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뛰는 전기차 위에 나는 수소차...?

by 10기최수혁기자 posted Mar 29, 2019 Views 104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8BD6E54-24BD-4180-9731-B8AC38B12B61.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최수혁기자]


최근 독일 폭스바겐의 디젤게이트 사건으로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 지각 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디젤게이트 사건 이전에는 클린디젤이라는 구호와 함께 디젤자동차 보급에 힘을 부었다. 하지만 디젤게이트 사건 이후 클린디젤이라는 용어는 찾아보기도 어려워졌고, 디젤자동차의 존재까지 위협을 받는 상황이다. 최근 더욱이 심해지는 미세먼지 때문에 디젤자동차의 퇴출을 선언하는 일부 국가가 생길 정도이다. 그러면 디젤자동차의 빈자리는 어떠한 자동차가 대체 할까.


35B742EB-BB8C-47BF-B56F-B8B33B3CA00C.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최수혁기자]


바로 친환경 자동차. 다들 한 번씩 들어본 익숙한 단어이다. 그럼 미래의 자동차가 될 대표적인 친환경 차는 어떤 것이 있을까? 바로 전기차와 수소전기 자동차이다. 이 둘의 차이점은 디젤과 휘발유처럼 주입이 되는 연료의 차이다. 


전기자동차는 현재 수소자동차보다 많이 보급된 상태이다. 또한, 현재 구매를 하여도 충전의 용이성, 사용 접근성 또한 수소자동차를 압도한다. 하지만 전기자동차는 수소자동차보다 긴 충전 시간과 그에 대한 주행거리가 현저하게 낮다. 이점은 전기자동차의 심각한 단점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아무리 수소자동차가 충전이 쉽고 주행거리가 길더라도, 수소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가 빈약하므로 전기차가 현실적인 친환경 자동차이다. 그런데도 수소자동차가 세계의 주목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수소라는 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수소자동차는 돌아다니는 공기청정기라고 불린다. 수소자동차가 움직일 때는 매연 대신 순수한 물이 배출된다. 그리하여 순수한 물이 대기의 공기를 정화 시켜 주어서 공기의 질을 높여주고 있다. 실제로 수소라는 에너지의 파급력은 국제사회에서도 입증이 되었다. 수소는 왜 국제적인 파급력을 가지겠냐는 의문을 해결해 보겠다. 


수소자동차에 사용되는 수소 에너지의 사회적인 자산의 규모는 약 2조 5,000억 달러 한화로 2,800조에 달하는 엄청나게 무시무시한 규모를 지니고 있다. 2050년까지 수소의 에너지의 수요는 전체의 18%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요즘 사회적으로 많은 이슈를 낳는 일자리 문제 또한 수소라면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질 것이다. 2050년까지 수소 에너지로 인해서 세계 곳곳에 3,000만 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우리가 사는 세상의 주된 에너지는 석유와 전기 에너지이다. 그중에서 전기는 현재 친환경 동력 에너지로 주목을 받는 상황이다. 하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가장 큰 적인 수소가 등장했다. 이젠 수소의 가장 심각한 단점 하나를 말할까 한다. 수소는 다들 알다시피 폭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런 에너지가 사람을 태우고 다니는 자동차에 주입이 된다면 말 그대로 수소폭탄이 될 수가 있다. 이전에 천연가스 폭발처럼 이젠 자동차 폭발이라는 무서운 뉴스가 나올 수도 있다. 하지만 걱정은 하지 않아도 좋다. 수소자동차 산업의 리더이자 산업을 이끄는 현대자동차의 최신 자동차 넥쏘를 알아보자.


