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HTTPS 규제, 미디어의 자유를 빼앗아 가는 것은 아닌가

by 10기배연비기자 posted Mar 18, 2019 Views 1963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올해 초부터 정부는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전 세계 각 나라에서 똑같은 인터넷 공간에 접속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통신 언어)를 주소로 채택한 사이트를 검열해 불법 촬영물이 공개되어 있는 불법 사이트들을 규제하겠다는 정책을 펼쳤다. 사이트 검열의 과정에서는 SNI(Server Name Indication) 즉, 서버 네임이 불법 사이트의 주소와 일치하면 그 사이트를 차단하는 방법을 이용하겠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에 네티즌들은, 불법 사이트를 차단해 도박, 리벤지 포르노 등을 막겠다는 취지는 좋았지만, 정부가 인터넷 검열을 하면서 언론 역시 규제받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또한, HTTPS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불법 사이트를 규제한다고 해도 효과가 미미한 것은 아니냐는 등의 논란도 커지고 있다. 실제 대한민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HTTPS 사이트는 수없이 많고 그중 대부분이 개인 블로그, 단체 웹사이트와 같이, 사생활 침해의 논란이 우려되는 사이트들도 적지 않다.


만약 사이트를 규제하고 검열하게 된다면 미디어 즉, 언론의 자유가 침해되는데 이렇게 되면 언론의 가장 큰 기능인 사회의 부정을 막는 힘이 없어지게 된다. 현재 이러한 방법으로 인터넷 검열을 진행하고 있는 나라는, 중국, 북한, 시리아, 이란, 이라크 등으로 대부분 정치 체제에서 공산주의적, 독재적 면이 있는 나라들이다. 위 나라들은 언론의 힘이 약해, 실질적으로 언론이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모두 정부를 거치고 나온 정보라고 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정보의 신뢰성, 확실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만약 정부가 인터넷 검열을 하게 되면 이것은 우리나라의 사회가 변질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주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정부의 HTTPS 사이트 규제가 주는 또 하나의 치명적인 단점은, HTTPS의 주소를 가진 불법 사이트를 막는다고 해도, 외국 사이트나 다른 사이트 주소를 사용한 인터넷 공간에서 얼마든지 불법 촬영물이 퍼질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SNL 방법을 쓰는 과정에서 불법 사이트를 인식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제도를 실행하면서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책임이 있다.


238ece2c671236149ac7f5c1e7b76b7f.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배연비기자]

HTTPS 차단 정책 반대에 대한 청원은 2월 11일부터 진행되어서 3월 13일에 마감이 됐는데, 현재 269,180명이 청원에 대한 동의를 했다. 국민 청원에 대한 답변 원고는 이효성 방송 통신 위원장이 올렸는데 답변 원고에는 "불법 촬영은 범죄이고 피해자들은 그들의 권리가 있으므로 우리는 노력을 해야 하고 그에 따르는 문제들은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정부는 이 정책을 신속히 실행한 만큼, 정책 때문에 일어나는 부작용이나 문제들도 신속하게 처리해 주었으면 좋겠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0기 배연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0기김채현기자 2019.03.22 22:04
    저렇게 막는다고 해도 https 우회 방법이 이미 많이 검색되기도 했고 실제로 SNS나 검색 사이트들을 통해 많이 공유가 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도의 효과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괜히 엄한 일반 사이트들도 간혹 막히는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고요.... 불법 촬영물의 공유는 막기 전에 일단 불법 촬영을 하지 못하도록 규제를 더 크게 강화하고 여러 시설들에 직접 확인을 하며 검사하는 게 먼저가 되어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요즘 참 무슨 일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 사익만 추구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생각을 많이 하게되었어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10기배연비기자 2019.03.23 19:43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788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512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9156
코로나 확진자 느는데, 의료진 파업? file 2020.08.25 이지우 9059
코로나 자가격리 위반자에 대한 대응 file 2020.06.29 임지안 8862
코로나 이후 떠오르는 '언택트' 산업 2020.06.01 신지홍 8750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8326
코로나 시대.. 울고웃는 지역경제 file 2021.08.20 이성훈 7860
코로나 시대, 청소년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file 2021.04.27 이민준 11036
코로나 시대 1년, 일회용품 사용 증가로 환경오염 우려 커졌다 file 2021.01.26 이준영 14485
코로나 상황 속에서 등교 수업 1 file 2020.07.13 손혜빈 9950
코로나 사태로 인한 총선 판도의 변화 2020.04.13 김경민 9775
코로나 사태 탄소배출권 가격 안정화의 필요성 2021.02.10 김률희 10227
코로나 백신, 그에 대한 국내외 상황은? file 2021.05.18 마혜원 8570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8371
커피 값으로 스마트폰을 사다?! 11 file 2016.02.20 목예랑 20472
커지는 소년법 폐지 여론..‘소년법 개정’으로 이어지나 9 file 2017.09.07 디지털이슈팀 14114
캐나다, '기호용 대마초 합법화' 발표 2018.10.23 정혜연 10119
카페 안에서 더 이상 일회용컵 사용 불가?, 환경부의 단속! 1 file 2018.10.08 김세령 10992
카타르, 고립되다? file 2019.03.18 이솔 9850
카카오톡 대화 삭제 기능, 득일가 실일까 3 2019.01.31 이현림 15466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0767
카카오 O2O 서비스, 일상에 침투하다 3 file 2016.07.24 권용욱 22502
카슈끄지 사건의 후폭풍 file 2018.11.14 조제원 10626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9351
카드사의 3개월, 5개월... 할부 거래의 시작은 재봉틀부터? file 2019.04.16 김도현 16564
칭다오 세기공원의 한글 사용 실태 file 2019.08.02 유채린 15046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제품 포장재질 및 과대포장 검사 전문기관으로 지정 file 2022.08.22 이지원 6291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10362
치솟는 부동산 가격, 9.13 부동산 대책으로 잡나? file 2018.09.18 허재영 9934
치사율 100% '아프리카돼지열병' file 2019.06.07 이지수 11350
치명률 30% 메르스 우리가 예방할 수 있을까? 1 file 2018.09.28 박효민 9848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1 file 2017.08.25 이어진 11158
춘천에서의 맞불집회..김진태 태극기집회 vs 김제동 촛불집회 3 file 2017.02.22 박민선 30050
축구계 더럽히는 인종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때 1 file 2018.10.16 이준영 12586
추위 속 진행되는 ‘촛불집회’, 국민들의 한마음으로 추위를 이겨내다… 15 file 2017.01.14 이윤지 24025
추운 겨울, 계속 되는 수요 집회 3 file 2017.02.04 오지은 18513
추석 연휴 마지막 날도 진행된 제1354차 수요시위 file 2018.09.28 유지원 16266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12795
최저임금, 청소년들은 잘 받고 있을까? 2 2018.09.17 박세은 11068
최저임금, 정말로 고용에 부정적 효과를 미칠까? file 2020.08.18 이민기 11279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19508
최저임금 차등화, 불붙은 논쟁 1 file 2018.03.26 조현아 12673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 2 file 2018.05.14 유근영 23367
최저임금 인상과 자영업자... 그리고 사회적 공약 file 2021.07.15 변주민 10285
최저임금 인상, 양측의 입장 1 file 2017.12.11 원혜랑 12079
최저임금 상승,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을까 1 file 2017.07.25 이가현 14408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0798
최저시급 , 고등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1 2020.08.21 이가빈 10163
최악의 폭염, 얼마 남지 않은 골든타임 1 file 2019.01.29 김사랑 9849
최순실의 특검 자진 출석..의도는? file 2017.02.13 박민선 218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