순 국화향연`이 펼쳐지다 file 2018.11.29 조햇살 15965
촛불집회의 숨은 공신, 자원봉사자 6 file 2017.02.21 유림 15966
코스프레, 이색적인 모두의 문화로 자리매김하다. file 2018.03.03 김진영 15966
중국 상하이에서 Sound of Spring 뮤직 페스티벌 개최 file 2018.05.15 전병규 15970
해외여행, 이젠 실시간 번역기 ili로 고민 끝! file 2017.07.24 박지현 15971
황금연휴, 고양국제꽃박람회와 함께 봄내음을 즐겨보자! 3 file 2017.05.20 한예진 15975
빛과 색채의 눈부신 조화 '르누아르의 여인' <서울시립미술관> 4 file 2017.04.10 임경은 15977
요즘 대세 지코, '지코관' 운영을 통해 대세 굳히기 성공 file 2017.09.01 정상아 15978
신태용 감독의 '신나라 코리아'… 현실 될 수 있을까? 1 2017.09.01 윤은서 15978
우리는 왜 샤오미에 열광하는가? file 2017.10.09 이성채 15978
3월 25일, 전등을 끄고 생명의 빛을 켜다. file 2017.03.25 김량원 15979
'나쁜 뉴스의 나라' file 2019.03.04 김수현 15979
군산에서 보는 채만식 file 2016.11.20 박성우 15981
서초구 서래마을, 프랑코포니 축제 개최 4 file 2017.04.09 강은서 15984
99년전, 동경 유학생들의 외침 1 2018.02.21 최운비 15989
Happy Walking, 금천 한가족 건강 걷기대회 2 file 2016.03.12 김혜린 15991
초록우산어린이재단, 경기도 내 아동·청소년 대상 '들썩들썩 3분' 건강체조 공모 file 2017.08.29 디지털이슈팀 15995
김도연 산문집-<강릉바다>, 강릉을 두 번 만나다 2 2019.02.28 채시원 15998
나라 사랑 캠페인, 그리고 애국 file 2016.05.23 이지웅 15999
양운고등학교 과학 동아리 LAB - 은거울 실험 file 2017.05.22 전제석 15999
세상을 따뜻하게 하고 싶다면, 착한기술! 4 2018.01.08 이유정 16001
나에게는 예쁜 애완동물, 남에게도 그럴까? file 2017.08.29 박유진 16004
2018년 KBO리그, 기아타이거즈는 올해도 우승할 수 있을까? file 2018.05.23 서민경 16004
독서의 도시 김해의 2016김해의 책 file 2016.07.18 최우석 16005
단국대학교 축제 용인의 밤을 불태우다! 1 file 2017.05.20 박승재 16005
나눔의 가장 큰 의미는 희망입니다. 6 file 2017.02.10 정가영 16007
대보름, 다가온 평창동계올림픽 세계불꽃 축제가 열리다. 2 file 2017.02.20 성다인 16009
2017년 평택시 청소년국제해양캠프, 새로운 모습으로 돌아오다 1 file 2017.07.20 화지원 16010
해운대의 여름 바다!!! file 2016.08.17 이서연 16013
최저임금 해결사. 일자리 안정자금 3 file 2018.03.20 윤찬우 16013
헌 물건이 새로운 주인을 만나는 고양시 나눔 장터 1 file 2017.09.28 김서현 16015
서울시 시민참여 예산 한마당 총회에 다녀오다! 총 예산 규모 593억 원 달해 2017.09.06 신유진 16016
여름철 식중독, 예방책은 3대 원칙 1 file 2017.08.27 황은성 16017
청주 KB 스타즈, 연고지 마케팅에 힘 기울여···· file 2018.02.01 허기범 160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