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카카오톡 대화 삭제 기능, 득일가 실일까

by 8기이현림기자 posted Jan 31, 2019 Views 1559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e3826084e9d60415c5fb6e6f04b5f52e.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이현림기자]

 

기업 카카오가 카카오톡 8.0.3버전을 업데이트하면서 대화 내용을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했다. 보낸 말풍선을 길게 눌러 삭제를 선택하고, 대화 상대에게 삭제를 선택하면 발신자와 수신자 모두에게 '삭제된 내용입니다.'라는 문구가 뜬다. 해당 기능은 메시지를 보낸 후 5분 이내에 발신자가 읽은 메시지와 읽지 않은 메시지 모두 삭제할 수 있다. 텍스트 메시지뿐만 아니라 이미지, 동영상도 삭제가 가능하다. 해당 기능 발신자와의 전송 오류를 보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네티즌들의 반응은 얼음장 같다. 네티즌들의 반응이 얼음장 같은 이유는 무엇일까?



KakaoTalk_20180923_00354821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이현림기자]


1. 삭제된 메시지의 흔적
해당 기능은 '삭제된 메시지입니다.'라는 흔적이 남아 완벽한 삭제가 된다고는 보기 어렵다. 카카오 측에서는 '카카오톡 채팅이 상대방과 나누는 대화를 초점으로 한 만큼 한번 뱉은 말은 주워 담을 수 없듯이 카톡도 엄연히 상대방과 나누는 대화라는 서비스 철학 하에 메시지는 삭제하되 기록은 남도록 절충안을 마련했다고 이를 설명했다. 하지만 흔적이 남는 삭제는 오해를 더 증폭 시켜 해당 기능의 개발 의도를 벗어날 수 있다.



KakaoTalk_20180924_04034999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이현림기자]



2. 악용될 가능성 제시
또한 해당 기능은 사회적으로 악용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학교폭력, 마약 밀매 등 범죄나 소송에 필요한  증거를 인멸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카카오톡은 사용자가 백업을 한다면 백업하기 전까지 주고받은 카톡은 모두 손쉽게 복구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카톡은 복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며 절차가 복잡하다.


