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대통령의 경제공약, 어디까지 왔는가

by 10기김의성기자 posted May 22, 2019 Views 1266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년 5월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어느새 2년이 되어가며 대통령으로서 반환점을 향해 가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하며 대표적으로 일자리 창출비정규직 감축 및 처우개선성장동력이 넘치는 대한민국미래성장동력 확충전국이 골고루 잘사는 대한민국'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c994dd1fa840163d91a5664a9cdcb2dc.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김의성기자]


그렇다면 문재인 정부의 대표 공약인 일자리 창출은 과연 잘 이루어지고 있을까

일자리 창출이 잘 이루어지는지 알기 위해 문재인 정부 취임 전후로 실업률과 고용률을 분석한 결과 2015년 3월부터 2019년 3월 간 대체적으로 실업률이 상승하고 고용률은 비슷하거나 하락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로 대기업들의 고용 부진과 경제 정책상의 문제점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비정규직 감축 및 처우개선은 잘 이루어지고 있을까? 

최근 시민사회단체들이 문재인 대통령 취임 2주년을 맞아 비정규직 종사자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87%  정부의 노동정책에 대해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조사됐다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정책' 대해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거나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내다본 응답자가 전체의 95.1%였으며최저임금정책에 따라 소득 증대를 보지 못했거나 월급 감소를 겪었다는 응답도 90% 됐다다만 응답자들은 비정규직 문제 해결에 필요한 것으로 '정부의 의지'(58%) 가장 많이 꼽았다현 정부의 정책이 현재 진행형이라고 하지만, 지금까지 평가는 좋지 못하다. 


전국이 골고루 잘사는 대한민국이 되었을까? 

국민들은 지역별 부동산 가격만 봐도 알 것이다. 대한민국의 경제는 수도권에 집중되었으며 경제는 수도권을 통해 돌아간다. 여러 정부 기관들을 세종시로 보내며 경제의 분권화와 균형화를 노리고 있지만 아직 성과를 보이고 있지 않다. 그러나 아직도 부는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다. 


정부가 가장 강조하던 공약은 성장 동력이 넘치는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이다. 정부가 성장 동력을 위한 정책을 하고 있지만 성과가 나타나고 있지 않다. 정부는 남북 경제 협력이 한국의 최대 성장 동력이자 유일한 수단으로 말하고 있다.

경제적 기반이 잘 되어있지 않은 현 상황에서는 남북 경제 협력을 추진하되 이 하나만 믿고 급하게 추진해서는 안 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10기 김의성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319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979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3416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520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769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205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955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3029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1363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597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164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089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440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514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19951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227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699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500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1925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3012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19877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004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9348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080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4494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404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106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324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9225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1261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258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233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043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199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685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2330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690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702
양날의 검, 9시 등교 2014.09.25 김익수 21134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2589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293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5 이지원 26290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2654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077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478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329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2383
9시 등교, 갈등의 기로에 있지만 보안한다면 최고의 효과 2014.09.25 김신형 26797
과연 9시등교 좋은 것일까 안 좋은것일까? 2 2014.09.27 김민성 26796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061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52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