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기계식 키보드, 어떤 것을 구매해야 할까?

by 10기정세환기자 posted Mar 04, 2019 Views 1864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기계식 키보드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금속 스프링으로 된 스위치()를 갖고, 스위치를 누르는 과정에서 어느 시점에 걸쇠가 걸려 작동하는 스위칭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키보드를 기계식 키보드라고 한다.


KakaoTalk_20190227_11223704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정세환기자]

 

 요새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서 멤브레인 키보드보다 더욱 빠른 입력 속도를 가진 기계식 키보드의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계식 키보드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내가 어떤 제품을 사는 것이 좋으며 청축은 무엇이고, 적축은 무엇인지 모르고 아무 제품이나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 기계식 키보드의 기본이 되는 4개의 축을 비교해보자.


  먼저 청축이다. 청축은 타이핑하면서 나는 소리가 가장 큰 제품으로 보통 PC방에서 주로 사용하는 제품이 바로 이것이다. 청축이라는 이름은 축 색이 청색이어서 그렇게 붙여진 것이고 대부분의 축의 이름이 축 색에 따라서 결정이 된다. 걸리는 구분감과 함께 딸칵 소리가 나서 기계식 키보드 입문자들에게 가장 많이 추천을 하는 종류이다.

 

 두 번째로, 갈축이다. 갈축은 청축처럼 타이핑 시 구분감은 있지만 청축과는 다르게 걸릴 때 딸칵 소리가 나지 않는다. 그렇다고 아예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청축보다 훨씬 적게 소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청축은 소리가 너무 크지만 청축처럼 구분감을 느끼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갈축이 제일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적축이다. 적축은 앞에서 살펴보았던 청축과 갈축과는 달리 타이핑 시 구분감없이 스위치가 쭉 내려가는 느낌이다. 그래서 청축이나 갈축을 사용하던 사람들이 적축을 타이핑하면 비교적 심심하다는 느낌이 들 수 있다. 그렇지만 청축, 갈축보다 소음도 더 적을뿐더러 적축은 스위치를 누르면 다시 올라오는 속도가 빨라서 다시 누르는 것이 빨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FPS 게임이나 리듬 게임 등의 반응속도가 중요한 게임에서는 구분감이 없는 축을 사용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흑축이다. 흑축은 적축과 같이 구분감이 없는 축이다. 그러나 적축과 다른 점은 적축보다 높은 키압을 갖고 있어서 타이핑 시 적축의 심심함을 축 자체의 높은 반발력으로 보충을 해주기 때문에 마니아층이 두터운 축이다.