이처럼 네티즌들의 반응이 냉혹한 이유는 해당 기능이 위의 단점을 감수할 만큼의 유용함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카카오톡 측은 위의 단점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8기 이현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9기김민성기자 2019.01.30 13:00
    위 기자님의 의견에 공감하는 바입니다. 우리가 '삭제된 메시지 입니다'라는 문구를 처음 봤을 때 드는 생각은 아마 안 좋은 말, 비속어일 거라고 생각하는 경우일 것 같습니다. 즉, 맞춤법과 철자 등을 잘못 입력전송하여 삭제한 것이 아닌, 나쁜 말을 하고 난 후 삭제하려는 생각이 맨 처음 드는 생각일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것처럼 범죄를 용이하게 해줄 수 있는 수단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많은 의견을 모아 보완책을 강구해야 할 것 같습니다.
  • ?
    10기윤예진기자 2019.02.07 14:48
    내가 잘못보낸 경우 지우고 싶었는데 이런 기능이 생겨서 다행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나쁜 의도만 아니면 삭제기능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
    10기김채현기자 2019.02.07 19:21
    상대방이 글을 읽은 경우에는 적은 글을 지울 수 없고, 상대방이 글을 읽기 전에만 글을 지울 수 있도록 하고 글을 지울 경우 '삭제된 메시지 입니다.'라는 문장이 뜨지 않았으면 좋았을 것 같아요. 이럴 경우, 카카오톡 알림 상태바를 통해 미리 글을 읽을 수 있다는 점도 생각해야 하겠네요.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 개발된 기능에 대한 장단점을 생각하게 해 준 기사였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682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472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8877
끝나지 않는 '금수저 선생님' 채용 논란, 그와 맞선 한 교사의 용기 있는 발언 2 file 2017.03.27 최서영 16585
사드 보복 조치에 정면돌파? 4 file 2017.03.27 김찬 10582
국정교과서, 앞으로의 운명은? 2 file 2017.03.27 유희은 11583
공병보증금 인상으로 소비자권리 되찾아 주겠다더니, 술값만 인상? 1 2017.03.28 정지원 14090
대구 '평화의소녀상' 희망을 달다 2 file 2017.03.29 김나현 12342
대중을 사로잡는 한마디,슬로건 4 file 2017.03.30 강민 14954
일본, 대만, 노르웨이까지… 과거 중국의 경제 보복 4 file 2017.03.31 남희지 14272
사라져야 할 권력 남용 5 file 2017.03.31 전원정 16026
올바른 역사 교과서? 올(ALL)바르지 않은 역사 교과서!! 2 file 2017.03.31 전은지 11648
다시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1073'... 엇갈린 입장 1 file 2017.03.31 4기박소연기자 14348
정치적 비리의 피해자가 된 올림픽 영웅. 6 file 2017.04.01 정예진 15008
탄핵 판결을 내린 헌법재판관 8명을 고소한 우종창, 그는 누구인가? 1 2017.04.02 김민정 12138
대통령 후보, 그들이 얻는 것은 무엇인가 7 file 2017.04.03 김민주 12014
국민의당 대선후보 안철수 “진실을 밝히고 미래를 열겠다” file 2017.04.09 황예슬 13798
우리가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할 세월호 1 file 2017.04.09 양희원 11545
기억해야할 4월 13일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일 3 2017.04.10 고선영 13150
세월호 인양, 시민들의 생각은? 2 file 2017.04.10 김동현 10725
아베에게 닥친 커다란 위기, '아키에 스캔들' 2 file 2017.04.11 박우빈 12412
미국 의회 북한 돈줄 차단 시작 1 file 2017.04.12 조채은 11974
[의혹검증] 세월호 인양 지연은 의도적일까···? 2 file 2017.04.15 김정모 14520
촛불집회 노벨평화상후보에 오르다? 3 file 2017.04.15 한한나 12148
"Remember 0416" 세월호 3주기 추모 행사 file 2017.04.15 윤하은 13845
세월호 참사 3주년 기억식 2 file 2017.04.16 최다영 12113
함께 지켜나가요, 소녀들의 평화 file 2017.04.16 김효림 11995
박근혜, 그녀는 좋은 대통령이었다. 덕분에 국민 대단합 이뤄.. 5 file 2017.04.16 이지연 15257
노란 물결이 일렁이는 4월 16일 file 2017.04.16 이지연 12018
세계 곳곳에서 열린 세월호 3주기 추모행사. 'Remember Sewol' 1 file 2017.04.16 김채원 12240
이제는 편안해질 수 있을까요 file 2017.04.17 안유빈 11131
가자! 416노란버스를 타고 김제동과 함께 file 2017.04.18 김하늘 10398
대선 토론회 북한 주적 논란, 진실은 무엇인가 3 file 2017.04.20 김동언 17554
4월 한반도 위기설 뭐길래? 1 file 2017.04.21 송선근 10314
아직 종로에 남아있는 삼엄한 분위기의 잔재 file 2017.04.23 오주연 10827
소중한 투표권, 국민들의 선택은? file 2017.04.23 민소은 10864
숫자를 통해 알아보는 대선 file 2017.04.24 백다미 12383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507
그립고 그리운 세 번째 봄, 세월호 기억식 열려 file 2017.04.25 소지인 10995
주요 대선후보들의 경제관련 공약을 알아보자 2 file 2017.04.25 천주연 11958
장미대선 속 장미의 진정한 의미는 '우리의 권리' file 2017.04.25 한우주 13253
선거마다 발병하는 고질병들, 언제까지 유효할 것인가 3 file 2017.04.25 정혜정 11985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3 2017.04.28 유현지 11836
시리아 미사일 공격? 그래, 미국은 좋겠지. 그러면 타국은? file 2017.04.29 김유진 10431
대통령 후보 국민의당 안철수, 안양 범계에서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선거운동 벌여 file 2017.05.01 정유리 12214
누가 영웅을 쓰러뜨리려 하는가 3 file 2017.05.02 김수민 10590
다가오는 대선과 떠오르는 수개표 3 file 2017.05.03 박윤지 10695
무모한 트럼프의 100일간의 무모한 행보, 그리고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2 file 2017.05.03 김유진 10664
민주주의 꽃 1 file 2017.05.04 신승목 11473
18세 선거권, 권리 없는 의무가 있을 수는 없다. 5 file 2017.05.05 윤익현 17250
'투'덜대지 말고, '표'현하세요. 6 file 2017.05.05 이주은 114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