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부르카(Burka) 착용 금지법, 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생각해봐야 할 법률

by 11기박서연기자 posted Apr 25, 2019 Views 3514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IMG_5193.jpg

[이미지 제공=heehee블로그,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부르카(Burka, Burqa)란, 주로 아프가니스탄이집트 여성들이 착용하는 이슬람 여성들의 전통복식 가운데 하나로서 눈을 포함한 전신을 가리고 장갑까지 끼는 전통의상이다이슬람교에서는 여성이 자신의 신체를 노출하는 것은 성적 유혹을 의미하므로 천이나 베일로 신체를 감싸는 문화가 생겼다우리는 과연  문화에 대해 논하고 비판할  있을까


우리는  나라의 전통문화를 비판할 것이 아니라  나라의 문화를 존중하여 문화상대주의를 실천해야 한다하지만 유럽에서 여러 차례 부르카를 수단으로 사용해 테러가 일어났는데도 이슬람교의 전통의상 착용 문화를 존중해야 할까?


프랑스벨기에네덜란드오스트리아  많은 유럽 국가에서 이미 실행되고 있는 부르카 금지법은 공공장소 내에서 부르카나 니캅처럼 몸을 가리는 이슬람 전통복장 착용이 전면 금지되며 위반  최대 150유로의 벌금 또는 사회봉사를 하게 되는 법이다이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특정 종교에 대한 억압이다  많은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부르카 착용 금지법에 대해 반대하는 사람들은 부르카  전통의상 착용을 금지하는 것은 종교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주장한다 법률이 시행되게 된다면 가장 많은 피해를 받는 것은 이슬람교를 믿는 여성들인데 악한 마음을 품고 부르카를 문화가 아닌 수단으로 사용해 테러를 저지른 테러리스트 때문에 부르카가 위험하다고 일반화되어 단순히 종교를 믿고 있던 여성들에게는 자신의 종교적 신념을 저버려야 하는 상황이다또한 이들은 부르카나 니캅을 착용하는 것은 종교적 신념에 따른 자신의 선택이기 때문에 이를 이슬람문화가 아닌 유럽 문화에서 이해하고 비판하는 것은 문화상대주의 입장에서 옳지 않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대로 부르카 착용 금지법을 찬성하는 사람들은 안정성의 이유로  법률이 실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이미 유럽에서 여러 차례 부르카를 문화가 아닌 수단으로 사용하여 테러가 일어난  많은 사람들이 공포에 떨고 있다고 한다이에 얼굴을 완전히 가리고 안전에 위험을 가하려는 사람들을 금지하고 적어도 테러범의 얼굴을 확보하기 위해서  법률이 실행되어야 하고 테러가 일어날 당시 부르카는 종교로써 쓰인 것이 아니라 단지 얼굴과 신분을 숨기기 위한 수단으로 쓰였기 때문에 종교적 차별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작년에 제주도 예멘 난민 수용에 대해 많은 의견들이 오고 갔다 가운데 치안상의 문제로 난민들을 수용하면 안 된다는 의견도 다수 찾을  있었다만약 이번에도 유럽 국가들에서 일어난 것처럼 난민이라는 단어 뒤에 또는 부르카와 같은 전통의상을 입고 테러리스트가 숨어 우리나라에 들어온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제 단순히 부르카 착용 금지법은 유럽에서 다뤄야 할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모든 국가에서  번씩 생각해봐야  법률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1기 박서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0기박보경기자 2019.04.30 18:47
    저는 그 나라의 문화를 존중해주어야한다고 생각해요
  • ?
    10기박보경기자 2019.04.30 18:47
    저는 그 나라의 문화를 존중해주어야한다고 생각해요
  • ?
    11기박서연기자 2019.05.26 19:34
    그렇게도 생각할수있는것 같습니다. 테러가 일어났더라도 오랫동안 유지해왔던 그들의 문화를 한순간에 없애는것이 아니라 존중해주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
    11기최인규기자 2019.05.01 17:48
    여성의 인권 보장이란 관점에서도 고려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
    11기박서연기자 2019.05.26 19:36
    저도 동의하는 바입니다. 부르카를 포함한 이슬람 전통의상에 대해서는 여성의 인권보장이란 관점에서 꼭 한번 고려해봐야할 문제인것 같습니다!
  • ?
    10기이채빈기자 2019.05.04 22:04
    저는 부르카를 쓰고 있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부르카를 이용하여 테러가 여러 차례 일어난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테러 사건으로 인해 모든 이슬람 교민들을 잠재적 테러범으로 여기는 것은 억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 ?
    10기이채빈기자 2019.05.04 22:04
    저는 부르카를 쓰고 있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부르카를 이용하여 테러가 여러 차례 일어난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테러 사건으로 인해 모든 이슬람 교민들을 잠재적 테러범으로 여기는 것은 억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 ?
    11기박서연기자 2019.05.26 19:33
