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카드사의 3개월, 5개월... 할부 거래의 시작은 재봉틀부터?

by 11기김도현기자 posted Apr 16, 2019 Views 168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재봉틀'은 우리 생활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계이다. '재봉틀'의 역사를 따라가 보면, 우리가 마트나 인터넷 쇼핑에서 편하게 사용하는 할부 거래와 연관성이 있다.


KakaoTalk_20190416_01012946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김도현기자]


재봉틀은 17세기 중 후반에 개발된 기계이다. 17세기 산업혁명이 일어났을 때 의식주 중 먹는 것과 사는 것에 대한 설비 자동화는 이루어져 있는데, 의복만 손수 바느질을 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1790년 프랑스 재단사 시모니가 현대의 재봉틀과 비슷하게 생긴 '재봉틀' 개발에 성공한다. 당시에 혁명적인 일이었으나, 시모니는 특허를 내지 않고 지인들에게만 보여주며 사용했다고 한다.

40년이 지난 1834년 미국에서 재봉틀이 시모니의 것보다 더 개량된 방식으로 개발하였다. 하지만 40년이 지난 미국에서도 특허권을 포기한 채 손을 쓸 수 없었다. 당시 재봉사와 재봉사들 밑에서 일하고 있던 노동자들에게 테러를 당할까 봐 무서워서 특허출원을 하지 못했다고 한다. 하지만 끝내 특허를 출원하였고, 특허를 출원하였지만 1841년에 테러와 엄청난 경영난에 허덕이다 결국 폐업하였다.


가정에 있는 재봉틀 기계의 브랜드를 살펴보면 '싱거'사의 제품이 많다. 1851 '싱거'사의 역사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싱거'사는 20년 만에 전 세계 재봉틀 판매 대수 중 25% '싱거'사의 제품이었고 이후 10년  전 세계의 90%가 되는 엄청난 점유율을 보여준다.

그 당시 재봉틀 가격은 장롱만 한 사이즈로, 한 대당 2000만 원이었다. '싱거'사는 2000만 원이나 되는 재봉틀을 대중들에게 쉽게 판매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였고, 생각해낸 방식은 '할부거래'였다. 할부거래가 인류 역사상 처음 등장하는 순간이다
신용카드도 없고 체계적인 금융 시스템도 없는 '싱거'사는 '방문판매 시스템' 도입하여 1달러의 계약금과 월 1달러를 낸다는 계약서를 받은 뒤 재봉틀을 판매하였다

하지만 이런 획기적인 '할부거래'에도 재봉틀 수요가 늘지 않았다. 그 이유는 그 당시 남성들의 반발이 거세었기 때문이다. 전업주부의 선입견이 강했던 19세기 초엔 "여자들이 어떻게 기계를 사용하냐 기계는 남자들이나 만지는 것이다"라는 말과 전국의 남성 의사들은 '재봉틀을 사용하면 가슴, 복부, 경련이 일어나 불임까지 걸릴 수 있다'라는 근거 없는 소문을 퍼트려 재봉틀의 판매에 걸림돌을 만들었다.


