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② 자이가르닉 효과

by 11기하예원기자 posted Feb 18, 2019 Views 1519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주위의 지인들을 떠올려 차례대로 생각해보았을 때, 시작한 일은 끝장을 보고야 마는 이들이 종종 있을 것이다. 흔히 우리는 그들을 '완벽주의자'라고 부른다. 그리고 하나의 일을 끝내지 못하면 불안함을 호소하는 등 자칫 극성인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완벽주의자 혹은 일명 걱정부자라고 불리우는 그들은 그저 '자이가르닉 효과'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을 수도 있다. 시작한 일은 끝을 봐야 마음이 편하다는 그들, 또 일을 끝내지 못해 걱정투성이인 그들과 자이가르닉 효과는 대체 무슨 관계가 있을까?


자이가르닉 효과(Zeigarnik Effect)란, 마치지 못한 일을 마음속에서 쉽게 지우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런 이유로 미완성 효과라고 불리기도 한다. 자이가르닉 효과는 심리학자인 블루마 자이가르닉(Bluma Zeigarnik)이 음식을 주문받는 웨이터에게서 우연히 발견했다. 웨이터는 수많은 주문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손님들이 주문한 메뉴를 정확히 기억하고 있었다. 계산을 끝낸 후 자이가르닉은 웨이터에게 자신이 주문한 메뉴가 무엇이었는지 기억하느냐고 물었지만 웨이터는 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대답하였다. 이를 토대로 자이가르닉은 주문 처리 전, 즉 일을 완결하기 전에는 주문 내용을 기억하려 노력하지만, 주문이 끝나면 기억할 필요가 없어지기에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현상을 정의했다.


자이가르닉은 이를 입증하기 위해 참가자 164명을 A집단과 B집단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에게 모두 간단한 과제를 주었지만, A집단에게는 과제를 수행할 때 아무런 방해를 주지 않았고, B집단에게는 과제를 도중에 중단시키거나 다른 과제로 넘어가도록 했다. 과연 실험 결과는 어땠을까?

 자이가르닉 효과 최종 수정본.jpg

▲ 자이가르닉이 진행한 실험의 결과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하예원기자]


이렇듯 자이가르닉은 실험을 통해 완결되지 못한 일이 완결된 일보다 더욱 잘 기억되어짐을 입증해 보였다. 그리고 자이가르닉 효과는 꽤나 많은 현상을 뒷받침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첫사랑을 잊지 못하는 것이 있다. 첫사랑이 완결되어 지속적인 인연으로 이어진다면 기억 속에만 묻어두지는 않는다. 다만 이어지지 못하고 그 시절의 향수와 함께 기억 속에 남는 것이 첫사랑이기에, 많은 이들이 잊지 못하는 것이다.

 

그 밖에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또는 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가 해당된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란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사건·사고를 경험한 후 발생할 수 있는 정신 신체 증상들로 이루어진 증후군이다. 끔찍한 재난이나 심리적 외상을 겪은 사람은 큰 심리적 충격을 받는다. 따라서 그 사건에 대한 기억이 완결되지 않아 다시 그 일이 반복되어 일어나는 듯한 재경험을 하게 된다. 완결되지 않는 지난 기억에 의해 정신적 아픔을 겪는다는 면에서 일종의 자이가르닉 효과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드라마의 한 회가 아주 극적인 장면에서 끝나는 것 역시 자이가르닉 효과를 겨냥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미완결된 드라마를 완결시켜야 한다는 생각을 시청자에게 주입하여 다음 회차의 시청률을 유지·상승시키려는 의도이다.