현대자동차는 넥쏘 수소전기차를 출시하기 전까지 총 200여 대의 시험용 차량으로 가혹한 시험을 모두 통과하였다고 밝혔다. 국내 및 유럽에서 최고 등급 안전성을 공인받은 넥쏘를 국내 최초로 전시하여 수소차의 안전성을 입증하였다. 609KM 주행을 하고 123년 동안 사용 가능한 수소연료탱크 내구성을 확보하였다고 한다. 또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통안전 교육 30여 가지를 동대문 DDP에서 진행하여 안전한 교통 라이프를 위한 노력에도 이바지하였다. 2018년 신차안전도 평가에서 중형 SUV 부분, 친환경 차 부분, 어린이 보호 부분 최우수 3 관광을 수상하여 수소자동차의 안전성을 다시 한번 입증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현대자동차는 넥쏘에 탑재가 되는 수소연료탱크의 안전인증 법규를 충족시켰으며 사내에서도 자체적으로 파열시험, 낙하, 충격시험, 화염 발사 시험, 내화학시험, 인공결함시험, 극한온도시험, 총탄시험, 수소가스충전 반복시험, 가속 응력 시험 등을 포함한 다양한 수소연료탱크 안전인증시험을 완료하였기에 이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수소자동차의 이러한 안전성 입증은 현재의 친환경 자동차의 강자 전기자동차의 아성을 충분히 무찌를 수 있다고 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0기 최수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0기백휘민기자 2019.04.08 23:31
    수소자동차에 대한 수업을 듣고 관심이 생겼었는데 이 기사를 읽고 많이 알아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792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516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9198
평등의 바람, 멈췄던 물길이 다시 흐르기 시작한다 file 2021.06.28 백정훈 7934
수도권 고3 제외한 유, 초, 중, 고 원격 수업 file 2020.09.01 박정은 7946
9년 만에 돌아온 폭우 file 2020.09.08 홍채린 7947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7960
6.25 D-DAY, 국민들 우려대로 전쟁 일어날까? file 2020.06.29 임지안 7965
故 노태우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사회적 인식 왜 다른가? file 2021.12.07 오유환 7984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7999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8004
미국과 FTA 체결 원하는 대만..미·중 신냉전 체제의 새로운 요소로 급부상 file 2020.08.20 조승우 8005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8013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8016
"부르카 안 썼다고 총살" 또다시 여성 인권 암흑기 접어드나 file 2021.08.31 양연우 8029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19일 0시부터 1.5단계로 격상 file 2020.11.18 이유진 8031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8045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8047
삼성전자 이 부회장의 2년 6개월 실형 선고... 또 다른 리스크인 보험업법 개정 결과는? file 2021.01.19 김가은 8047
헝다그룹,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난 file 2021.09.29 윤초원 8048
코로나19 뉴노멀 file 2021.03.02 박현서 8050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8061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8074
광복절 집회에 대한 법원의 판결, 적절한가? file 2020.08.31 김근영 8076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11일 만에 휴전으로 멈춰 file 2021.05.25 민호윤 8078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정부의 대책, 특별 방역관리주간 file 2021.04.26 이효윤 8079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8082
코로나19! 어디가 가장 위험할까? 충격적인 결과! file 2020.04.29 민아영 8091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8093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 입다 2020.03.26 이수미 8095
청와대, "5월 13일부터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준비" file 2020.05.04 박가은 8103
사은품 가방 얻고 난 후 버려진 커피 300잔 file 2020.05.28 김태희 8104
고조되는 美中 갈등, 어디까지인가? 2020.09.16 김나희 8107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8123
[기자수첩] 의대 쏠림 현상, 의대 정원 늘려 해결해야 file 2023.06.24 이래경 8130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8131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 첫걸음, 4·15 총선 file 2020.04.08 박소명 8139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8149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8158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8161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8182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file 2022.02.28 한건호 8194
신재생⋅친환경 에너지 활성화로 주목받는 '은' file 2021.02.10 이강찬 8208
코로나19 사태, 숨겨진 일등공신은? file 2020.05.27 임서현 8212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file 2022.02.08 이성훈 8220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8225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8226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8232
마스크의 대란 어디까지인가 2020.03.18 김도연 8234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8236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82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