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외래종(外來種)의 세계화, 이대로 괜찮을까?

by 10기조원준기자 posted Feb 26, 2019 Views 1112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평택항과 부산항에서 붉은불개미가 잇따라 발견돼 검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붉은불개미는 엉덩이에 날카로운 침을 가지고 있다. 이 침에 만약 찔리면 불에 덴 듯한 통증이 일어나고, 심할 경우 호흡곤란에 이르게 되고, 드물게는 사망에 이르기까지도 한다. 이에 세계자연보호연맹(IUCN)이 세계 100대 악성 침입 외래종으로 선정했다.


20190225_23390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조원준기자]


붉은불개미는 원래 남미가 서식지이지만 미국, 호주, 중국, 대만, 일본 등 전 세계 각지에서 발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9월 부산항 감만부두의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처음으로 발견됐고, 지난 2월 인천항을 통해 수입된 중국산 고무나무 묘목에서도 1마리가 발견된 바가 있다.


외래종 생물들의 운반체는 화물 컨테이너다. 검역 당국이 식물류 적재 컨테이너에 대해서는 검역을 실시하지만, 일반 물품을 실은 컨테이너는 검역 없이 하역되기 때문이다. 이 사각지대를 타고 다양한 외래종 해충들이 국경을 넘는다는 주장이 거론되었다.


붉은불개미뿐만 아니다. 2003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등검은말벌은 중국 상해에서 부산으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아열대 종이라 월동(越冬)이 거의 없다고 예상했지만, 국내 전역으로 확산하였다. 공교롭게도, 독성이 토종말벌보다 강해 2015년 경남 산청군 지리산에서 벌집을 제거하던 소방관이 벌에게 쏘여 사망하였다.


호주에서는 과거 1930년대 하와이에서 수수두꺼비를 들여왔다. 그런데 해충을 잡아먹기는커녕 생태계 질서를 파괴 시키는 대표적인 주범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독성이 워낙에 강력해서 그 어떠한 동물들이 두꺼비를 잡아먹지 못했다고 한다. 그 결과 현재 호주에 서식하고 있는 두꺼비의 수는 약 2억 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호주 당국에서는 수수두꺼비들을 산 채로 냉동실에 넣어 동사(凍死)시키자고 제안했다. 이는 개구리나 두꺼비 같은 양서류의 동면 환경과 유사해서 서서히 얼어 죽어가지만, 고통은 주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하나의 의견과 제안일 뿐, 실제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황소개구리, 배스 물고기, 쥐와 유사하게 생긴 뉴트리아 등 다양한 외래종들이 날마다 늘어 간다. 21세기 지구촌 시대에 살아가면서 인간의 자유로운 왕래에 부수적으로 다양한 생물 종의 전출입을 막기는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한반도 고유의 생태계의 질서를 보존시켜, 더 이상 일사불란(一絲不亂)하지 않도록 올바르고, 현명한 규정과 정책들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0기 조원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65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243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6435
제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새 리더는? 1 file 2017.05.09 박기준 10812
‘세월호 유골 은폐 사건’ 유가족들의 아픔 2 2017.12.08 박지민 10808
국민청원 게시판, 국민의 외침에 선명한 메아리로 돌아오길... 1 file 2019.02.27 김동환 10806
미세먼지, 우리가 줄일 수 있습니다 2018.07.25 임서정 10806
명성이 떨어져 가는 블랙 프라이데이, 그 뒤에 사이버 먼데이? file 2019.01.07 이우진 10802
미투, 어디가 끝인가 1 2018.06.19 고유진 10802
갑작스러운 북중 정상회담, 왜? file 2018.04.05 박현규 10797
미국 전역 애도 물결 , 웜비어 3 file 2017.06.27 조채은 10797
트럼프의 미국, 어디로 가는가 file 2017.03.25 임선민 10797
아직도 갈 길이 먼 시리아 난민 문제 file 2019.05.27 백지수 10795
몰카피해자, 정부가 나선다 2 2018.05.28 이채원 10795
청소년에게 듣는 '19대 대선과 대한민국' 1 file 2017.05.20 박상민 10795
대한민국을 뒤흔든 '차이나게이트' file 2020.03.03 정승연 10792
중국의 아픈 곳을 건드린 호주 왜 그랬는가 file 2020.12.28 김광현 10789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0783
"MB 구속 요구 기자회견" file 2017.10.31 한지선 10783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0782
코로나19 방역 사각지대, 시내버스 1 file 2021.02.19 이승우 10775
하루 속히 밝혀져야 할 세월호의 진실, 당신은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1 file 2017.03.27 김나림 10773
‘Crazy Rich Asians’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예술의 도덕적 의무를 살펴보다 1 file 2018.11.26 이혜림 10771
‘디지털 성범죄’,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인가 1 file 2018.08.28 강수연 10768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0765
설 연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홍역 예방법 file 2019.01.28 김태은 10764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 file 2019.03.15 박보경 10763
5월, 그리고 가짜 뉴스 2019.05.20 안광무 10760
최순실 1심 판결, 징역 20년·벌금 180억 원·추징금 72억 원 file 2018.02.22 허나영 10754
기무사 계엄 “실행” 계획, 국외자의 ‘반란’ file 2018.07.27 김지민 10752
제천 화재로 소방 관련 법 입법의 필요성 드러나. file 2018.01.29 서호연 10751
탄핵, 그 후 경제는? file 2017.03.21 장혜림 10750
조 바이든, 공식적으로 정권 인수 착수 1 file 2020.11.30 차예원 10749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10747
페트병을 색으로만 기억해야 할까? file 2018.11.29 박서정 10742
8년 만의 일본 총리 교체, 한일관계 변화 올까? file 2020.09.25 김진성 10739
경남 거제시 호우 경보, 학교의 늦장대응에 갈팡질팡하는 학생들 2 file 2017.10.02 조가온 10739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734
그해 봄은 뜨거웠네 2 file 2018.05.23 최시원 10733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0730
제 20차 촛불집회, 생명력 넘치는 광화문 그 현장으로 file 2017.03.18 박기준 10730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2 file 2018.02.02 이승민 10727
청와대, '난민법, 무사증 입국 폐지/개헌' 거부 답변을 내놓다 file 2018.08.07 김나현 10725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0725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美 기준금리 7년 만에 인상, 우리나라에 미치는 엉향은? file 2017.03.22 이승희 10721
게임을 죽이는 게임산업진흥법은 語不成說, 게이머들 "이제는 바뀌어야 된다" 2019.03.25 정민우 10718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0717
러시아까지 영국에 이어 코로나 누적 확진자 1천 만명 넘었다...위드 코로나는 역시나 다시 중지 file 2021.12.24 정지운 10713
소중한 투표권, 국민들의 선택은? file 2017.04.23 민소은 10712
40년 전 그땐 웃고 있었지만…국정농단의 주역들 구치소에서 만나다 file 2018.03.30 민솔 10711
문 대통령 “회담은 세계사적인 일” 1 2018.03.30 박연경 107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