자이가르닉 효과는 마케팅 업계가 가장 중시하는 효과 중 하나이다. 비슷한 기능·성질을 기본으로 두지만, 외관상의 차이를 두거나 혹은 그 반대로 하나의 시리즈를 만든다. 이때 시리즈를 구성하는 하나의 제품을 만들며 기능적으로 약간의 부족함을 두어 본사의 타 제품 구매를 유도한다. 이후 같은 시리즈의 제품들을 결합하거나 같이 쓸 때 나는 시너지를 확대하여 홍보한다. 이는 한 시리즈의 제품을 모두 구매해야지만 최종적으로 완결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란 생각을 소비자에게 주입하려는 의도이다. 마케팅에서의 자이가르닉 효과는 디드로 효과(하나의 물건을 구입한 후 그 물건과 어울리는 다른 제품들을 계속 구매하는 현상)와도 큰 관련이 있다.


여기서 자이가르닉과 웨이터의 이야기를 읽고 한 가지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단순히 그 웨이터의 기억력이 좋은 편이었다면?'이 바로 그것이다. 충분히 가질 수 있는 의문이다. 하지만 자이가르닉과 웨이터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유념해야 할 것은 자이가르닉 효과가 개인의 능력과 특성보다는 웨이터라는 직업 자체의 특성에 더 깊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이 오가는 레스토랑의 웨이터로 일한다면, 다양한 주문을 빠르게 기억하고 즉각적으로 대처해야 하기 때문에 기억력 향상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어디에서 일하든 상관없이 웨이터라는 직업 자체에는 항상 손님의 주문을 정확하게 기억하고 그대로 이행하며, 주문에 따른 값을 지불했는지를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는 특성이 있다. 자이가르닉 효과는 바로 이 특성에 더 깊은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인간에게는 해결되지 못한 문제에 대하여 무의식중에도 끊임없이 생각을 하며 매듭을 지으려는 기질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성공보다는 실패를 더 오래 기억하고, 성취된 사랑이나 대인관계보다는 실패한 관계나 첫사랑을 더 오래, 또는 자주 기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복잡한 사건들의 발생과 인지적 과부하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현시대에서, 사람들은 빨리 결과를 확인하고 머릿속에서 비워내기 바쁘다. 항시 필요한 정보가 아니라면 어떤 것이든 빠르게 비워내는 것이 좋다는 인식이 현시대의 자이가르닉 효과를 만들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그리고 당부할 말이 있다면, 완결에 집착하여 자이가르닉 효과에 시달리는 일은 없도록 유의해야 한다. 미완결이 완결이 되어가는 과정도 중요하며, 미완결의 미학도 중요하기에 각각을 존중해야 함을 잊지 말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9기 하예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0기조원준기자 2019.02.16 21:39
    자이가르닉 효과에 대해서 더 잘 알게 되었던것 같습니다. 첫 기사 쓰신다고 수고 많으셨습니다.
  • ?
    11기하예원기자 2019.02.16 23:22
    열심히 읽어주신 것 같아 보람차네요 : ) 그리고 첫 기사는 아니었습니다만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80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13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435
병든 위생, 여성의 안전이 위협받고있다. file 2017.08.29 김영은 10586
2017 김학순 다시 태어나 외치다 file 2017.08.29 정가원 9996
위안부 합의, 피해자들의 끝없는 고통 1 file 2017.08.29 신기재 11075
'살충제 계란' 과연 그 진실은? 2 file 2017.08.29 정다윤 10726
살충제 달걀, 과연 우리는 안심하고 먹어도 될까? file 2017.08.29 임수연 9603
위안부 수요 집회, 자유와 평화를 향해 외치다 2 2017.08.29 황유선 24167
이 게시물은 블라인드 처리된 게시물입니다. 2017.08.29 이유한 10354