'싱거'사는 한 번 더 획기적인 마케팅을 펼친다. '싱거'사의 재봉틀을 판매하는 타켓을 바꾼 것이다현재로 말하면 '장관 사모님들 프로모션' 펼친 것이다상위권의 여성들이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이른바 '연예인 마케팅'으로 좋은 인식이 퍼져 '싱거'사는 결국 전 세계 재봉틀 점유율 90%의 대기업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재봉틀은 임시정부 시절 김용원 씨가 일본에서 사용되는 재봉틀을 가지고 들어오면서 1905년에 들어왔다. 당시 우리나라도 전업주부의 선입견이 강했기 때문에 남성들의 반발이 심했지만, 현재는 누구나 편하게 옷감을 손질할 수 있는 우리 가정에 빼놓을 수 없는 기계가 되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고 사용하고 있는 '할부 거래' '연예인 마케팅' 시작은 '싱거'사부터 시작되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11기 김도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11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04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373
아이에겐 엄격하고 애완견에겐 관대하다 1 file 2016.08.31 김관영 16037
언론의 탈을 쓴 괴물 6 file 2017.02.12 장준근 16042
SBS, 또 터진 일베논란 3 file 2017.05.22 추연종 16042
지구 온난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1.24 신지수 16043
성폭력, 매분 매초 벌어지고 있는 심각한 국제 이슈 file 2019.03.07 배연비 16043
설탕세 도입 -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file 2016.04.23 김은형 16044
'대통령 탄핵 절대 안돼'... 휘몰아치는 탄핵심판 속 보수의 목소리를 들어보다 4 file 2017.02.22 조윤수 16045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6054
16차 촛불집회, 꺼지지 않는 촛불 1 file 2017.02.24 임지은 16055
‘북극곰의 날’을 아시나요? 2 file 2017.03.01 노태인 16056
[현장취재]가게 옆 거대눈사람이 품은 따뜻한 이야기 10 file 2016.02.13 박다온 16058
국정교과서 최종본 공개... 반응은 여전히 '싸늘' file 2017.02.02 유근탁 16058
조두순 출소 반대 국민청원, 61만명 돌파 1 file 2017.12.20 문세연 16063
부산 평화의 소녀상 부산교통공사 '불법 부착물 떼라' file 2017.02.12 조희진 16070
방학보충의 폐해, 고등학생의 현실 2 file 2017.02.04 손예은 16071
'김제동 만민공동회'와 13차 울산시민대회의 횃불행진 2 file 2017.02.12 서상겸 16078
깜짝 임시공휴일 제정, 이대로 괜찮은가? 6 file 2016.05.22 최민지 16097
계속되는 남성 성추행 논란, 이유는? 4 file 2017.02.15 정주연 16100
구둣방천사 2 file 2016.05.28 김준석 16108
경제학이多 - 정보경제학 file 2018.11.01 김민우 16136
거리로 나온 청소년들과 선거연령 인하 4 file 2016.11.25 김혜빈 16141
양날의 검, 생체 보안 기술 3 file 2017.02.15 김세원 16143
지구의 반란, 도대체 어디까지인가? 4 file 2016.04.25 김예지 16153
성범죄자들의 신상공개제도(처벌과, 또 다른 피해자) 1 file 2018.02.22 정준교 16155
소비자와 영세업자 울리는 '전안법' file 2017.02.05 김민주 16162
코로나19 이후 늘고 있는 아동학대 file 2021.07.02 조서림 16181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변질: 블레임 룩(blame; 비난, look; 주목) 3 file 2017.02.28 조나은 16183
강남역 살인사건...남혐 vs 여혐으로 번진 추모의 행동 올바른 추모형식인가.. 2 file 2016.06.06 최다혜 16190
드라마, 과연 현실성은? 3 file 2016.04.20 이민정 16198
확진자 급등세에도 2달만에 봉쇄 완화하는 인도네시아 1 file 2020.06.30 오윤성 16203
어린이청소년참여위원회 발대식 2 file 2016.03.24 김태윤 16206
'오바마를 수입하자' 2 file 2017.02.25 김예지 16206
황교안의 선택... 그 방향은? 3 file 2017.02.18 최우혁 16218
지방의회의 발전, 말라버린 민주주의 치료에 기여할까 1 file 2017.02.19 김현재 16218
국정교과서 마지막 결과는? 3 file 2017.02.20 김윤정 16232
'ㅇㅇㅇ' 열풍 그 끝은 어디? 5 file 2017.02.25 이다민 16232
불매로 기업의 처벌을, 불매운동 2 file 2016.05.22 김혜빈 16252
선거에 관련한 법률, 어디까지 알고 있을까 2 file 2016.04.24 김나연 16254
패류독소의 확산, 어민·소비자 모두 “빨간불” file 2018.04.10 이예은 16273
국내를 넘어 아시아에 신드롬을 일으킨 드라마 '태양의 후예' 4 file 2016.03.25 임선경 16284
영국의 코로나 거리두기 3단계 선포, 과연 우리나라와는 어떻게 다를까? 3 file 2020.11.05 염보라 16286
'정당한 권리'라는 빛에 가려진 '주어진 권리를 성실히 이행해야 할 의무'라는 그림자 3 file 2017.02.17 이우철 16298
[공지]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콘텐츠 업데이트 일자 안내 file 2017.01.06 온라인뉴스팀 16299
학생들의 선택할 권리 file 2016.07.24 이민정 16306
말 많은 국정 역사 교과서, 연구 학교 신청 3곳... 3 file 2017.02.21 최다영 16306
학교가 가르치는 흡연 2 file 2019.05.24 김현지 16306
사재기, 보이지 않는 검은 손 2 file 2016.09.25 강하윤 16311
올해만 벌써 다섯 번째…사라져가는 아이들 8 file 2016.03.26 신민정 163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