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2019 세계 뇌주간] 창의성의 비밀, 뇌과학은 알고 있다

by 10기김규린기자 posted Mar 27, 2019 Views 2299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창의성이란 무엇일까?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이 우리의 뉴스에 1면을 장식하고, 담임선생님의 훈화 말씀 속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게 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제는 우리 생활 속으로 스며들고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자주 강조되는 능력이 바로 이 ‘창의성’이다. 하지만 아마도 창의성에 대하여 정확히 정의 내릴 수 있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낱말의 정의에는 참뜻이 숨겨져 있고, 그 뜻을 알아야 행할 수 있는 법이다. 그래서 우리는 질문한다. ‘창의성은 과연 무엇인가?’

 KakaoTalk_20190316_20042425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김규린기자]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뇌과학으로 풀어가는 강의가 지난 16일 카이스트 양봉순 빌딩에서 열렸다. 이날 1시가 되자, 어린아이부터 40대 중순으로 보이는 중년 남성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한 강의실에 모였다.

 

뇌과학을 대중들에게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지정된 세계 뇌주간을 맞이하여 열린 이날 강의에서는 김대수 박사, 정재승 박사, 백세범 교수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창의적인 뇌는 어떻게 만들어지나’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북적거리는 사람들로 착석용 의자 외에 계단과 무대 옆쪽을 채워 앉아야 할 만큼 많은 사람들이 모였다. 그중에는 학교에서 단체로 온 학생들도, 미래의 뇌과학자를 꿈꾸는 누군가도, 서울에서 왔다는 사람도 있었다. 각 교수님들은 각기 다른 키를 통해, 각자 다른 언어를 사용해 뇌로 본 인간 창의성에 대하여 강의했다.

 

창의성이란 무엇일까? 그 기원은 무엇일까? 아이들은 왜 장난감을 좋아할까? 이 질문들에 답해주기 위해 김대수 교수님이 선택한 키워드는 바로 오브제였다. 그의 강연에 따르면 오브제는 사회적인 것과 비사회적인 것이 있고, 사회적인 것은 아는 이와 모르는 이로 다시 나뉘며, 비사회적인 것은 움직이는 것과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나뉜다고 한다. 그리고 또 움직이는 것은 먹는 것과 먹히는 것, 움직이지 않는 것은 먹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뉜다고 한다. 오브제는 단순하게 영어사전에 object를 치면 나오는 한국어 단어들이 아니다. 오브제는 뇌가 인식하고 이름을 부여한 무언가다. 우리 뇌는 오브제를 인식하고 행동하며, 그렇기에 또 오브제는 오브제가 된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우리 뇌가 ‘이름’을 부여하고, 연결하고, 물건의 가치를 찾아내는 기능을 가졌으며, 창의성이란 바로 이렇게 사물에서 새로운 기능을 발견하는 능력이라고 말했다.

 

그럼 창의적인 뇌에서는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는 걸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해주신 교수님은 바로 정재승 교수님이었다. language map, 즉 우리에게는 언어 지도가 있다. 우리의 뇌는 수많은 단어들을 서로 관련된 것들끼리 묶어 저장한다. 하지만 창의성이 발현되는 그 순간, 그러니까 유레카 모멘트는 여러 영역이 활성화되어있는 상황에서 멀리 떨어진 언어 영역이 서로 연결되는 때이다. 예를 들어 저 멀리 떨어진 영역의 바다라는 단어가 컴퓨터에 관련된 지식들끼리 연결되어있던 영역의 어떤 단어와 갑자기 연결되었을 때 반짝! 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것이다. 이러한 일은 종종 멍 때릴 때, 즉 교수님의 표현으로 말하면 마음을 거닐 때 anterior superior temporal gyrus activation이 활성화되며 생긴다. 그래서 그가 말한 창의성은 바로 연결하는 능력이다.

 

마지막으로 백세범 교수님은 인공지능과 뇌과학, 창의성을 연결하여 강의했다. 그는 인공지능의 메커니즘이 결국 인간과 비슷하며,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해 뇌과학이 필요했던 이유가 바로 그것이라고 말했다. 알파고의 변천을 설명하고 다다른 결론은 결국 인공지능이 발전해온 방법은 인간의 창의성을 모방하는 것이었고, 창의성이란 알파고 ZERO가 그랬듯이 질문을 던져보고, 이상하더라도 시도해보다가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승 교수는 말한다. 그렇게 연결한 수많은 아이디어 중에 생산적인 것은 5%에 불과하다고 말이다. 결국 혁신은 머리가 좋은 사람이 아니라 남다른 경험을 자신의 뇌에 많이 집어넣고, 상관없는 개념을 자발적으로, 의도적으로 이어보는 노력을 한 사람, 그리고 그 5%를 위해 19번 실패해도 1번 더 해보는 사람이 만드는 것이 아닐까? 뇌과학은 이야기한다. 당신의 뇌는 이미 충분히 창의성을 발현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말이다. 그리고 교수님들은 이러한 뇌의 속삭임을 이렇게 해석한다. “창의성을 원한다면 연결하라, 그리고 시도하라.”