영화 '택시운전사' 전한 우리의 숨겨진 역사; 5.18 민주화운동 5 file 2017.08.29 김연우 14022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 국민들의 반응은? file 2017.08.29 차형주 9823
영화 ‘택시운전사’그리고 현재의 ‘택시운전사’ file 2017.08.29 김민진 11142
화려했던 팬택, 역사 속으로 사라지다 3 file 2017.08.28 정용환 15580
위조 신분증 이제는 해결할 수 있다? file 2017.08.28 임소현 14601
그 시절 빼앗긴 행복, 아직도 그들의 상처는 깊어간다. file 2017.08.28 박민수 10302
‘생리대 발암물질’ 논란 속에서 방법은 ‘생리컵’ 인가? 4 file 2017.08.28 박지민 12380
국공립대학교 입학금 전면 폐지하다! 1 file 2017.08.27 김규리 13281
계속되는 계란의 수난, 이제는 찬밥 신세 file 2017.08.27 한채은 10606
몰래카메라 범죄 완전 근절 외치는 정부, 그러나 현실은 3 file 2017.08.26 박한비 16291
과열되는 거주민들의 분노, 이러다 주민 없는 유령도시 된다… 관광산업의 그늘 file 2017.08.25 신유진 15706
살충제 달걀 파동, 그 결과는? 1 file 2017.08.25 김민 11343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1 file 2017.08.25 이어진 11226
광복절, 현충원에 가다 file 2017.08.25 이기혁 10523
행정안전부 주관, 2017 을지연습 실시 file 2017.08.25 김성연 10663
文 대통령 , "5·18 민주화 운동 시민 향한 폭격준비설·헬기사격" 관련 특별조사 지시 1 file 2017.08.24 현준이 10505
'학생을 위한' 수능 절대평가 과목 확대, 학생을 위한 것인가? 6 file 2017.08.24 도서영 12573
소통하는 정부로의 첫 걸음, 대국민 보고회 '대한민국, 대한국민' 2 file 2017.08.24 서정민 14764
'살충제 계란'의 '마지노선' 제주 마저 불안하다. 4 file 2017.08.24 이승주 13086
'어떤 생리대를 써야 할까요...?' 일회용 생리대에서 유해 성분이? 7 file 2017.08.24 이나경 11490
우리 모두 잊지 말아요... 8월 14일 그 날을... 4 file 2017.08.23 김채현 10144
스페인을 덮친 테러 6 file 2017.08.23 박형근 11351
안랩, ‘온라인 카페 내 음란 동영상 위장 피싱’에 주의 당부 file 2017.08.23 디지털이슈팀 10580
광복절은 영화만 보는 날? 4 file 2017.08.22 성유진 11089
공영방송, 이대로 괜찮은가? 6 2017.08.22 손다빈 11592
중국, 우리는 안된다더니 중국판 사드 배치 1 file 2017.08.22 이호섭 11958
반성없는 전두환 전 대통령.. 국민들 분노하다. file 2017.08.22 이호섭 11366
끝나지 않은 피해자들의 고통, 위안부 기림일 행사 2017.08.22 5기정채빈기자 10563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 그만의 '자유로운' 기자회견 1 file 2017.08.22 김지현 10274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한 목소리가 되어 외치는 청소년들. 2 file 2017.08.22 정재은 12127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1127
바르셀로나서 무슬림 테러리스트 소행 연쇄 차량 테러 발생 2 file 2017.08.21 이성민 12034
고교 학점제는 학생들을 위한 교육의 첫걸음이 될 수 있을까? 1 file 2017.08.21 김유진 10917
누구를 위한 건강보험인가 1 file 2017.08.20 김주연 14133
문재인 정부의 광복절 경축사는? file 2017.08.20 이주현 10597
청소년들은 정치에 관심이 있을까? 5 file 2017.08.20 박지은 24184
그가 받아야 할 말을, 왜 그가 던지는가 2 file 2017.08.17 김민국 11091
용가리 과자먹고...위에 구멍 생겨... 4 2017.08.17 고은경 11139
주황리본을 아시나요? 5 file 2017.08.17 김영인 13340
북한의 도발과 수그러들지 않는 긴장감 2 file 2017.08.17 김나림 9798
사형제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file 2017.08.17 신지 224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