    저도 동의하는바입니다. 부르카를 수단으로 이용해 테러를 저지른것은 사실이지만 그 특정부류때문에 이슬람교민들 모두가 피해를 보는건 부적절하다고 생가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05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40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678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문제는 여전히 file 2021.04.02 김민주 8275
임대료없어 폐업 위기, 소상공업자들의 위험 file 2021.02.01 최은영 8279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8284
의도적인 트럼프의 발언? 1 file 2020.03.06 권수현 8289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8294
이제야 끝난 장마, 기후변화에 경각심을 가질 때 file 2020.09.07 박영주 8301
여러 민주화 시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손가락의 영향력과 힘 2021.04.29 김경현 8304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8308
샘 오취리, ‘preach' 성희롱 댓글 뒤늦게 논란 file 2020.08.31 유시온 8312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8315
미중 무역전쟁, 승패없는 싸움의 끝은? file 2020.01.02 임수빈 8318
반도체 수급의 어려움, 차량 업계도 직면했다 file 2021.07.26 우규현 8322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8330
코로나19 백신, 팬데믹 해결의 열쇠가 되나 1 file 2020.11.24 임성경 8345
의대생 증원에 따른 파업과 약대 학부전환, 입시에 '나비효과' 줄까? 1 file 2020.08.21 차준우 8348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8365
마스크 대란을 잡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대책 file 2020.03.12 신지홍 8369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8369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8370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8372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8376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8384
저가항공사들의 반란? 1 2020.06.01 이혁재 8385
끝나지 않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언제쯤? 2020.08.31 김정원 8388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8389
코로나를 통한 사재기와 우리의 태도 file 2020.03.30 이수연 8400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 놓인 홍콩 1 file 2020.05.26 신지윤 8400
온라인 수업의 부작용, 'VDT 증후근' 2020.08.31 오윤성 8403
트럼프, 바이든에 협조하지만 대선 결과 승복은 ‘아직’ 1 file 2020.11.27 김서현 8406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8408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8415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그 근원지는 어디? file 2020.05.20 김가희 8419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8423
원격수업을 주제로 한국 - 아랍에미리트 원격회담...전 세계로 퍼지는 온라인개학 file 2020.04.27 정태민 8433
美 애틀랜타 총격 사건... “내 사람들을 죽이지 마세요” 2 file 2021.03.30 임이레 8438
"말을 안 들어서..." 10살 조카 A 양을 고문한 이모 부부, 살인죄 적용 1 file 2021.03.05 한예진 8442
백신, 안전한가? 1 file 2020.10.22 홍채린 8443
이란교민 전세기 귀국 2 file 2020.03.25 신동민 8449
일본과 우리의 코로나19 대응 차이 2020.06.01 이다진 8455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1.05.24 심승희 8460
미국 최초의 흑인 여성 부통령 후보, '카말라 해리스' file 2020.08.31 전순영 8464
마스크 사재기를 잠재운 마스크 5부제 1 file 2020.04.02 남유진 8470
매미나방, 이대로 두어도 괜찮을까? 1 file 2020.08.24 송윤슬 8470
‘이 시국’의 한국 경제를 극복할 방안, ‘한국판 뉴딜’을 알아보자 file 2020.08.28 김나영 8472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1 file 2020.11.26 임솔 8476
푸른나무재단, '마음 톡톡 페스티벌'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실시 file 2022.06.02 이지원 8480
집중호우의 다른 이름 ‘기후변화’ file 2020.08.31 최지원 8481
고3 학생들과 함께한 이번 선거 file 2020.05.04 손혜빈 85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