 보통 기계식 키보드를 구매하기 전에 유튜브 등에서 영상을 찾아본 후 타건 영상을 보고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영상에서 녹화된 소리로는 그 스위치의 특징을 제대로 알 수 없고 자신에게도 잘 맞는지 아닌지 판단하기 힘들기 때문에 직접 타건을 할 수 있는 곳에 가서 타건을 해본 뒤 자신과 가장 잘 맞는 키보드를 구매하는 것이 가장 좋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0기 정세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036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752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0625
위안부 피해 할머님들의 날갯짓을 위한 청소년들의 날갯짓 2 file 2017.10.11 노승민 14142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캠페인이 열리다. file 2017.08.31 박성준 14818
위험한 신데렐라 file 2017.05.24 한다희 13319
유기견 단체 <행동하는 동물하는 사랑>, 잃어버린 강아지를 찾아 나서다. 2 file 2017.04.18 정수민 16288
유기견들에게는 세상이 바뀌는 캠페인, 사지말고 입양하세요 7 2017.03.09 박세진 17673
유기동물, 왜? 그리고 어떻게? 1 2017.03.12 장준근 30980
유기태양전지의 시대, 무한에너지의 시대가 될 것 2017.08.30 김용준 15553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과 오사카시의 만남, 전국 더 리얼 at 오사카성 1 file 2017.02.23 석채아 16782
유니버셜 스튜디오 재팬, 전설의 트리가 철거되다. 5 file 2017.02.19 최현정 15810
유니클로 봉사단, 연탄배달로 사랑의 온정을 나누다 file 2017.02.24 김다연 14590
유럽 축구의 새로운 도전, UEFA 네이션스리그 2018.09.28 최용준 15266
유럽여행 이젠 더 이상 꿈이 아닌 현실 file 2016.08.25 김규리 16394
유명 모델 켄달 제너의 테킬라 브랜드 Drink 818의 양면성 file 2021.12.20 강려원 12373
유명 브랜드 신발이 하롱 야시장에서는 만원? 1 file 2020.02.10 홍세은 16466
유산균, 어떻게 먹어야 할까? 1 2017.12.01 오지원 29990
유상철 감독 체제 첫 승리 인천 유나이티드 file 2019.05.29 김민형 16644
유엔 세계 평화의 날, 제주에서 성대하게 열리다 file 2016.09.20 임주연 17347
유엔 창설 75주년, 우리가 원하는 미래, 우리가 필요로 하는 유엔 1 2020.11.25 박성재 17878
유익한 과학 캠프 file 2017.07.25 차유진 13670
유전자 조작이 낳은 계급사회 1 file 2020.02.17 조윤혜 25591
유튜브 '알고리즘'이란? 6 file 2020.08.11 김상혁 23598
유튜브 알고리즘이 불러온, 'K-POP 역주행' 변화 file 2021.04.06 김명진 13652
유해 성분 무첨가, 자연유래 성분...진화하는 프리미엄 치약 시장 file 2023.09.30 박상연 5875
유행어, 신조어라는 거울 속에 나타나는 2017 사회 모습 3 file 2017.03.25 성채리 26430
육군, 동성애자 군인에게 군형법 제92조의6 위반으로 구속영장 청구 file 2017.04.15 최문봉 16275
윤상현 감독의 신작, 사냥의 시간 넷플릭스 독점 공개 file 2020.05.18 정호영 13598
윷놀이, 제기차기, 팽이치기…. 우리도 한국인 8 file 2017.01.31 김세흔 19028
음식물 쓰레기, 일본에선 그냥 버릴 수 있다고? 1 file 2020.10.05 김시은 23382
음식의 다양성을 겨냥한 편의점, 결과는 ‘대성공’ file 2018.05.28 김민재 15725
음악 덕에 다시 보고 싶어지는 영화들 3 file 2017.10.16 최슬기 15752
음악PD 정재일의 특별한 나라 사랑 file 2019.03.13 장혜원 18011
응답하라 의정부 대표 함효범씨를 만나다. 1 file 2017.04.20 김소은 17203
응답하라, 전통시장! file 2016.04.16 김나림 19417
의고인의 체육대회 - 다시 부활한 의고컵 1 2014.10.23 차진호 27276
의도치 않은 흉기 file 2014.07.28 손윤진 26233
의령 곤충생태체험관을 소개합니다. file 2016.07.18 이서연 16980
의류 수거함, 어디까지 알고 계시나요? 1 file 2018.04.24 이지현 36292
의왕 삼일 독립만세 운동 1 file 2016.04.24 이지은 17408
의왕시&아칸소주 홈스테이 교류! EP01 1 file 2016.08.07 김성현 16149
의정부 정보도서관에 축제가 열렸다?! file 2017.09.20 이수연 14053
이건 어디서 나온 긍정마인드야? 신동욱 작가의 <씁니다, 우주일지> 3 file 2017.02.19 안현진 14529
이것이 김영란법 입니까? 1 file 2017.04.19 방예진 15236
이대호가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file 2016.05.10 박민서 17266
이런 시를 아시나요? 1 file 2016.03.20 백소예 18975
이른 단풍나들이, 청도 운문사의 운치 file 2016.10.16 이민지 17606
이마트24, 애플 마니아의 성지가 되다 file 2021.03.29 이승우 13038
이미 지나간 시간은 되돌릴 수 없지만 환경위기 시간은 되돌릴 수 있습니다 2017.11.27 공혜은 19144
이미지를 인식하고 검색하는 스마트 렌즈 2017.07.24 박소연 131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