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현대판 코르셋, 이대로 괜찮은가?

by 10기문혜원기자 posted Feb 22, 2019 Views 1755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9년 새해가 밝은지도 어느덧 2개월이 지난 요즘, 새 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교복 준비에 한창이다. 같은 시기, 수많은 교복 브랜드들도 학생들의 구매 욕구를 당기는 교복 광고를 내놓는데 분주하다. 하지만, 몇몇 교복 브랜드들은 공부할 시기의 학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편안함과 실용성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 핏을 강조하여 이른바 현대판 코르셋을 조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2015, 스쿨룩스가 내놓은 광고 문구에는, ‘코르셋 재킷’, ‘쉐딩 스커트’, ‘날씬함으로 한판 붙자등 선정성을 강조하는 문구들이 보인다. 노골적으로 가슴 라인을 강조한 교복 셔츠와 지나치게 달라붙는 짧은 교복 치마는 활동성이 중요한 청소년들에게 매우 부적합해 보인다.


다음은 대전의 한 중학교 여학생 3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이다.

제목 없음1.png

[이미지 제공=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문혜원기자]


조사 결과, 현재 교복에 만족하고 있는 학생은 전체의 27%밖에 되지 않았다. 교복에 불만족한 학생들은 73%로 대다수를 차지했는데, 그 이유는, ‘활동성에 제한이 있고, 불편해서이다. 실제 여학생과 남학생의 셔츠를 비교해본 결과, 여학생의 셔츠는 가슴 부분에서부터 허리 부분으로 이어지는 라인이 심각하게 조이는 반면, 남학생의 셔츠 라인은 일자로 쭉 내려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불만은 동복뿐만이 아니라 하복에도 이어졌는데, 본 학교의 하복이 속이 비추는 재질이라서 한여름 더운 날씨에도 속옷이 비칠까 우려하며 하복 티셔츠 안에 받쳐 입을 것을 또 입어야 한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또한, 교복에 대한 학교의 지나친 규정도 학생들에게 큰 불편을 주고 있다. 대전의 모 학교는 추운 겨울철, 학생들이 교복 위에 재킷을 걸치려면 셔츠부터 조끼, 넥타이, 마이까지 모두 갖추어 입은 상태에서만 허용한다. , 스타킹은 오직 검은색 스타킹만 허용하고 살색 스타킹을 신었을 경우 규정에 어긋나는 등 필요하지 않은 지나친 규정으로 학생들의 자유를 제한한다.

 

편리함과 활동성을 강조해야 할 학생들의 교복이 더 이상 핏과 라인에 구애받지 않는 사회가 되기를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0기 문혜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0기윤예진기자 2019.02.23 10:17
    일부 여학생 중 남학생의 교복을 사서 고쳐입는 경우가 있는데 바지를 입기 위해 픽이 들어간 블라우스가 어울리지 않아서 그랬다거 합니다.반면 더 짧게 줄여입는 학생들도 있어 선택의 다양성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
    10기손예은기자 2019.02.25 23:26
    저희 학교도 정복은 불편하지만, 생활복을 마련해서 일주일에 한 요일만 정복을 입고 있습니다!! 정복 자체를 바꾸는 건 쉽지 않으니 그런 방법들로 개선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29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19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622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3412
청소년들이여 흡연의 불씨를 꺼라 2014.07.26 양나나 22967
미디어의 중심에 선 청소년, 위태로운 언어문화 2014.07.27 김지수 21123
위험에 빠진 청소년, 흡연으로부터 멀어질 방법은? 2014.07.27 김대연 23741
언어는 칼보다 강하다 2014.07.27 박사랑 20597
청소년 언어문화,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7 장은영 30825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9326
[오피니언] 모든 병의 근원! 흡연!!! 2014.07.27 전민호 20970
청소년 언어문제 , 욕설문제 해결이 우선 file 2014.07.27 이동우 54107
청소년의 흡연과 실질적인 방안 2014.07.28 김서정 22670
내가한흡연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2014.07.29 박지원 23378
계속해서 늘어나는 청소년 흡연 문제 2014.07.30 이수연 21571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20523
청소년들의 흡연 2014.07.30 변다은 22089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해, 오늘 하루 만큼은 금연하세요 2014.07.31 장정윤 22968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2442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 맞아 죽는다 2014.07.31 1677 33684
청소년 흡연, 치명적인 독 file 2014.07.31 이가영 34441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21898
언어파괴로 얼룩진 청소년들의 언어문화 2014.07.31 박민경 23304
대안 문화에서 미숙한 문화로 2014.07.31 조민지 27720
보이지 않는 살상무기 말 2014.07.31 최정주 24402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2412
청소년들의 금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4.07.31 이종현 21054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2014.08.01 송은지 22866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873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6063
[인터뷰] 경기도 9시 등교에 대한 학생들의 다른 의견 file 2014.09.06 천종윤 22158
밑 빠진 독에 9시 등교 붓기 file 2014.09.06 박정언 27853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170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627
9시 등교,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2014.09.09 김도희 21147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627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801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484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2138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595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273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420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366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4.09.15 이지현 22752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의 생각은? 1 2014.09.15 박성아 21913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1139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478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4044
이상화 현실의 모순 9시등교, 최대 수혜자는 학생 2014.09.20 신정은 22847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855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200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