 

한편 이날 이루어진 2019 세계 뇌주간 강의는 다양한 주제들로 카이스트 외 DGIST, GIST, 서울대학교를 포함한 총 13개의 대학에서 열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0기 김규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TAG •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2181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1915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41651
'한정판'의 유혹 file 2017.03.25 주은채 13225
'할 수 있다'가 전부야? file 2017.05.24 하은지 13674
'행복한 소리 Dream' 목소리를 기부하다 1 2017.09.20 이태녕 19898
'현대판 노예'가 되어버린 그들 2 file 2017.08.29 서효원 15766
'호모포비아'라는 단어가 존재하는 세상 5 file 2018.11.14 김유진 16885
'화성의 자랑' 송산 포도 축제장으로 file 2017.09.12 이지은 17528
'화장 왜 하니?'에 대한 시대별 답변과 화장법 file 2020.06.03 조은솔 15436
'환경보호국민운동본부'와 시민들이 함께하는 '겨울철 야생동물 먹이주기 행사' 열려 8 file 2017.01.25 박소윤 15174
'황소' 황희찬이 라이프치히에 왔다? 1 file 2020.09.25 김시윤 11471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에 다녀오다. 2 file 2016.03.13 권은다 16575
'힐링(healing)'이라는 따뜻한 단어 속의 차가운 진실 마주보기 9 file 2016.02.21 최원영 19591
(현장취재) National Assembly 알고보면 국민에게 가까운, 대한민국 국회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17.02.25 박재범 15459
1,400년 역사와 드론의 찬란한 만남...'익산 미륵사지 미디어아트 쇼' file 2021.09.24 김수인 13116
1.3세대가 함께 만들어가는 2017 함지마을 축제 '함께 이룸' 2017.10.26 조유진 15961
1000원? 5000원? 아니, 이제는 2000원! 2 file 2017.09.28 이승희 15987
100m 안에만 3군데… 그 이유는? 9 file 2017.02.25 정세은 15749
100만 명이 다녀간 ‘2019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file 2019.10.25 조햇살 15938
101명에 대한 사랑은 무엇일까 file 2017.07.23 하은지 14749
10년 차 걸그룹의 화력...음원차트 올킬 3 file 2020.04.20 조기원 12944
10대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패션 브랜드 '키르시(KIRSH)' 9 file 2019.04.12 김세린 41026
10대들이 받고 싶어 하는 선물은? file 2020.01.03 이채희 47952
10대의 화이트데이는 '별 의미없는 날…'이다? file 2017.03.17 권나규 15504
10월 25일은 독도의 날... 제 4회 경상남도 독도사랑 골든벨 퀴즈대회 열려 file 2017.10.30 이영혁 14054
10월, ‘문화가 있는 날’과 함께하는 여유로운 가을 산책 file 2022.10.24 이지원 7554
10월의 축제, 핼러윈 1 file 2017.10.27 4기윤민경기자 16887
11월 11일, 빼빼로 대신 묵념은 어떨까? 2 file 2020.11.30 신재호 12438
11월 11일은 '빼빼로 데이'? 2 file 2016.11.27 신수빈 16652
11월 22일, '김치의 날'을 아시나요? file 2021.11.23 민유정 12313
11월은 남성의 달 “Movember” file 2021.11.29 유수정 9316
12월 1일은 세계 에이즈의 날! file 2020.12.23 윤현서 12502
12월 25일에 학교 가는 나라 1 2020.12.28 오예린 12384
12월 국산 중형차량 판매량, 중형차의 왕은? 12 file 2018.01.24 김홍렬 17632
12월에만 6골, 손흥민 아시안컵도 품을까 4 file 2019.01.03 서한서 16192
137년 vs 14년, 한 맺힌 팀들의 대결…UCL 결승 6월 1일 개최 file 2019.05.31 권진서 16494
13년째 사랑받고 있는 벚꽃 축제 3 file 2018.04.12 강서빈 19983
13의 의미 file 2021.09.28 이준호 10746
14,15 장미꽃 다음은 스승의 날!? 2017.06.10 김윤지 14530
14년만에 세상에 나온 영화 ‘귀향’ 7 file 2016.02.25 윤주희 15161
1636년의 병자호란, 2017년에 다시 펼쳐지다. 2017.10.18 전성준 15083
1919년 3월 1일 , 그날의 함성이 우리에게 닿는 날 file 2016.03.21 한지혜 16585
1930s 근대, 이야기 속으로! 군산시간여행축제 file 2017.09.29 김주빈 20395
1980년대 그때 그시절의 편지 20 file 2016.02.20 지다희 31050
1987년 여름, 그들은 무엇을 위해 거리로 나왔을까? 6 file 2018.01.24 박환희 16342
1년 365일 자원봉사하기 좋은 날 2 file 2019.03.29 김수현 19008
1년에 단 한 번! ‘2021년 대한민국 한복 모델 선발대회’ 개최 file 2021.03.11 김태림 13116
1년에 한 번 피는 꽃, 한화와 함께하는 서울세계불꽃축제 2017 file 2017.10.16 김세령 14233
1부 승격, 다크호스로의 비상을 꿈꾸다 file 2015.05.17 정은성 23762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변치 않는 팬심 file 2017.09.29 최서은 174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