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아직도 갈 길이 먼 시리아 난민 문제

by 11기백지수기자 posted May 27, 2019 Views 1073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Resized_20190522_181841.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백지수기자]


2011년부터 내전이 시작하여, 시리아는 아직까지도 내전 상태이다. 1971년부터 독재정권이 있던 나라로 2010년 아랍에서 시작된 반독재 반정부 시위로 정권들이 무너지자 시리아 정부는 여러 반정부 시위대들과 내전을 벌였다. 이로 인해 내전이 발생하였고 40만 명이 넘는 시리아 국민들은 시리아 내전을 피해 시리아를 떠나고 있다. 이들 중 대부분은 인접 국가인 레바논, 이라크, 터키 등으로 입국을 한다. 또 이들 중 몇몇은 목숨을 걸고 유럽, 북아프리카 등으로 입국한다. 터키는 20만 명의 난민을 수용했고, 난민 지원비를 약 60억을 지원해 주었다. 터키와 레바논은 국경 근처에 피난처를 마련하기 시작하여, 15천 명 정도의 시리아 국민이 거주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난민들을 계속 수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유럽은 오래전부터 난민 문제에 시달리고 있었다. 치안이 안정되고 복지도 잘 되어 있는 탓에 많은 난민들이 들어오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런 난민 수용은 몇백 명이 아닌 수천 수백만 단위이다. 이러한 난민 수용은 한 국가에서 감당하기엔 너무 버겁고 막대한 문제이다. 여러 가지 문제들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장기간의 유럽 문제로 외국인 혐오 범죄와 경제 위기가 올 수 있다. 수용했을 때 국민들의 불안감도 작지만은 않다. 난민들을 수용함으로써 진짜 시리아 난민인지, 테러리스튼지 구분이 불가능하며 테러가 일어난다면 나라에 극심한 피해가 일어나고 기존 국민들의 불안감도 커질 수 있다. 난민들이 그 국가에 지내게 된다면, 국가는 난민에게 기초생활 보장을 도와주어야 한다. 이런 과정은 국민의 세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국민들의 반발이 심할 것이다.

한번 시작한 지원을 시작하면 그 지원을 끊을 수 없고, 추가적으로 난민 수용이 불가피해진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1기 백지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246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912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2678
선거연령 하향, 이제는 시작될 때 3 file 2017.05.24 김혜빈 12635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10267
헛되지 않은 우리의 선택, 문재인 대통령 4 2017.05.25 성유진 12330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 '달빛 정책' file 2017.05.25 최서진 11304
외감법 개정, 때로는 엄격하게 때로는 자유롭게 file 2017.05.25 홍은서 10413
J노믹스의 경제인은? file 2017.05.25 김찬 10413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한 줄기 빛이 되어줄 그대 2 file 2017.05.25 김재원 10482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주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file 2017.05.25 임재우 12920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5405
문재인 대통령, 국민의 바람 이뤄줄까 file 2017.05.25 서은주 12441
같은 하늘, 같은 시간, 다른 곳에서 2 2017.05.25 류지현 12998
2017 대선의 숨은 모습을 찾다 file 2017.05.26 구성모 10643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2 file 2017.05.26 유수연 12152
문재인 대통령의 주황색 넥타이··· 독도가 우리나라 땅인 이유는? 3 file 2017.05.27 이다호 10934
당연하게 된 사교육, 원인은? 3 file 2017.05.27 김혜원 14484
괘씸한 일본…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 file 2017.05.28 남희지 14113
문재인 시대, 새로운 외교부 장관 후보 강경화 3 2017.05.28 김유진 14034
강경화, 문대통령의 5대 인사원칙 무시하고 외교부장관 되나 file 2017.05.28 천세연 12052
5대 비리 고위공직 원천 배제 공약 위배 논란, 그것이 알고 싶다. file 2017.05.29 4기박소연기자 12054
조금은 특별했던 장미대선, 투표율은 어땠을까? 2 file 2017.05.29 정경은 11491
미세먼지, 이렇게 계속 안심하고 있어도 되는가? 2 file 2017.05.30 김보경 10206
아리아나 그란데, 맨체스터 아레나 공연 중 테러 7 file 2017.05.30 서주현 12516
새 정부의 5.18 4 file 2017.05.30 이주현 10652
사드 아직 끝나지 않은 3 file 2017.05.30 김도연 12076
선거 연령 하향의 효과와 우려 7 file 2017.05.31 김지민 26924
광화문 1번가-국민의 목소리 file 2017.06.05 한지선 10620
2017 대선,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 2 file 2017.06.06 최현정 11160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악성루머 유포자 법적조치, 사이버수사대 의뢰…선처없다" (공식입장) file 2017.06.06 온라인뉴스팀 12959
전세계의 관심을 받은 그의 경제 정책 2 file 2017.06.08 이종은 11273
미국의 파리협약 탈퇴- 위기의 기후협정 file 2017.06.10 김민진 14447
런던 시민들의 분노가 폭발했다 3 file 2017.06.19 박형근 11216
트럼프와 러시아 사이에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는가? file 2017.06.21 박우빈 11607
한반도의 판도라의 상자, 고리 1호기의 영구폐로 3 file 2017.06.22 이빈 11221
6월 20일 세계 난민의 날 ? 난민들의 서글픈 현실 file 2017.06.23 노태인 10291
쓰촨 성에서 산사태 발생, 140여 명 매몰 1 file 2017.06.24 박유빈 10796
대한민국 교육정책, 장미대선으로 뒤바뀌다. 1 file 2017.06.24 윤은서 9565
'오토 웜비어'의 사망 이후, 상반된 북미 반응 2 file 2017.06.24 이윤희 10830
자율형 사립고와 외국어고 폐지, 과연 올바른 해결책인 것인가? 2 file 2017.06.25 이지연 12290
문재인 대통령 사교육폐지, 외고와 자사고 일반고 전환까지? 3 file 2017.06.25 박유진 10812
공정한 취업의 신호탄, 블라인드제 1 file 2017.06.25 황현지 11793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file 2017.06.25 김유진 8914
도넘은 야당의 발목잡기 file 2017.06.25 손수정 9924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통역 없는 접견'에 대한 엇갈린 반응 1 file 2017.06.26 이소영 10846
스윙 보터? 게리맨더링? 캐스팅보트? 1 file 2017.06.26 강민 14790
문대통령 '사드 합의 공개' , 한·미 정상회담에 미칠 영향은? file 2017.06.26 곽다영 9542
올해 다사다난했던 영국 사건들 1 file 2017.06.27 이태호 10343
외고 자사고 폐지, 과연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는? 3 2017.06.27 고은빈 11971
미국 전역 애도 물결 , 웜비어 3 file 2017.06.27 조채은 107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